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국내 간기능부전으로 인한 이식은 연간 1,200~1,500건으로 이 중 60% 정도가 생체 간 공여자로부터 제공받고 있는 상황으로 성공률은 90%이상으로 세계적 수준
◇ 장기이식코호트(KOTRY)연구(생체 간이식 공여자의 2년간 추적)결과, 생체 간이식 공여자의 이식 후 사망률은 0%, 담도협착이나 답즙의 일시적 유출 등 주요 합병증 발생률은 1.9% 미만으로 확인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기석) 국립보건연구원(원장 박도준)에서 지원하고 있는 장기이식코호트(KOTRY KOTRY : Korean Organ Transplatation Registry
, 연구책임자 안규리) 연구에서 생체 간 공여 이식수술로 인한 주요 합병증 발생률이 2% 미만이라고 보고하였다. 
○ 이 연구는 장기이식 수술을 위해 자신의 간을 제공한 832명의 공여자들을 2년간 추적 조사한 결과로, 생체 간 공여자 중 이식수술로 인한 사망은 한 건도 없었으며(0%), 내시경 시술이나 수술을 요하는 주요 합병증은 1.9%에서 발생하였다.
 - 이는 과거 단일기관에서 보고된 주요 합병증 발생률(3%)보다 낮은 수준이다.
○ 이번 연구결과는 간이식분야의 전문학술지인 “간이식"(Liver Transplantation; 영향력지수 IF 3.951)에 게재될 예정이다.
○ 국내 간이식은 연간 1,200~1,500건이 시행되고, 이 중 60%* 정도가 생체 간 공여자에 의한 간이식이며, 우리나라 생체 간이식 성공률은 90% 이상**으로 세계적 수준이다.
  * 2016년 국내 간이식 1,471건, 이 중 생체 간 공여가 963건(65%)임 (출처 : 질병관리본부 장기이식관리센터, KONOS)
  ** 수여자 생존률 : 6개월 97.3%, 1년 96.6%, 2년 92.3% (출처 : 장기이식코호트(KOTRY) 연차보고서 2016)

□ 질병관리본부는 “이번 연구결과는 생체 간 공여자의 단기적인 안전성을 보여주는 결과로, 장기적으로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과 더불어 삶의 질 평가가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앞으로 연구를 지속하여 그 결과를 근거로 생체 공여자에 대한 표준 치료지침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한편,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에서는 2014년부터 5개 장기 수여자 및 생체 공여자를 대상으로 한 장기이식등록연구를 지원하고 있으며, 이 연구는 현재까지 7천여 명의 대상자를 추적관찰 중에 있다. 이를 통하여 장기이식의 예후 향상 및 공여자의 안전성과 관련된 연구결과를 생산하고 있다.



[ 보건복지부 2017-06-2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629 국민권익위, “학교 등 어린이·청소년시설 내 흡연실 설치 금지” 제도개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6 12
9628 전기차 초급속충전기 선보인다…내년부터 3배 빨라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6 14
9627 FTA의 소비자후생 효과, 소비자의 83.2%가 긍정적으로 평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6 12
9626 가정간편식 식육가공품 점검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6 19
9625 금속성 이물 검출 '과자' 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6 12
9624 국민권익위, 학업중단 학생·청년 장애인 각종 증명서 온라인 발급 가능해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6 11
9623 2020년 11월 강원도 고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6 18
9622 현금영수증 의무발행업종 확대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5 23
9621 캐시미어 의류(니트), 보온성·내구성은 제품에 따라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5 13
9620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주택법 시행령」 일부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5 24
9619 공유재산, 지역경기 활력 회복의 디딤돌 되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5 40
9618 청원법 60년 만에 전면개정으로 국민 청원권 대폭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5 10
9617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의결(12.15.)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5 6
9616 2021년 1월 1일부터 신문구독료 소득공제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5 9
9615 불법촬영 위험구역, 휴일에 문 연 병원 생활안전지도로 한눈에 확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4 11
Board Pagination Prev 1 ...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