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C형간염, 내성균 2종(VRSA, CRE) 전수감시 시작,
집단 감염을 조기 인지하여 선제적 대응한다!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C형간염과 2종의 항생제 내성균 감염증(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 감염증,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 감염증)*을 제3군감염병으로 지정한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이 2017년 6월 3일자로 시행된다고 밝혔다.

*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SA)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 CRE)

제3군감염병은 간헐적으로 유행할 가능성이 있어 계속 그 발생을 감시하고 방역대책의 수립이 필요한 감염병으로, 의사나 한의사는 소속 의료기관의 장을 통해(의료기관에 소속되지 않은 경우는 직접) 관할 보건소장에게 지체 없이 신고하여야 한다.

2015년 말부터 2016년 초 일회용 주사기 재사용 등 의료행위로 인한 C형간염 집단 발생이 이슈화된 바 있으며, 기존의 표본감시체계(186개소 의료기관)로는 보건당국이 표본감시기관 외의 C형간염 집단 발생을 조기 인지하기 어렵다는 지적에 따라 2016년 9월 6일 발표한 C형간염 예방 및 관리대책을 통해 전수감시로의 전환을 추진하였다.

또한 국내외적으로 항생제 내성(Antimicrobial resistance, AMR)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도 2016년 8월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2016~2020)을 수립·발표하여 내성균 2종 전수감시* 등을 포함한 내성균 감시체계 강화를 주요 과제로 추진하였다.

* 현재 표본감시 중인 항생제 내성균 6종 가운데 아직 국내 발생 건수가 없거나(VRSA) 토착화되지 않은 내성균이면서(CRE) 의학적·공중보건학적 우선순위가 높은 2종을 전수감시로 전환

이러한 배경 하에 C형간염과 내성균 2종(VRSA, CRE)을 제3군감염병으로 지정하여 전수감시로 전환하는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이 2016년 12월 2일 국회에서 공포되었으며, 진단·신고기준 및 관리지침 개정 등의 준비기간을 거쳐 2017년 6월 3일자로 시행된다.

이에 따라 모든 의료기관은 C형간염, VRSA 감염증, CRE 감염증 환자 인지 시 보건기관에 의무적으로 신고해야 하며, 보건소는 신고에 대한 사례조사를 실시하고 사례 분석을 통해 집단 발생이 의심되는 경우 시·도에서 즉각적인 역학조사를 실시하게 된다.

* 진단·신고기준과 관리지침 주요내용은 붙임 참고

한편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기석)는 일선에서 의료관련감염을 효과적으로 예방·관리할 수 있도록 ‘의료관련감염 표준예방지침’을 12년 만에 전부 개정하여 6월 중 배포할 예정이다.

* 지침 개정 연혁 : ’02년 병원감염관리지침서 → ’05년 병원감염예방관리지침

이번 지침은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감염관리 실무자 및 의료기관 직원들이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발한 지침으로, 의료기관 내 감염관리체계 및 프로그램, 일반지침, 환경관리, 시술 및 감염종류별 예방지침 설명을 포함한다.

덧붙여 질병관리본부는 조직개편(2017년 5월 8일)을 통해 의료감염관리과(기존에는 의료감염관리TF체제로 운영)를 신설하여 의료관련감염 및 항생제 내성 예방·관리체계를 강화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 2017-06-0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651 방울토마토, 이제 안심하고 드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0 2023.04.13
2650 방청 처리 불량한 자동차 완구 자발적 리콜 실시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8 2023.04.04
2649 방통위, 갤럭시 S24 이용자 사기 피해 주의보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 2024.01.18
2648 방통위, 청소년‘불법 도박스팸’문자 전송 알바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3.03.06
2647 방학끝, 개학기 어린이 교통사고 조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2 2017.08.17
2646 방향 제어 기능 상실할 수 있는 Raymarine 오토파일럿 시스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3.09.08
2645 배선 손상으로 감전 위험 있는 조명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2.12.13
2644 배선 조립 불량으로 화재 및 사고 위험 있는 Polaris ATV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7 2023.02.13
2643 배선이 끊겨 화재 및 화상 위험있는 Elektron 악기 전원공급장치 회수 및 환불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22.02.09
2642 배출구 모서리 날카로워 찰과상 위험 있는 쑤보얼(SUPOR) 전기포트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1 2020.04.13
2641 배터리 단락 위험 있는 Aiper 수영장 청소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3.12.18
2640 배터리 단자함 뚜껑이 분리돼 쉽게 배터리에 접근 가능한 목욕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3 2021.11.29
2639 배터리 단자함 미고정으로 질식 위험 있는 피아노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3.03.13
2638 배터리 문제 있는 Final Touch 주류 디스펜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 2022.07.15
2637 배터리 문제로 화재 위험 있는 Zooby 차량용 베이비 모니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3.09.07
2636 배터리 발연 및 화재 위험 있는 테이블 조명 무상수리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2.07.11
2635 배터리 발화 위험 있는 Lenovo 태블릿 PC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8 2020.08.24
2634 배터리 불량으로 화재 발생시킨 로봇 잔디깎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 2022.08.23
2633 배터리 설계 결함으로 화재 발생 위험 있는 Uoni Yuli 로봇 청소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5 2023.05.25
2632 배터리 셀 관리가 미흡한 블루투스 스피커(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5.20
Board Pagination Prev 1 ...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