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C형간염, 내성균 2종(VRSA, CRE) 전수감시 시작,
집단 감염을 조기 인지하여 선제적 대응한다!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C형간염과 2종의 항생제 내성균 감염증(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 감염증,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 감염증)*을 제3군감염병으로 지정한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이 2017년 6월 3일자로 시행된다고 밝혔다.

*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SA)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 CRE)

제3군감염병은 간헐적으로 유행할 가능성이 있어 계속 그 발생을 감시하고 방역대책의 수립이 필요한 감염병으로, 의사나 한의사는 소속 의료기관의 장을 통해(의료기관에 소속되지 않은 경우는 직접) 관할 보건소장에게 지체 없이 신고하여야 한다.

2015년 말부터 2016년 초 일회용 주사기 재사용 등 의료행위로 인한 C형간염 집단 발생이 이슈화된 바 있으며, 기존의 표본감시체계(186개소 의료기관)로는 보건당국이 표본감시기관 외의 C형간염 집단 발생을 조기 인지하기 어렵다는 지적에 따라 2016년 9월 6일 발표한 C형간염 예방 및 관리대책을 통해 전수감시로의 전환을 추진하였다.

또한 국내외적으로 항생제 내성(Antimicrobial resistance, AMR)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도 2016년 8월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2016~2020)을 수립·발표하여 내성균 2종 전수감시* 등을 포함한 내성균 감시체계 강화를 주요 과제로 추진하였다.

* 현재 표본감시 중인 항생제 내성균 6종 가운데 아직 국내 발생 건수가 없거나(VRSA) 토착화되지 않은 내성균이면서(CRE) 의학적·공중보건학적 우선순위가 높은 2종을 전수감시로 전환

이러한 배경 하에 C형간염과 내성균 2종(VRSA, CRE)을 제3군감염병으로 지정하여 전수감시로 전환하는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이 2016년 12월 2일 국회에서 공포되었으며, 진단·신고기준 및 관리지침 개정 등의 준비기간을 거쳐 2017년 6월 3일자로 시행된다.

이에 따라 모든 의료기관은 C형간염, VRSA 감염증, CRE 감염증 환자 인지 시 보건기관에 의무적으로 신고해야 하며, 보건소는 신고에 대한 사례조사를 실시하고 사례 분석을 통해 집단 발생이 의심되는 경우 시·도에서 즉각적인 역학조사를 실시하게 된다.

* 진단·신고기준과 관리지침 주요내용은 붙임 참고

한편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기석)는 일선에서 의료관련감염을 효과적으로 예방·관리할 수 있도록 ‘의료관련감염 표준예방지침’을 12년 만에 전부 개정하여 6월 중 배포할 예정이다.

* 지침 개정 연혁 : ’02년 병원감염관리지침서 → ’05년 병원감염예방관리지침

이번 지침은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감염관리 실무자 및 의료기관 직원들이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발한 지침으로, 의료기관 내 감염관리체계 및 프로그램, 일반지침, 환경관리, 시술 및 감염종류별 예방지침 설명을 포함한다.

덧붙여 질병관리본부는 조직개편(2017년 5월 8일)을 통해 의료감염관리과(기존에는 의료감염관리TF체제로 운영)를 신설하여 의료관련감염 및 항생제 내성 예방·관리체계를 강화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 2017-06-0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012 해외직구 배송대행 서비스‘미배송·배송지연’피해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9 2019.07.31
3011 밸런스 바이크 안전 관련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4 2019.07.31
3010 보트형 대형 튜브 사용 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6 2019.07.31
3009 중고 카시트 구입 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8 2019.08.01
3008 낙뢰사고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5 2019.08.01
3007 여름철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9 2019.08.02
3006 편리한 전기모기채,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3 2019.08.09
3005 식중독 예방 위한 개인 위생관리는 손 씻기부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19.08.09
3004 에어바운스 사용 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2 2019.08.13
3003 영유아용 과일퓨레, 당류 함량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19.08.13
3002 여름 불청객, 벌 쏘임 사고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19.08.19
3001 여름철 살모넬라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4 2019.08.20
3000 플라스틱 섭취 줄이는방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0 2019.08.21
2999 신학기 초등학생 교통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19.08.22
2998 자동차 이동 시 어린이 안전 관련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1 2019.08.27
2997 홍콩에 1단계 여행경보(남색경보-여행유의)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4 2019.08.28
2996 전동휠체어 의료용 스쿠터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4 2019.08.29
2995 초가을 9월에는 야외활동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19.08.29
2994 비브리오패혈증 환자발생 증가,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19.08.30
2993 일본뇌염 첫 환자 발생에 따른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5 2019.09.02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