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7년 5월 생필품 가격동향 분석

- 닭고기·돼지고기·계란 지속적으로 상승 -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이 가격정보 종합포털 ‘참가격(www.price.go.kr)’을 통해 5월 주요 생필품 판매가격을 분석한 결과, 닭고기·돼지고기·계란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월 대비 닭고기·돼지고기·계란 상승, 주요 채소 하락

전월 대비 가격이 많이 상승한 상위 10개 품목 중 6개는 가공식품이었으며, 신선식품 3개, 일반공산품 1개였다. 가공식품은 스프(7.6%)·즉석우동(5.4%)·된장(3.4%)·식초(3.0%) 등이 상승했고, 신선식품은 닭고기(11.9%)·무(5.3%)·고구마(2.7%), 일반공산품은 구강청정제(6.1%)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닭고기(11.9%)와 더불어 돼지고기(2.5%)·계란(0.9%)도 전월에 비해 가격이 상승했으며, 3월부터 지속적으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닭고기(11.9%)와 더불어 돼지고기(2.5%)?계란(0.9%)도 전월에 비해 가격이 상승함 

된장··구강청정제 등은 백화점이 상대적으로 비쌌으며, 스프·즉석우동·닭고기 등은 SSM(Super Super Market, 기업형 슈퍼마켓)이 상대적으로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전월 대비 가격이 많이 하락한 상위 10개 품목 중 9개는 신선식품이었으며, 일반공산품은 1개였다. 신선식품은 오이(-24.2%)·대파(-19.6%)·양파(-19.6%)·배추(-19.2%)·호박(-18.8%)·갈치(-14.2%)·감자(-10.5%)·당근(-9.7%) 등이 하락했고, 일반공산품은 치약(-7.5%)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호박·감자·당근 등은 전통시장이 상대적으로 저렴했으며, 갈치·대파·치약SSM이, 오이·배추대형마트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호박?감자?당근 등은 전통시장이 상대적으로 저렴했으며, 갈치?대파?치약은 SSM이, 오이?배추는 대형마트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것으로 나타남 

전년 동월 대비 오징어·갈치 여전히 높아

한편, 전년 동월(’16년 5월)과 비교했을 때에는 오징어(38.7%)·계란(36.3%)·돼지고기(25.6%)·닭고기(23.0%)·벌꿀(21.9%)·갈치(18.8%) 등이 상승했고, 시금치(-65.9%)·오이(-47.3%)·참조기(-44.5%)·배추(-35.1%)·일반샴푸(-18.1%)·린스(-18.0%) 등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획량 감소로 인해 가격이 많이 상승했던 오징어갈치는 5월 들어 하락세로 전환했으나, 전년 동월에 비해 여전히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어획량 감소로 인해 가격이 많이 상승했던 오징어와 갈치는 5월 들어 하락세로 전환했으나, 전년 동월에 비해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들에게 맞춤형 생필품 가격정보를 주간단위로 제공하고 있으며, 동일한 제품이라도 판매점에 따라 가격 차이가 큰 만큼 생필품을 구입하기에 앞서 ‘참가격(www.price.go.kr)’ 사이트에서 판매가격, 할인정보(1+1 행사) 등을 확인할 것을 소비자들에게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17-06-1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30 일부 수입 냉동과일제품, 대장균군 기준 초과 검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7 119
10429 일부 수유쿠션에서 유해물질 검출돼 자발적 리콜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11 15
10428 일부 손소독티슈 유효성분 함량 관리 미흡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0.20 32
10427 일부 소스류 제품, 나트륨 과다섭취 우려돼 저감화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30 25
10426 일부 생활화학제품에 무독성·무해 등 금지된 표현 사용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14 41
10425 일부 살균소독제, 표시·광고 대비 살균력 낮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15 12
10424 일부 분사형 탈취·살균 제품, 살균력 떨어지고 과장광고 하고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13 39
10423 일부 베이킹파우더 제품, 올바른 권장사용량 표시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19 55
10422 일부 미용업소 바가지 요금 근절 위해, 복지부가 나섰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30 103
10421 일부 미백 기능성화장품, SNS의 과장 광고 개선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08 15
10420 일부 루지 카트 부품에서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06 45
10419 일부 루지 카트 부품에서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07 17
10418 일부 렌터카 업체, 차량관리 소홀한 것으로 나타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0 91
10417 일부 렌터카 업체, 차량관리 소홀한 것으로 나타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0 106
10416 일부 동충하초 제품, 식중독균 기준 초과 검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5 103
Board Pagination Prev 1 ...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