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국민안전처(장관 박인용)는 AI 차단 방역을 위하여 이동통제초소·거점소독시설 운영, 방역약품 구입비 등 특별교부세 31억원을 긴급 지원하기로 하였다.

이번에 지원하는 특별교부세는 AI의 조기종식을 위하여 지자체가 방역에 필요로 하는 재정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국민안전처는 AI가 확산되고 위기경보가 “심각” 단계로 격상됨에 따라 지난 6월 6일부터 관련부처 합동으로 「범정부 AI대책지원본부」를 구성하여 AI중앙사고수습본부,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와 협업체계를 구축, 방역 및 수습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이를 위해 매주(화, 금) 영상회의를 개최하여 지자체별 방역추진상황을 점검하고, 현장 애로사항 수렴, 현장실태 점검결과 미흡사항 조치 및 수범사례 공유 등을 통해 지자체의 AI 방역활동을 지속적으로 지원해 오고 있다.

또한 6월 3일부터는 긴급점검반(3개조 6명)을 구성하여 AI발생과 확산우려가 있는 지자체를 대상으로 현장점검을 통하여 지자체가 조치할 사항들을 컨설팅하고 있다.

한편 이번 AI관련 살아있는 닭, 오리 등을 구입한 사람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긴급재난문자방송(CBS)이 활용되고 있는데, 6월 12일 현재 전국에서 63회 송출하여 711건의 신고를 접수받았고, 이중 21건이 양성으로 판정되어 효과적인 초동대응을 하는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CBS가 효과적인 신고수단으로 활용되게 된 것은 전화번호를 지정하여 발송하는 방식이 아니라 특정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방송으로 대상자가 광범위하기 때문이다.

긴급재난문자가 재래시장에서 가금류 거래를 하였거나 AI 의심증상이 있는 소규모 농가, 개인 등의 신고를 받아 조사하는 등 역학조사에 톡톡히 효과를 발휘하고 있는 것이다.

다만, 3G전화기 등은 방송수신 기능이 없어 ‘안전디딤돌 앱’을 깔아야 받아 볼 수 있다.

국민안전처 류희인 차관은 금 번 특별교부세가 AI를 조기 종식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지자체 등에서는 의심축 신고 등을 위한 홍보에 CBS를 적극 활용하여 줄 것을 당부하였다.



[ 국민안전처 2017-06-1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134 뇌졸중, 초기 집중재활치료가 중요하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30 45
6133 SNS 내정보 지키는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동!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17 45
6132 퇴직연금, 이것만은 알고가자! (핵심체크 5가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19 45
6131 ‘아동·청소년 대상 성범죄 신고포상금제도’를 아시나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16 45
6130 고속도로 휴게소의 변신, 취약계층 일자리 만들고 공공성 높이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06 45
6129 수입차 관련 소비자피해, 매년 지속적으로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13 45
6128 내년 1월 기초생활보장 부양의무자 기준이 더 완화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03 45
6127 올해 공익신고 ‘건강 분야’ 40.4%로 최다, 안전-소비자이익 순으로 많아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28 45
6126 육교승강기 사고 발생시, 주소로 신속히 위치 찾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11 45
6125 식약처, 수경재배 채소류 중금속 안전수준 점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14 45
6124 보호종료아동 “자립수당” 3월 18일부터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8 45
6123 일반식품도 건강에 미치는 영향 표시가 가능해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9 45
6122 배드민턴장(1,500㎡→ 3,000㎡)·도서관(1,000㎡→ 2,000㎡) 넓어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14 45
6121 장애여성의 건강한 임신 출산 지원을 위한 안내자료 발간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2 45
6120 의료행위와 건강관리서비스 구분 기준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0 45
Board Pagination Prev 1 ...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