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손문기)는 올해 5월 평균 기온이 평년보다 1.5℃가 높았고 6월도 폭염이 지속되고 있어 세균성 식중독균에 의한 식중독이 발생할 우려가 높아 음식물의 보관·관리·섭취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 식중독 발생 통계를 분석한 결과, 여름철(6~8월) 식중독 발생건수(환자수)는 ‘13년 65건(1,693명), ’14년 112건(2,868명), ‘15년 96건(3,008명), ’16년 120건(3,429명)으로 꾸준히 증가추세이다.
- 특히 지난해에는 평년에 비해 여름철 온도는 1.2℃ 높고 폭염일수는 12일 이상 많아 식중독 환자수가 ‘15년에 비해 14% 증가하기도 하였다.
○ 폭염이 많은 여름철에 식중독 발생이 많은 것은 높은 온도와 습도로 병원성대장균, 살모넬라, 캠필로박터, 장염비브리오 등 세균 증식 촉진이 주된 요인이다.
- 또한 상추·오이·부추 등 식재료의 세척 소독이 충분하지 않았거나 세척 후 상온에 방치 후 제공하는 경우에도 식중독 발생 가능성을 높인다.
※ 최근 5년(‘12~’16) 여름철(6~8월) 평균 발생 원인체 : 병원성대장균 20건(1,091명), 살모넬라 7건(369명), 캠필로박터 9건(351명), 퍼프린젠스 3건(149명), 장염비브리오 6건(58명)

□ 여름철 식중독 예방을 위한 식품안전 관리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식재료는 신선한 재료를 필요한 만큼만 구입하고 식기세척기 등 열이 많이 발생하는 기구 주위에 보관하지 않는다.
○ 조리 전과 생육, 생선, 계란을 만진 후에는 비누 등 손세정제를 사용하여 30초 이상 손을 씻어야 한다.
○ 채소류는 염소 소독액(가정에서는 식초 사용 가능) 등으로 5분이상 담근 후 물로 3회이상 세척 하고, 절단 작업은 반드시 세척 후에 해야 한다.
- 세척 소독된 채소 등은 2시간 내에 사용하거나 즉시 냉장보관한다.
○ 채소류를 포함한 음식물은 가능한 내부까지 완전히 익도록 충분히 가열조리하고, 김치는 충분히 숙성시켜 섭취한다.
- 조리된 음식은 상온에 방치하지 말고 가능한 빨리 2시간 이내에 섭취해야 한다.

□ 식약처는 기온이 높아지는 시기에는 ‘손씻기, 익혀먹기, 끓여먹기’식중독 예방 3대 요령을 항상 준수해야 한다며, 냉장고 소독, 음식물의 조리·보관 등 위생적 취급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한다고 밝혔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17-06-2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399 식약처, 일본산 식품의 방사능 안전관리 꼼꼼하게 하고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03 93
5398 식약처, 임산부 어린이 등 민감 계층 대상 생선 안전 섭취 권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2 48
5397 식약처, 임상시험 참여 환자 권익보호를 위한 가이드라인 발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26 12
5396 식약처, 자가검사키트 판매가격 지정 해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05 6
5395 식약처, 자가투여 주사제 안전사용 기반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11 7
5394 식약처, 자가투여 주사제 안전사용 정보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27 36
5393 식약처, 자궁근종환자 치료에 사용하는‘울리프리스탈’제제 복용 시 간기능 검사 실시 조치 안전성 서한 배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23 44
5392 식약처, 자외선A 차단등급 3등급에서 4등급으로 확대도입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7 86
5391 식약처, 전자담배 유해물질 분석 기틀 마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26 119
5390 식약처, 정부차원의 궐련담배 및 전자담배 유해성분 함유량 발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1 59
5389 식약처, 족발.보쌈 등 배달음식점 집중 점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03 23
5388 식약처, 졸피뎀.프로포폴 안전사용기준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11 11
5387 식약처, 줄기세포 화장품 온라인 광고 점검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30 12
5386 식약처, 중.고등학생 대상‘제7기 식의약 영리더’모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12 47
5385 식약처, 중국 화하이 제조‘발사르탄’사용 우려 관련 현장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10 33
Board Pagination Prev 1 ... 561 562 563 564 565 566 567 568 569 570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