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지역 간 손상 발생 차이 7배 이상,
지역중심의 맞춤형 예방관리 필요


◇ 우리나라 손상은 연간 약 4백만 건 발생, 약 3만 명 사망, 전체 사망의 약 10.4%를 차지 
◇ 시‧군‧구 지역간 손상발생은 7배 이상 차이 
◇ 14세 이하 아동의 경우 선진국에 비해 5배 높고 
◇ 여자보다 남자에서 손상위험이 1.4배, 지역의 복지예산 비중이 높을수록, 안전도시 관련 조례가 제정된 경우에 손상 위험이 낮음
◇ 손상발생 감시결과와 지역 중심의 예방전략 수립 중요성을 공유하고자 「제18차 손상포럼」개최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기석)는 국가손상조사감시중앙지원단(단장 송경준)과 공동으로 6월 15일(목) 서울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강당에서「제18차 손상포럼」을 개최한다.

   * 손상은 질병이외의 외부적 요인에 의해 다치는 것, 즉 “의도적 혹은 비의도적 사고의 결과로 발생하는 신체나 정신에 미치는 건강의 해로운 결과”로 정의하며, 비감염성질환(만성질환)의 한 영역이다.
   * 국가손상조사감시중앙지원단은 2010년 대한응급의학회를 주축으로 구성되었으며, 국가손상감시의 정확성 및 안정성 확보를 위해 감시사업 운영을 자문하고, 관련 통계 발간과 손상포럼 개최를 지원한다.

 ○ 이날 박용진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손상예방이 안전사회로 가는 지름길’이라는 내용으로 축사를 한다. 손상 관련 전문가들은 손상발생 감시 결과를 공유하고, 지역사회 중심의 예방관리 전략 수립 필요성에 대해 언급한다.

□ 질병관리본부는 2005년부터 손상감시체계를 구축하여 의료기관 및 지역사회 중심의 감시를 통해 우리나라 손상 발생 규모 등 국가 단위 통계를 안정적으로 산출하고 있다. 더불어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HP2020)* 등 보건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 있다.
   *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국민건강증진법 제4조에 따라 국민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을 위해 매5년마다 수립하는 국가차원의 건강증진 로드맵


 ○ (발생규모) 우리나라에서 손상은 연간 약 4백만 건 발생하며, 이 중 약 30%는 입원을 하고, 약 3만 명이 사망하는데, 이는 전체 사망의 약 10.4%를 차지한다.

   - 연간 손상경험률*로 추정한 발생은 지속 증가추세**이며, 손상으로 인한 입원도 매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손상으로 인한 사망***은 감소하고 있다.

       * 최근 1년 동안 병의원이나 응급실 등에서 치료를 받아야 했던 손상을 경험한 분율
      ** 인구 10만명당 손상 발생률: ’09년 5,355명 → ’10년 6,087명 → ’11년 5,810명 → ’12년 7,515명 → ’13년 7,694명 → ’14년 7,546명 → ’15년 8,976명
     *** 인구 10만명당 손상 사망률(사망원인통계): ’09년 65.8명 → ’10년 65.4명 → ’11년 64.7명 → ’12년 61.9명 → ’13년 61.3명 → ’14년 57.8명 → ’15년 56.5명

   - 특히, 아동 손상은 조기사망과도 연관이 있는 보건문제로, 우리나라 14세 이하 아동의 손상입원율은 선진국에 비해 약 5배 수준이다. 
       * 2013년 우리나라 아동 손상입원율 903명(인구 10만명당), 미국 175명(인구 10만명당)

   - 또한, 2013년 119 구급대로 이송된 중증손상 환자의 병원치료 결과*, 사망 21%, 퇴원시 중증 장애** 6%, 중등도 장애*** 17%로 손상으로 인한 질병부담이 매우 크다.
        * 보건복지부. 권역별 중증외상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예방 가능한 사망률 평가(연구책임자, 서울대학교병원 송경준 교수). 2015
      ** 중증 장애: 신체적 장애나 정신적 장애로 인해 환자가 독립적 기능을 하지 못하고 매일 타인에 의존해야 하는 경우 
     *** 중등도 장애: 공공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고 제한된 환경에서 작업이 가능하며, 독립적인 개인생활은 유지하지만 지능과 기억력 결핍, 성격 변화, 편마비(한쪽 상하지 또는 얼굴부분의 근육저하 상태)나 실조증(신체 동작이 서투르고 섬세한 움직임이 불가한 상태)과 같은 다양한 장애가 남아 있는 경우

 ○ (위험요인) 최근 연구결과*에 의하면, 남자가 여자보다 손상 발생이 높고(1.4배), 연령이 높아질수록(1.06배) 많이 발생한다.
   - 또한 복지예산 비중이 클수록 손상 발생이 낮았는데, 복지예산 비중이 1% 높아질 때, 손상입원율이 10만명 당 21명 감소한다.
  
   - 제도와 관련해서는 안전도시 관련 조례**가 제정된 지역이 제정되지 않은 지역보다 손상 발생율이 74% 수준으로 낮게 발생한다. 
 
       * 질병관리본부. 경시적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분석을 통한 손상발생 추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연구책임자, 이화여대 박혜숙 교수, 2017)
      ** 지자체에 따라 조례명이 상이하며, 시민안전청구조례, 시민생활 안전을 위한 치안협의회 설치 및 운영 조례, 지역사회 안전을 위한 시민단체 참여 및 안전 조례 등이 있음

 ○ (지역별 현황) 지역별 손상발생도 증가하고 있으며, 시‧도간의 손상 발생 차이는 지속적으로 약 2배 수준, 시‧군‧구의 차이는 증감이 있으나, 7배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 2016년 지역사회건강조사결과, 연간 손상경험률(최근 1년 동안 병의원이나 응급실 등에서 치료를 받아야 했던 손상을 경험한 분율)은 8.2%로 전년대비 0.4%p 증가, ’08년 대비 3.9%p 증가로 지속 증가하고 있음
       * 시‧도간 손상 경험의 차이(연간 손상경험률의 최소 지역 대비 최대 지역간의 비)는 ’08년 2.1배, ’12년 1.9배, ’16년 1.8배, 시‧군‧구간 차이는 ’08년 9.1배, ’12년 23.9배, ’16년 7.4배임

   - 또한, 손상으로 입원한 환자도 광주, 울산, 충북, 전남, 경남지역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광주‧전남 및 경남은 서울, 인천에 비해 약 2.5배 이상 많이 입원하였다*. 
       * 2013년 입원한 손상환자 분석 결과. 경시적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분석을 통한 손상발생 추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연구책임자, 이화여대 박혜숙교수, 2017)

□ 이번「제18차 손상포럼」은 그간 손상감시체계 구축 현황과 성과, 지역사회에서의 손상예방의 중요성을 공유하고, 손상 전문가 네트워크 및 지지기반을 확보하고자 마련됐다.

 ○ 손상포럼은 2007년 손상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고 예방대책을 마련한다는 취지로 시작한 이래 매해 개최돼 왔다. 올해 포럼에는 대한응급의학회, 대한외상학회, 대한예방의학회 등 손상관련 전문가, 지방자치단체 및 시민단체 등 약 100여명이 참석한다.


□ 정기석 질병관리본부장은 “손상포럼은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지역사회 중심의 정책수립의 초석이 되는 귀중한 시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라고 하면서,

 ○ 건강한 안전사회 구현을 위해 손상 감시를 넘어 손상을 예방관리하는 거버넌스 구축이 필요하므로 관계부처, 관련 시민단체, 다학제적 전문가가 참여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 보건복지부 2017-06-1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43 끼임 사고 위험 있는 IKEA 유아용 침대 매트리스 교환 및 환급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02 221
5242 끈에 의한 부상 위험있는 룰루레몬 여성용 상의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23 250
5241 꾸준한 중강도 운동이 미세먼지에 의한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을 낮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28 17
5240 꽃 피는 봄이 오면 국립공원으로 오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05 9
5239 꼼꼼하게 확인하고 건강하게 먹자!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26 66
5238 꼭 필요한 병원 진료 우리 지역에서 받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11 12
5237 꼭 필요한 금융지식, 동영상으로 배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18 36
5236 꼭 식후 30분에 약 먹어야 하나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04 52
5235 꼭 빌려야 한다면? 한국이지론(주)을 이용해 보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14 100
5234 꼬마숙녀와 함께하는 자궁경부암 예방 캠페인 ‘리틀퍼플리본’, 질병관리본부가 응원합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27 44
5233 꺾기 등 금융회사의 우월적지위 남용행위 근절대책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28 76
5232 깨진 계란을 불법 유통.사용한 농장.식당 등 적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7 94
5231 깨알글씨 민원신청서, 읽고 쓰기 쉬워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09 73
5230 깜빡 잊고있던 나의 지방세 미환급금 찾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07 18
5229 깊어진 가을, 부족한 마음을 채워 줄 10월 문화가 있는 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9 14
Board Pagination Prev 1 ... 566 567 568 569 570 571 572 573 574 575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