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법제처, 관할 교육장은 아동학대관련범죄전력자가 취업제한 기간 중 취업 여부뿐만 아니라 유치원을 운영하고 있는지도 점검ㆍ확인할 수 있다고 해석

<사례 예시>

A는 ○○유치원을 운영하던 중 아동학대범죄를 저질러 아동학대관련범죄전력자가 되었고, 「아동복지법」 제29조의3제1항에 따른 취업제한 기간 중에 △△유치원을 운영하려고 한다.

• 그런데, 「아동복지법」 제29조의4제1항제1호의 문언에 따르면 교육장이 점검ㆍ확인하여야 하는 사항은 아동학대관련범죄전력자가 취업제한기간 중에 유치원에 "취업 또는 사실상 노무를 제공하고 있는지"로 한정되는 것처럼 보인다.

과연 교육장은 아동학대관련범죄전력자가 취업제한기간 중에 "유치원을 운영하는지"에 대해서도 점검ㆍ확인을 할 수 있을까?

 

* 위 사례는 보도자료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가공한 내용입니다.

 

<해석 결과>

법제처(처장 제정부)아동학대관련범죄전력자가 「아동복지법」 제29조의4제1항제1호에 따라 같은 법 제29조의3제1항을 위반하여 유치원을 운영하고 있는지를 교육장이 점검ㆍ확인할 수 있다고 해석했다.

 

<관련 규정>

아동복지법 제29조의3제1항에서는 아동학대관련범죄전력자는 취업제한 기간 동안 아동관련기관을 운영하거나 아동관련기관에 취업 또는 사실상 노무를 제공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항 제8호에서는 아동관련기관 중의 하나로 유치원을 규정하고 있다.

 

아동복지법 제29조의4제1항제1호에서는 유치원, 학교, 학원의 경우 교육부장관은 아동학대관련범죄전력자가 같은 법 제29조의3제1항을 위반하여 해당 아동관련기관에 취업 또는 사실상 노무를 제공하고 있는지를 직접 또는 관계 기관 조회 등의 방법으로 점검ㆍ확인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그 점검․확인 결과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인터넷 홈페이지 등을 이용하여 공개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 같은 법 시행령 제26조의6제2항제4호와 제5호에서는 공개하여야 하는 점검․확인 결과의 내용으로 취업제한등대상자가 운영하거나 취업 또는 사실상 노무를 제공하고 있는 아동관련기관의 수, 명칭, 해당 기관 소재지의 시․군․구명, 해당 기관별 취업제한등대상자의 수(제4호)와 취업제한등대상자가 운영하거나 취업 또는 사실상 노무를 제공하고 있는 아동관련기관에 대한 조치계획 또는 조치한 내용(제5호)을 규정하고 있다.

 

한편, 아동복지법 제68조 단서 및 같은 법 시행령 제56조제3항제2호에서는 교육부장관이 아동학대관련범죄전력자 취업 등의 점검․확인 권한의 일부를 교육장에게 위임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양 견해의 주장>

보건복지부 의견

아동복지법령에서는 보건복지부장관 또는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그 수, 명칭, 조치한 내용 등을 공개하여야 하는 점검ㆍ확인 결과의 대상이 취업제한대상자가 "운영하거나" 취업 또는 사실상 노무를 제공하고 있는 아동관련기관이라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교육부장관 및 교육장은 「아동복지법」에 따라 취업제한등대상자가 유치원을 운영하고 있는지를 확인해야 하는 의무를 갖는다고 할 것이다.

 

인천광역시교육청 의견

「아동복지법」 제29조의4제1항에서는 보건복지부장관 또는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직접 또는 관계 기관 조회 등의 방법으로 점검ㆍ확인하여야 하는 사항으로 아동학대관련범죄전력자가 같은 법 제29조의3제1항을 위반하여 "아동관련기관을 운영하고 있는지 여부"를 규정하고 있지 않으므로, 교육부장관의 아동학대관련범죄전력자에 대한 점검ㆍ확인 권한을 위임받은 교육장은 아동학대관련범죄전력자가 취업제한기간 중 유치원을 운영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점검ㆍ확인할 수 없다.

 

<사례의 해결>

○ 「아동복지법」에서는 아동학대관련범죄전력자가 취업제한기간 동안 아동관련기관에 취업하거나 사실상 노무를 제공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아동관련기관을 운영할 수도 없도록 제한하고 있고, 보건복지부장관 또는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에게 아동학대관련범죄전력자가 위의 제한을 위반했는지 여부를 점검․확인하여야 하는 의무를 부과하고 있으며, 나아가 위의 제한을 위반한 아동학대관련범죄전력자와 아동관련기관에 대한 해임 요구와 폐쇄 요구 의무를 규정하고 있으므로, 교육부장관의 아동학대관련범죄전력자에 대한 점검ㆍ확인 권한을 위임받은 교육장은 아동학대관련범죄전력자가 취업제한기간 중 유치원을 운영하고 있는지도 점검ㆍ확인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 관련 규정들의 관계를 고려한 체계적 해석이라고 할 것이다.

 

<사례의 결론>

교육장은 「아동복지법」 제29조의4제1항제1호에 따라 아동학대관련범죄전력자가 같은 법 제29조의3제1항을 위반하여 유치원을 운영하고 있는지를 점검ㆍ확인할 수 있다.



[ 법제처 2017-06-0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889 독감(인플루엔자) 백신, 정확하게 알고 접종 받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10 52
7888 독감치료제, 10~18세 대상으로 건강보험 지원 확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21 60
7887 독거노인이 마음을 터놓고 의지할 수 있는 친구 만들기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6 86
7886 독립적 감사기구 설치로 대학 자체감사 대폭 강화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9 22
7885 독뱀·독충에 물린 응급환자 연간 6천명, 5월부터 증가 9월에 피크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11 173
7884 돈가스, 소시지 등 22개 군납 급식류 품목 입찰 담합 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3 79
7883 돈가스, 소시지 등 22개 군납 급식류 품목 입찰 담합 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6 92
7882 돈가스, 햄버거패티 등 제조업체 안전점검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11 21
7881 돋보기안경 및 도수 수경(물안경) 온라인 판매 허용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24 56
7880 돔페리돈 및 돔페리돈말레산염 사용상의 주의사항 변경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21 74
7879 동남아 거주자에서 16번째 지카 감염증 확진, 주의 당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29 59
7878 동남아 등 여행객 대상 뎅기열 예방주의 당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07 81
7877 동남아 등 지카 발생국 방문 후 6개월간 피임 및 성전파 예방 권고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1 85
7876 동남아 등 해외여행 시 지카 감염주의 당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30 109
7875 동남아 등 해외여행 시 지카 감염주의 당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20 199
Board Pagination Prev 1 ...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