•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국민안전처(장관 박인용)는 교육부, 경찰청, 도로교통공단 및 민간  전문가와 함께 6월 27일부터 7월 7일까지 ‘교통사고 다발 어린이보호구역’에 대하여 특별점검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특별점검은 최근 충청북도 청주, 광주광역시에서 어린이 교통사고가 잇따라 발생함에 따라 ‘교통사고 다발 어린이보호구역’의 사고원인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목적이다.

점검대상은 전국 어린이 보호구역 16,355개소(2016년말 기준) 중에서 2016년 한 해 동안 어린이 교통사고가 2건 이상 발생하였거나 사망자가 1명 이상 발생한 구역을 대상으로 도로교통공단과 함께 ‘교통사고 다발 어린이 보호구역’ 48개소를 선정하였다.

이번에 선정한 ‘교통사고 다발 어린이보호구역’ 48개소는 15개 시·도의 39개 시·군·구이며 96건의 교통사고로 사망자 8명, 부상자 91명이 발생하였다.

국민안전처는 특별점검을 통해 이들 보호구역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현황분석, 사고위험요인 분석, 기준에 미흡한 교통안전시설 진단 등을 실시해 지역 특성에 맞는 개선안을 마련하고 연말까지 불합리한 시설을 정비할 예정이다.

최근 10년간(2007~2016년) 어린이 교통사고를 보면 어린이 교통사고는 입학시기인 3월부터 증가하여 5월에 가장 많은 14,421건(10.9%)이 발생하였다.

어린이 교통사고 사망자 총 1,012명 중 62.3%(630명)는 보행 중에 사망하였으며, 이중 취학전 어린이는 43.5%(274명)이고 저학년 어린이는 38.4%(242명)로 나타났다.

2016년 ‘교통사고 다발 어린이보호구역’의 어린이 교통사고를 보면 전체 어린이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96건이며 이중 3월 12.5%(12건), 6월 11.5%(11건), 5월 10.4%(10건) 순으로 야외 활동이 많은 시기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다.

시간대별로는 정규수업이 끝나고 집으로 귀가하거나 학원수업을 받기 위해 이동하는 시간대인 12~20시(77건, 80.3%)에 대부분 발생하였고 특히, 14~16시(28건, 29.2%)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교통사고 다발 어린이보호구역’ 48개소 중 도시유형별로는 50만이상 대도시에서 75%(36개소)가 발생하였고 중소도시 21%(10개소), 농어촌 4%(2개소) 순으로 나타나, 대도시의 교통사고 발생 비율이 ’12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난해에 발생한 사망자 8명은 취학전 4명, 저학년 3명, 고학년 1명 순으로 대부분 취학전과 저학년 어린이가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안전처 이종수 안전개선과장은 “어린이보호구역 내의 불법주정차 단속을 강화하고 안전시설을 정비하는 등 어린이가 안전한 환경을 지속적으로 조성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국민안전처 2017-06-2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811 귀성 2.18 오전, 귀경 2.19 오후 가장 몰릴 듯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1 111
4810 귀가 먹먹하고 어지러운「메니에르병」, 평소 생활습관 관리 중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8 122
4809 권익위, 직업훈련 중 입은 상해 치료 기간도 출석 인정해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4 105
4808 권익위, 직업훈련 중 입은 상해 치료 기간도 출석 인정해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6 106
4807 권익위, 종합민원상담센터에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08 82
4806 권익위, 잘못된 여권 영문 이름 변경해줘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28 129
4805 권익위, 설 명절 농축수산물 불법유통 집중신고기간 운영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0 129
4804 권익위, 설 명절 농축수산물 불법유통 집중신고기간 운영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1 129
4803 권익위, 복지·보조금 부정수급 적발액 633억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22 90
4802 권익위, 보험금 지급 조사 관련 ‘위임장 사용’ 안내 의무화 권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16 132
4801 권익위, 금년 공익신고 보상금 470건에 3억 7천만원 지급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11 85
4800 권익위, 공장 증설로 인한 기업-주민 간 갈등 중재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2 82
4799 권익위, 공익신고자 보호법 시행 이후 환경 분야 공익신고 1,839건 처리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22 111
4798 권익위, “향후 발생 민원 우려한 관할청의 과도한 건축허가 제한은 위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3 99
4797 권익위, “중고차 살 때 차량 상태 꼼꼼히 확인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3 82
Board Pagination Prev 1 ... 597 598 599 600 601 602 603 604 605 606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