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소비자불만 급증 카셰어링, 차량 안전성에도 문제 있어

- 소비자의 수리업체 선택권 사실상 제한, 수리비 관련 불만 많아 -

자동차공유서비스(이하 카셰어링)*는 본인 차량을 소유하지 않고도 필요할 때 차량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 한 대의 자동차를 여러 사람이 정해진 시간만큼 나눠 사용하는 서비스로 주택가 등 자신의 위치와 가까운 주차장에서 시간(분) 단위로 대여 가능

그러나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이 조사한 결과, 일부 차량은 등화장치나 타이어가 불량해 안전성에 문제가 있었고, 수리가 필요할 시 업체 선택권을 제한하는 등 소비자에게 불리한 거래조건으로 인한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또한, 무면허자·미성년자의 차량 불법 대여 문제도 꾸준히 발생하고 있어 제도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지난해 소비자불만 급증, ‘수리비’ 관련 불만 많아

최근 3년간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카셰어링’ 관련 소비자불만상담은 총 237건이었다. 특히 지난해에는 119건이 접수되어 전년 대비 85.9%의 증가율을 보였다.

유형별로는 ‘과도한 수리비 청구’가 70건(29.5%)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고지미흡으로 인한 차량 사용불가’ 40건(16.9%), ‘부당한 페널티 부과’ 38건(16.0%), ‘사용료 청구’ 36건(15.2%), ‘차량 관리 소홀’ 28건(11.8%) 등이었다.

 최근 3년간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카셰어링’ 관련 소비자불만상담은 총 237건이었다. 특히 지난해에는 119건이 접수되어 전년 대비 85.9%의 증가율을 보임

차량 4대 중 1대 꼴로 안전성 부적합

국내 주요 카셰어링 4개 업체 30대 차량의 안전성을 「자동차관리법」상 정기검사 항목으로 점검한 결과, 7대(23.3%)가 1개 이상 항목에서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대 차량은 주행거리가 50,000km 이하로 길지 않음에도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이는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카셰어링의 특성상 차량 고장, 관리·정비 불량 등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우측 전조등 광도 미달, 후륜 좌측 타이어 불량 등 부적합 부분 확인됨 

수리업체 선택권 사실상 제한되는 등 일부 이용약관 소비자에게 불리

한편, 카셰어링 4개 업체의 주요 이용약관 및 자동차대여약관*을 분석한 결과,

* 그린카, 쏘카, 이지고, 피플카(가나다 순)의 (회원)이용약관 및 자동차대여약관(2017.4.3. 기준)

일부 이용약관은 차량 수리가 필요한 경우 사업자와 계약된 지정된 수리업체만 이용하도록 하는 등 수리업체 선택권이 제한되거나, 사업자가 일방적으로 정한 차량 관리 준수사항(‘페널티 제도’)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 소비자 동의 여부와 별개로 벌금이 자동결제되도록 하는 등 소비자에게 불리한 조항을 포함하고 있었다.

비대면성을 악용한 차량 불법 대여 허점

카셰어링은 사업자와 대면 없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 차량 대여가 이뤄진다. 이러한 비대면성을 악용해 무면허자나 미성년자가 타인의 운전면허 정보를 도용해 차량을 불법 대여하는 사례도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기존에는 회원 정보, 운전면허 정보, 결제 신용카드 정보의 진위 및 동일인 여부 확인만으로 이용이 가능해 명의도용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 그린카(4.18)와 쏘카(4.19)는 불법 대여를 막기 위해 ‘휴대폰 본인명의 확인’을 추가 인증 수단으로 도입했으나 이 또한 명의를 도용한 휴대전화 개통 등으로 쉽게 무력화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소비자피해예방을 위해 관련 부처에는 ▲소비자에게 불리한 카셰어링 약관 개선을 요청하였고, 사업자에게는 ▲명의도용 피해예방을 위한 추가 인증 수단 도입, 철저한 차량 안전관리 등을 권고할 예정이다.

소비자 주의사항
차량 대여계약을 체결하기 전 이용약관 및 자동차대여약관의 내용을 꼼꼼히 확인합니다.
차량 이용 전 차량 외관손상(흠집, 스크래치) 유무, 등화 등 각종 장치 작동 여부 등 차량상태를 꼼꼼히 확인합니다.

차량 외관에 이상이 있는 경우,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고 해당 내용을 즉시 사업자에게 고지합니다.

차량 이용 중 장치에 이상이 발견되거나 사고가 발생할 경우 이상·파손이 심각하지 않더라도 즉시 사업자에게 신고하여 상담을 받습니다.
서비스 이용 종료 후 주행료 등의 잔금이 자동 결제될 때, 부당한 금액이 추가로 청구되지 않았는지 명확히 확인합니다.

부당한 금액이 인출되었다고 생각될 경우, 즉시 사업자에게 연락합니다.



[ 한국소비자원 2017-06-0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015 소형 의류건조기, 건조도·소음 등 주요 성능 차이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21 13
8014 소형 신축주택 추가 구입시 취득세 최대 42백만원 절감 등 주거공급 활성화 지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19 32
8013 소형 가전제품 구입 시 KC인증 취소여부 등 안전인증정보 확인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6 32
8012 소하천 토지변경 없으면, 점용허가 끝나도 원상복구 면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4 11
8011 소하천 무단 점유·사용·파손 행위에 벌칙 대폭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20 10
8010 소통 누리집 등 온라인에서 마약 판매·구매 절대 하지 마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09 11
8009 소중한 피부, 자외선으로부터 지켜주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07 80
8008 소중한 전세보증금, 안전하게 지키세요. - 전세 계약시 유의사항 및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활용법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05 9
8007 소중한 일상을 지키기 위해 재난 시 행동요령을 익혀두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19 51
8006 소중한 생명을 살리는 ‘소방차 길 터주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24 64
8005 소중한 면허, 잘 관리하자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18 68
8004 소중한 국민의 목소리를 정책으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21 6
8003 소외계층 성인에게 평생교육 바우처 첫 지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27 53
8002 소양강댐ㆍ충주댐, "용수 15% 감축해 공급"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4 113
8001 소아.청소년 독감, 안전하게 치료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5 27
Board Pagination Prev 1 ...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 921 Next
/ 92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