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헬스장의 장기계약 유도, 중도해지 관련 소비자피해 많아

- 계약기간 신중히 결정하고, 계약 시 환불기준 등 꼼꼼히 살펴야 -

소비자 체감물가, 생활비 상승 등 늘어가는 가계비 부담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의 건강 및 체형 관리에 대한 관심으로 헬스장 이용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에 따르면 헬스장 중도해지시 환불 거부, 계약불이행 등 소비자피해가 매년 증가하고 있어, 헬스장 이용시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헬스장 관련 피해구제 접수건수 : (’14년) 1,148건 → (’15년) 1,364건 → (’16년) 1,403건 → (’17년 5월) 661건

헬스장 관련 분쟁, ‘계약해지·위약금’ 관련이 89.8%로 가장 많아

최근 3년(2014년~2016년)간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헬스장 관련 피해구제 사건은 총 3,915건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피해유형으로는 헬스장 장기 이용계약 후 중도해지에 따른 위약금 분쟁과 헬스장의 일방적 환불거부 등 ‘계약해지·위약금’관련이 3,515건(89.8%)이었고, 계약불이행 191건(4.9%), 부당행위 72건(1.8%) 등의 순이었다.

   구       분     건수(비율)
계약해지·위약금  3,515건(89.8%)
계약불이행    191건(4.9%)
부당행위      72건(1.8%)
청약철회     53건(1.4%)
기타     84건(2.1%)
3,915건(100.0%)
3개월 이상 장기계약이 대부분(94%)이지만 계약내용 설명은 미흡

2016년에 접수된 피해구제 사건 1,403건 중 계약기간 확인이 가능한 883건을 분석한 결과, 3개월 이상 계약이 94.0%(830건)이었고, 12개월 이상 장기계약도 293건(33.2%)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제 계약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헬스장 70곳을 방문조사한 결과 모든 헬스장에서 가입 상담 시 1개월 상품은 설명하지 않은 채 3개월, 6개월 이상 상품만 설명하며 장기 이용계약을 유도하였다.

     계 약 기 간            건(비율)
12개월 이상   293건(33.2%)94.0% (830건)
6개월 이상~12개월 미만   209건(23.7%)
3개월 이상~ 6개월 미만   328건(37.1%)
3개월 미만   53건(6.0%)
           계   883건(100.0%)

장기 이용계약의 경우 「방문판매 등에 관한 법률」제30조에 따라 소비자에게 계약서 교부와 함께 중도해지 조건 등 중요 내용을 설명해야 하지만, 헬스장 이용자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사업자로부터 계약서를 교부 받고 중요내용을 설명 받은 소비자는 27.2%(136명)에 불과하였다.

중도해지 시 환불기준 명확하게 설명하지 않아 소비자피해 빈발

헬스장 70곳을 방문하여 현장실태를 조사한 결과, ‘실제 계약(결제) 금액을 기준으로 이용일수를 계산’하는 곳은 7곳(10.0%)에 불과했으며, 소비자에게 설명하지 않고 ‘사업자가 임의로 정한 1개월(1일) 단위요금을 기준으로 이용일수를 계산’하는 곳은 53곳(75.7%)이었으며, ‘환불불가’도 10곳(14.3%)으로 나타났다.

헬스장 70곳을 방문하여 현장실태를 조사한 결과,  ‘실제 계약(결제) 금액을 기준으로 이용일수를 계산’하는 곳은 7곳(10.0%)에 불과했으며, 소비자에게 설명하지 않고 ‘사업자가 임의로 정한 1개월(1일) 단위요금을 기준으로 이용일수를 계산’하는 곳은 53곳(75.7%)이었으며, ‘환불불가’도 10곳(14.3%)으로 나타남 

* 소비자분쟁해결기준(체육시설업)

- 게시일 이전 : 총 이용금액의 10% 공제 후 환급

- 게시일 이후 : 취소일까지의 이용일수에 해당하는 금액과 총 이용금액의 10% 공제후 환급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국민 대다수가 이용하는 헬스장 관련 소비자피해를 예방하고자 헬스장 사업자에게는 이용계약 체결 시 관련 법률에 따라 소비자에게 환불조건 등의 중요내용 설명 및 계약서 교부를 권고하고, 서울시와는 긴밀한 협의를 통해 부당한 환불 거부행위를 자진 시정 하도록 계도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소비자에게는 헬스장 계약체결 시 환불기준 등 중요한 내용을 꼼꼼히 확인할 것을 당부하였다.

※ 자율적인 분쟁 해결이 어려운 경우, 공정거래위원회가 운영하는 전국 단위 소비자상담 통합 콜센터 ‘1372소비자상담센터(국번없이 1372, www.ccn.go.kr)’ 또는 ‘행복드림 열린소비자포털(모바일앱, www.consumer.go.kr)’을

통해 상담 또는 피해구제를 신청할 수 있다.



[ 한국소비자원 2017-06-2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95 국립공원 일부 탐방로, 산불예방 위해 11월 15일부터 통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13 46
4294 국립공원 여권 여행으로 특별한 추억을 간직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15 14
4293 국립공원 야영장에서 다회용기를 빌려드립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22 24
4292 국립공원 안전사고 예방, 샛길 출입 등 집중 단속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10 19
4291 국립공원 시설사용료 미환불금 찾아 가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10 88
4290 국립공원 시설 예약부도자, 최대 3개월 이용 제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14 30
4289 국립공원 생태체험, 장애인도 불편함 없이 즐겨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17 24
4288 국립공원 내 해빙기 낙석, 과학적으로 관리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1 10
4287 국립공원 내 음주행위 금지 이후 총 411건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18 11
4286 국립공원 내 사유지 매수 확대, 조기신청 접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26 93
4285 국립공원 그린포인트로 2019년 달력 교환 신청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23 12
4284 국립공원 ‘문화재 관람료 징수 불만’ 민원 가장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11 47
4283 국립고궁박물관이 여러분의 새해를 함께 기념합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31 27
4282 국립검역소, 국민참여 조직진단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05 14
4281 국립 박물관·미술관과 함께 풍성한 한가위 명절 보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17 56
Board Pagination Prev 1 ... 635 636 637 638 639 640 641 642 643 644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