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시계 구매 시 품질보증기간 및 A/S기준 꼼꼼히 확인해야 -

 

최근 시계의 기능성 수요 뿐 아니라 패션에 대한 관심 증대로 인해 국내 시계 시장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관련 소비자 피해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소비자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이 시계 관련 피해구제 사건 접수 추이를 분석한 결과, 지난 3년간(2014~2016) 550건이 접수되었고, 특히 지난해에는 전년도에 비해 51.3% 증가한 236건이 접수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피해구제 접수 현황 ]

 

구 분

2014

2015

2016

건수()

158

156

236

550

증감(비율)

14.5

1.3

51.3


 

200만원 이상 고급시계, 사건 수는 약 15%, 구입금액 규모로는 약 70% 차지

제품 구입금액이 200만원 이상(개별소비세법상 고급시계로 분류)인 사건은 81건으로 전체의 14.7%에 불과하나 구입금액*을 비교하면 531백만원 중 374백만원으로 전체 구입금액의 70.4%를 차지하였다.

* (구입금액) 피해구제 신청 시 소비자가 기재한 금액 기준


 [ 구입 금액별 피해구제 건수 ]

 

구 분

50만원 미만

50만원 이상~200만원 미만

200만원 이상

건수(비율)

339(61.6)

130(23.6)

81(14.7)

550(100.0)

구입금액(비율)

157백만원(29.6)

374백만원(70.4)

531백만원(100.0)

 

- 3건 중 2건은 품질 및 A/S 불만


피해유형별로는 시간·방수·내구성과 관련된 품질‘A/S 불만관련이 365(66.3%)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청약철회, 계약불이행 등 계약 관련’ 160(29.1%), ‘표시광고’ 10(1.8%) 등이었다.

피해구제 접수 상위 브랜드 스와치, 아르마니, 세이코 순으로 나타나

피해구제 접수 건 중 브랜드 확인이 가능한 389건을 분석한 결과, 스와치(Swatch)32(8.2%)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아르마니(Armani) 26(6.7%), 세이코(Seiko) 22(5.7%), 구찌(Gucci) 18(4.6%), 버버리(Burberry)와 티쏘(Tissot) 11(2.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최근 3년간 브랜드별 피해구제 접수 현황 ]


순번

브랜드

접수건수(전체 389)

비율(전체 100.0)

1

스와치(Swatch)

32

8.2

2

아르마니(Armani)

26

6.7

3

세이코(Seiko)

22

5.7

4

구찌(Gucci)

18

4.6

5

버버리(Burberry)

11

2.8

티쏘(Tissot)

11

2.8

7

까르띠에(Cartier)

10

2.6

8

몽블랑(Montblanc)

9

2.3

파슬(Fossil)

9

2.3

해밀턴(Hamilton)

9

2.3

157

40.3

 

- 접수건수가 많은 상위 10개 브랜드


한국소비자원은 유관기관과 시계 제조업체에게 판매 전 소비자 주의사항을 반드시 안내하고, 소비자 피해 발생 시 적극 대응해 줄 것을 권고하였다.

아울러 소비자들에게는 시계 구매 시 품질보증기간 및 A/S 기준을 꼼꼼히 확인할 것, 구매 후 취급 주의사항을 숙지할 것, 기계식 시계의 경우 충격에 민감하고 자력 또는 중력으로 인한 시간 오차가 발생 가능한 특성을 이해하고 사용할 것을 등을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17-06-1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324 3개 숙박앱 사업자의 전상법 위반행위에 대한 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26 53
5323 식품 중 중금속(납, 카드뮴) 안전관리 강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27 53
5322 연말연시 대출을 권유하는 전화에 주의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12 53
5321 자본시장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30 53
5320 투자사기-불법 사금융 피해 주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04 53
5319 ’17년 2월~ ’17년 4월 전국 아파트 79,068세대 입주 예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0 53
5318 식품안전정보포털이 ‘식품안전나라’로 새로워집니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3 53
5317 설 연휴기간중 금감원「불법사금융피해신고센터」운영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5 53
5316 ’16년 주택인·허가 72.6만호, 분양승인은 46.9만호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6 53
5315 알레르기 유발물질 표시하지 않은 견과류가공품 회수 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03 53
5314 커피음료 비교정보 생산결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28 53
5313 2016년중 금감원 콜센터 1332로 접수된 주요 금융애로 상담사례 및 제도개선 내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28 53
5312 금융꿀팁 200선 - (35) 보험 가입전 필수 체크포인트 5가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2 53
5311 일부 공공시설 장애인 통행 어렵고 안전사고 발생우려 있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6 53
5310 구제역 방역대책 추진상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3 53
Board Pagination Prev 1 ... 566 567 568 569 570 571 572 573 574 575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