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31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국민안전처(장관 박인용)는 최근 자전거 안전사고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사고예방을 위해서는 자전거 이용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국민안전처 재난연감 통계에 따르면 지난 5년간(2011년~2015년) 총 28,888건의 자전거 안전사고가 발생하여 283명이 사망(연평균 56.6명)하였다.

자전거 사고를 월별로 살펴보면, 6월에 3,515건(12.1%)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여 가을철까지 높게 지속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사고장소는 도로가 79%(22,768건)로 가장 높았으며, 주거용건물 2%(672건), 유원지 2%(492건) 순으로 나타났다.

발생원인은 운전부주의가 32%(9,231건), 충돌·추돌 32%(9,187건), 안전수칙 불이행 14%(3,963건), 장비불량 0.4%(130건)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명피해가 큰 충돌·추돌 사고는 측면직각충돌이 45%로 높게 나타났다.

자전거는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교통수단이지만 운전자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사고 발생 시 부상의 위험이 높아 안전수칙을 지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사고가 발생했을 때 부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보호장구와 헬멧은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

또한, 자전거는 도로교통법상 ‘차’에 속하기 때문에 교통법규를 준수해야 하며, 자전거 전용도로나 차도를 이용해야 한다. 인도나 횡단보도를 이용할 때는 자전거에서 내려서 끌고 가야한다.

특히, 교차로 통행 시 반드시 일시 정지 또는 서행으로 다른 차량의 운행상태를 확인하고 진행해야 한다.

차도를 통행할 때는 수신호를 통해 뒤에서 진행하는 운전자에게 방향을 사전에 알려주어야 사고를 줄일 수 있다.

국민안전처 조덕진 안전기획과장은 “야간에는 운전자의 시야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자전거 후미등을 반드시 설치해 줄 것”을 당부했다.

* 문의 : 안전기획과 소방경 김성철(044-205-4121)

 

[국민안전처 2017-06-0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133 녹농균 검출된 샴푸(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07.13
3132 녹농균 오염 가능성 있는 Bio Life Pet 고양이용 유산균 액상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2.03.08
3131 녹농균 오염 가능성 있는 Essence 컨실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 2023.08.18
3130 녹농균 오염 가능성 있는 Linia One 유산균 스프레이[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22.03.07
3129 녹농균 오염 가능성 있는 Livia One 액상 유산균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9 2022.03.07
3128 녹농균 오염 가능성 있는 Livia One 유산균 스프레이[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7 2022.03.07
3127 녹농균 오염 가능성이 있는 영유아용 Maryruth’s 유산균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6 2021.12.27
3126 녹농균 오염 위험 있는 Activilong Acticurl 샴푸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21.10.28
3125 녹말 이쑤시개는 식품이 아닙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 2024.01.24
3124 녹이 발생할 수 있는 스프링이 혼입된 GEX 반려동물용 물 디스펜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 2023.05.12
3123 농기계 사고 절반은 경운기 운행 중 발생, 이중 74%가 전도 및 추락!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3 2021.03.18
3122 농기계 사고에 주의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19.10.24
3121 농기계 안전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0 2019.04.11
3120 농기계 체인·벨트에 신체가 끼이는 등의 안전사고 발생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 2023.04.28
3119 농기계사고 경운기가 절반, 60세 이상 67%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2 2020.04.10
3118 농번기, 농기계 안전수칙 지켜 사고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0 2018.04.19
3117 농약의 잔류 허용기준 초과된 소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2.07.14
3116 농작업 중 진드기 물림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 2023.06.20
3115 높아지는 기온, 얼음 깨짐 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23.02.09
3114 높은 수준의 라돈이 감지되지 않는 Elifecity 라돈측정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2.11.14
Board Pagination Prev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