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시계 구매 시 품질보증기간 및 A/S기준 꼼꼼히 확인해야 -

 

최근 시계의 기능성 수요 뿐 아니라 패션에 대한 관심 증대로 인해 국내 시계 시장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관련 소비자 피해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소비자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이 시계 관련 피해구제 사건 접수 추이를 분석한 결과, 지난 3년간(2014~2016) 550건이 접수되었고, 특히 지난해에는 전년도에 비해 51.3% 증가한 236건이 접수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피해구제 접수 현황 ]

 

구 분

2014

2015

2016

건수()

158

156

236

550

증감(비율)

14.5

1.3

51.3


 

200만원 이상 고급시계, 사건 수는 약 15%, 구입금액 규모로는 약 70% 차지

제품 구입금액이 200만원 이상(개별소비세법상 고급시계로 분류)인 사건은 81건으로 전체의 14.7%에 불과하나 구입금액*을 비교하면 531백만원 중 374백만원으로 전체 구입금액의 70.4%를 차지하였다.

* (구입금액) 피해구제 신청 시 소비자가 기재한 금액 기준


 [ 구입 금액별 피해구제 건수 ]

 

구 분

50만원 미만

50만원 이상~200만원 미만

200만원 이상

건수(비율)

339(61.6)

130(23.6)

81(14.7)

550(100.0)

구입금액(비율)

157백만원(29.6)

374백만원(70.4)

531백만원(100.0)

 

- 3건 중 2건은 품질 및 A/S 불만


피해유형별로는 시간·방수·내구성과 관련된 품질‘A/S 불만관련이 365(66.3%)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청약철회, 계약불이행 등 계약 관련’ 160(29.1%), ‘표시광고’ 10(1.8%) 등이었다.

피해구제 접수 상위 브랜드 스와치, 아르마니, 세이코 순으로 나타나

피해구제 접수 건 중 브랜드 확인이 가능한 389건을 분석한 결과, 스와치(Swatch)32(8.2%)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아르마니(Armani) 26(6.7%), 세이코(Seiko) 22(5.7%), 구찌(Gucci) 18(4.6%), 버버리(Burberry)와 티쏘(Tissot) 11(2.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최근 3년간 브랜드별 피해구제 접수 현황 ]


순번

브랜드

접수건수(전체 389)

비율(전체 100.0)

1

스와치(Swatch)

32

8.2

2

아르마니(Armani)

26

6.7

3

세이코(Seiko)

22

5.7

4

구찌(Gucci)

18

4.6

5

버버리(Burberry)

11

2.8

티쏘(Tissot)

11

2.8

7

까르띠에(Cartier)

10

2.6

8

몽블랑(Montblanc)

9

2.3

파슬(Fossil)

9

2.3

해밀턴(Hamilton)

9

2.3

157

40.3

 

- 접수건수가 많은 상위 10개 브랜드


한국소비자원은 유관기관과 시계 제조업체에게 판매 전 소비자 주의사항을 반드시 안내하고, 소비자 피해 발생 시 적극 대응해 줄 것을 권고하였다.

아울러 소비자들에게는 시계 구매 시 품질보증기간 및 A/S 기준을 꼼꼼히 확인할 것, 구매 후 취급 주의사항을 숙지할 것, 기계식 시계의 경우 충격에 민감하고 자력 또는 중력으로 인한 시간 오차가 발생 가능한 특성을 이해하고 사용할 것을 등을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17-06-1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294 시중 유통 가공식품 중 감미료 사용 안전한 수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06 62
8293 시중 유통 PCT 식품 용기 안심하고 사용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08 36
8292 시정권고·의견표명 미해결 고충민원 274건 중 8개 기관이 절반에 달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23 25
8291 시장질서 교란행위 위반사례 첫 적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22 64
8290 시장의 절반 이상은 소비자 지향성 부족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8 242
8289 시장의 소비자지향성 수준, 2년 전에 비해 상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20 36
8288 시원한 여름, 따뜻한 겨울, 『에너지바우처』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27 10
8287 시외버스도 지정좌석제·승차권 왕복발권 서비스 시행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28 96
8286 시외버스 정기·정액권 도입으로 이용객 부담 완화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12 40
8285 시외버스 예약~탑승~도착 등 이용단계별 서비스 개선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3 111
8284 시외버스 예매“보다 간단하고 편리하게”...예매서비스 전면 개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28 43
8283 시세를 반영한 공시가격, 공평과세의 시작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4 16
8282 시세 30% 수준의 청년매입임대주택 430호 입주자 모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12 35
8281 시세 30% 수준 ‘청년매입임대주택’ 1,500호 연내 공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09 48
8280 시설물 사용자라면 누구나 “앱으로 안전점검 결과 한눈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01 27
Board Pagination Prev 1 ...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