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24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국민안전처(장관 박인용)는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면서 선풍기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이로 인한 화재 및 각종 안전사고 발생 위험도 높아져 주의를 당부했다.

국민안전처 국가화재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5년 간(‘12년~‘16년) 선풍기로 인한 화재 발생 건수는 총 721건으로, 이에 따른 사상자도 44명(사망 6, 부상 38)에 이른다.

월별로 살펴보면, 6월부터 본격적으로 발생하기 시작하여 무더위가 절정에 이르는 8월에 최고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생 장소별로는 가정 등 주거시설이 30%(220건)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음식점 등 생활서비스시설 21%(151건), 산업시설 14%(102건), 판매·업무시설 11%(76건) 순으로, 3건 중 1건은 가정에서 발생하였다.

원인별로 살펴보면, 이동 및 보관상의 문제로 전선피복이 벗겨지거나 합선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기적 원인이 60%(435건)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모터 과열 등 기계적 원인은 36%(256건), 부주의로 인한 경우는 2%(12건)로 나타났다.

선풍기 사용 시 화재뿐만 아니라 다른 안전사고도 발생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주의도 필요하다.

특히, 최근 휴대용 선풍기 사용이 늘어나면서 지난 5월에는 경기도 소재 한 초등학교에서 휴대용 선풍기 작동 중 배터리 삽입부에서 연기와 스파크가 나면서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하여 학생 2명이 1도 화상을 입기도 했다.

또, 지난 5월 인천 소재 한식당에서는 1세 어린 아이가 선풍기 날에 손가락을 다치는 사고가 있었으며, 이와 유사한 어린이 손가락 끼임 사고 등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 밖에도 작동 중인 선풍기가 파손 또는 넘어지거나 벽걸이형 선풍기가 떨어지면서 다치는 경우도 있다.

가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선풍기는 반드시 아래 안전수칙을 준수하며 사용해야 한다.

먼저, 장시간 사용하지 않은 선풍기는 사용 전에 먼지를 충분히 제거하고 사용 시에는 창문을 개방해야 한다.

또, 선풍기 모터 후면의 송기 통풍구를 수건이나 옷 등으로 막지 말아야 하며, 전원 배선은 문어발식 사용을 금하고 꺽임, 눌림 등을 방지해야 한다.

외출 시에는 전원플러그를 반드시 뽑아야 한다.

어린이가 있는 가정에서는 선풍기 덮개 전체를 씌울 수 있는 안전망을 사용하고, 어린이가 직접 선풍기에 접근하여 작동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휴대용 선풍기의 경우에는 구입 시 꼭 KC마크, 리튬전지의 안전인증번호를 확인해야 하며, 충전 시에는 전압이 높은 고속충전기를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국민안전처 관계자는 “자칫 소홀하기 쉬운 선풍기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작동과정에서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가 항상 잠재해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특히, 선풍기가 장시간 혼자 돌아가지 않도록 타이머 기능을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화재나 각종 안전사고 예방에 효과적이다.”라고 강조하였다.



[ 국민안전처 2017-06-1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989 교통사고로부터 자녀를 보호할 수 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8 2017.08.25
988 교통사고, 보행자 사고 예방이 우선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2 2018.02.27
987 교차오염으로 알러지 유발할 수 있는 Sheila G’s 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 2023.05.12
986 괴로운 소변「신경인성 방광」, 지속적인 예방과 함께 꾸준한 수분섭취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2 2017.12.14
985 과충전 시 발화 위험 있는 JOWAY 보조배터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9 2021.11.29
984 과충전 방지 기능 미흡하여 발열 및 발화 위험있는 Barebones LED램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1 2023.04.04
983 과체온으로 인한 사망 가능성 있는 Milkiwai 영유아용 침낭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4.01.04
982 과전류로 인해 연기가 발생할 수 있는 Calm 휴대용 공기청정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8 2021.10.28
981 과전류 차단 장치가 없어 화재,화상 위험 있는 고데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20.11.23
980 과전류 차단 장치가 없어 감전 위험 있는 Kemei 이발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9 2021.05.13
979 과열에 따른 감전 위험성 있는 암염램프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06 2017.02.08
978 과열보호장치가 장착되어 있지 않아 화재 위험이 있는 Jigong 열풍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4.02.15
977 과열로 화재 위험 있는 Trianium 휴대폰 배터리 케이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5 2020.11.23
976 과열로 인해 화상 위험 있는 핸드그라인더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75 2016.11.30
975 과열로 인한 화재 위험 있는 블루투스 LP 플레이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3.08.18
974 과열로 인한 화상 및 화재 위험 있는 휴대용 스피커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628 2016.09.01
973 과열되어 화재를 낼 수 있는 Snap 리튬이온 배터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4.03.13
972 과열되어 화재 발생 가능성 있는 CSB2 배터리 충전기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 2022.10.18
971 과열되어 화상 입을 가능성 있는 Nexgio 프로젝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9 2023.01.17
970 과열되어 화상 위험있는 MR.Marie Miffy 유아 조명등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6 2022.03.08
Board Pagination Prev 1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