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소비자불만 급증 카셰어링, 차량 안전성에도 문제 있어

- 소비자의 수리업체 선택권 사실상 제한, 수리비 관련 불만 많아 -

자동차공유서비스(이하 카셰어링)*는 본인 차량을 소유하지 않고도 필요할 때 차량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 한 대의 자동차를 여러 사람이 정해진 시간만큼 나눠 사용하는 서비스로 주택가 등 자신의 위치와 가까운 주차장에서 시간(분) 단위로 대여 가능

그러나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이 조사한 결과, 일부 차량은 등화장치나 타이어가 불량해 안전성에 문제가 있었고, 수리가 필요할 시 업체 선택권을 제한하는 등 소비자에게 불리한 거래조건으로 인한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또한, 무면허자·미성년자의 차량 불법 대여 문제도 꾸준히 발생하고 있어 제도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지난해 소비자불만 급증, ‘수리비’ 관련 불만 많아

최근 3년간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카셰어링’ 관련 소비자불만상담은 총 237건이었다. 특히 지난해에는 119건이 접수되어 전년 대비 85.9%의 증가율을 보였다.

유형별로는 ‘과도한 수리비 청구’가 70건(29.5%)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고지미흡으로 인한 차량 사용불가’ 40건(16.9%), ‘부당한 페널티 부과’ 38건(16.0%), ‘사용료 청구’ 36건(15.2%), ‘차량 관리 소홀’ 28건(11.8%) 등이었다.

 최근 3년간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카셰어링’ 관련 소비자불만상담은 총 237건이었다. 특히 지난해에는 119건이 접수되어 전년 대비 85.9%의 증가율을 보임

차량 4대 중 1대 꼴로 안전성 부적합

국내 주요 카셰어링 4개 업체 30대 차량의 안전성을 「자동차관리법」상 정기검사 항목으로 점검한 결과, 7대(23.3%)가 1개 이상 항목에서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대 차량은 주행거리가 50,000km 이하로 길지 않음에도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이는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카셰어링의 특성상 차량 고장, 관리·정비 불량 등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우측 전조등 광도 미달, 후륜 좌측 타이어 불량 등 부적합 부분 확인됨 

수리업체 선택권 사실상 제한되는 등 일부 이용약관 소비자에게 불리

한편, 카셰어링 4개 업체의 주요 이용약관 및 자동차대여약관*을 분석한 결과,

* 그린카, 쏘카, 이지고, 피플카(가나다 순)의 (회원)이용약관 및 자동차대여약관(2017.4.3. 기준)

일부 이용약관은 차량 수리가 필요한 경우 사업자와 계약된 지정된 수리업체만 이용하도록 하는 등 수리업체 선택권이 제한되거나, 사업자가 일방적으로 정한 차량 관리 준수사항(‘페널티 제도’)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 소비자 동의 여부와 별개로 벌금이 자동결제되도록 하는 등 소비자에게 불리한 조항을 포함하고 있었다.

비대면성을 악용한 차량 불법 대여 허점

카셰어링은 사업자와 대면 없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 차량 대여가 이뤄진다. 이러한 비대면성을 악용해 무면허자나 미성년자가 타인의 운전면허 정보를 도용해 차량을 불법 대여하는 사례도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기존에는 회원 정보, 운전면허 정보, 결제 신용카드 정보의 진위 및 동일인 여부 확인만으로 이용이 가능해 명의도용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 그린카(4.18)와 쏘카(4.19)는 불법 대여를 막기 위해 ‘휴대폰 본인명의 확인’을 추가 인증 수단으로 도입했으나 이 또한 명의를 도용한 휴대전화 개통 등으로 쉽게 무력화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소비자피해예방을 위해 관련 부처에는 ▲소비자에게 불리한 카셰어링 약관 개선을 요청하였고, 사업자에게는 ▲명의도용 피해예방을 위한 추가 인증 수단 도입, 철저한 차량 안전관리 등을 권고할 예정이다.

소비자 주의사항
차량 대여계약을 체결하기 전 이용약관 및 자동차대여약관의 내용을 꼼꼼히 확인합니다.
차량 이용 전 차량 외관손상(흠집, 스크래치) 유무, 등화 등 각종 장치 작동 여부 등 차량상태를 꼼꼼히 확인합니다.

차량 외관에 이상이 있는 경우,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고 해당 내용을 즉시 사업자에게 고지합니다.

차량 이용 중 장치에 이상이 발견되거나 사고가 발생할 경우 이상·파손이 심각하지 않더라도 즉시 사업자에게 신고하여 상담을 받습니다.
서비스 이용 종료 후 주행료 등의 잔금이 자동 결제될 때, 부당한 금액이 추가로 청구되지 않았는지 명확히 확인합니다.

부당한 금액이 인출되었다고 생각될 경우, 즉시 사업자에게 연락합니다.



[ 한국소비자원 2017-06-0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29 내 몸에 이식한 의료기기 정보를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8 21
4228 설 명절 앞두고 불공정하도급 신고센터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21 18
4227 희귀.난치질환 치료에 필요한 의료기기, 식약처가 공급해 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21 87
4226 법인이 자주 이용하는‘국세 관련 증명서 6종’ 정부24에서 편리하게 한번에 발급받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21 17
4225 '생애주기 원스톱서비스'로 불편 덜고 만족 높이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21 43
4224 내년부터 연말정산, 정부24, 국민신문고에 민간전자서명 첫 도입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21 16
4223 국세 고지서,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확인하고 바로 납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21 19
4222 ‘21년 취약계층 주거급여 지원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22 21
4221 「유료도로법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22 19
4220 비급여 진료비용 공개 범위 의원급까지 확대 및 비급여 진료 전 사전설명제도 도입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22 22
4219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령안」국무회의 의결 (12.2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22 25
4218 국민건강보험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의결 (12.2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22 19
4217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의결(12.2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22 18
4216 65세 이후에도 장애인 활동지원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22 20
4215 아산화질소 카트리지 내년부터 사용 못 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22 36
Board Pagination Prev 1 ... 639 640 641 642 643 644 645 646 647 648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