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고속도로 졸음쉼터가 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바뀐다. 일정하지 않았던 졸음쉼터 간 간격을 조정하고, 화장실·방범용 시시티브이(CCTV)·조명시설 등 편의시설을 설치하며, 길이가 짧아서 위험했던 진·출입로를 확대하는 등 관련 기준을 크게 강화한다.

    사고 없는 안전한 고속도로를 만들기 위해 졸음쉼터를 확충하겠다는 대선 공약을 이행하는 정책으로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졸음운전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고 국민들이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게 졸음쉼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고속도로 졸음쉼터 설치 및 관리지침」을 제정·시행한다.

    이에 따라, 2020년까지 70여 곳(민자도로 포함)의 졸음쉼터가 새로 설치되고, 운영 중인 232개 졸음쉼터의 안전·편의시설도 전면 개선된다.

    이렇게 되면 고속도로에는 최소한 25km마다 졸음쉼터(또는 휴게소)가 설치되고 화장실 부재, 협소한 주차공간, 어두운 환경에 따른 국민 불편도 해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 고속도로 졸음쉼터 설치·운영 현황 : 총 232개소(도로공사 212, 민자고속도로 20)


    고속도로 졸음운전으로 인해 대형 교통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으로 작년에만 380여 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했다.

    * 졸음운전으로 인한 사망률은 다른 사고보다 1.7배 높은 것으로 분석


    졸음쉼터가 설치된 곳의 졸음운전 사고를 분석한 결과, 사고건수7%, 사망자수는 30%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는 등 졸음쉼터 설치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개선되는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설치장소) 고속도로에서 휴게시설(휴게소, 졸음쉼터) 간 간격이25㎞를 넘지 않도록 졸음쉼터(또는 휴게소)를 추가 설치하여 15분 이내에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급경사·급커브 등 위험한 구간에설치된 졸음쉼터는 안전진단을 거쳐 폐쇄할 계획이다.

    ② (진출입로) 안전하게 졸음쉼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진·출입로 길이를 휴게소 수준으로 확대한다.

    * 감속차로 190m → 215m, 가속차로 220 → 370m


    이는 진·출입로 길이가 짧아 발생하던 졸음쉼터 내 사고를 예방하고, 운전 불편도 개선하기 위한 조치다.

    ③ (규모) 졸음쉼터 이용량을 고려하여 규모를 확대하고, 화물차, 버스 졸음사고 예방을 위해 대형차 주차면도 추가 설치한다.

    ④ (편의시설) 모든 졸음쉼터에 화장실을 설치하고 여성 운전자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여성화장실 비상벨, 방범용 시시티브이(CCTV) 및 조명시설을 설치한다.
     

    “졸음쉼터는 여성들이 이용하기 무서워요. 야간에 너무 어둡잖아요. 낮에는 화장실 때문에 이용하더라도 밤에는 무서워서 들어갈 엄두를 못내겠어요”(‘16.6, 국민생각함)

    “남자들은 화장실이 없어도 급한대로 용무를 보지만, 여자들은 어찌할 바를 몰라요. 더군다나 고령자는 더 참기 어려워요”(‘16.6, 국민생각함) (출처: 국민권익위원회)


    ⑤ (안전시설) 안전하고 쾌적한 졸음쉼터로 개선하기 위해 충격 흡수시설, 과속방지턱, 불법 주·정차 방지시설, 차로유도선(컬러레인), 보행자 안전 공간 등을 추가로 설치한다.

    ⑥ (유지관리) 화장실, 휴식공간 등이 청결하게 관리되도록 졸음쉼터 내 화장실 등에 대한 유지관리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시설물 유지관리 실태를 월 1회 이상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미비점을 보완한다.

    국토교통부 김정렬 도로국장은 “대선공약 이행 차원에서 관련 기준을 크게 강화했다.”며, “앞으로 고속도로의 공공성을 강화하고, 기능을 첨단화하는데 초점을 둘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한국도로공사 관계자는 “제정된 지침에 맞추어 졸음쉼터를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운영 중인 졸음쉼터도 순차적으로 개선하여 졸음 교통사고 예방 등 국민들이 고속도로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라고 전했다.


[ 국토교통부 2017-05-3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511 유해물질 기준을 위반한 USB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3.09.18
510 감전 위험이 있는 Vevor 드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3.09.18
509 제품 개폐 시 화상 위험 있는 PowerXL 와플메이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3.09.07
508 감전 위험 있는 쥐 모양 테이블 조명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3.08.18
507 여름철 이례적으로 인플루엔자 유행 지속, 개인위생수칙 준수 권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3.07.25
506 메트로마켓 / METRO MARKET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3.06.30
505 SSG.COM 사칭 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3.06.20
504 주말 낮 기온 30℃ 이상 더위, 건강수칙 준수 당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3.06.16
503 사이드윙 보호 기능이 미흡한 Kinderkraft 유아용 카시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2.09.28
502 영유아 익사 사고 가능성이 있는 Babyway 유아용 목욕 의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2.08.24
501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 있는 Tacobear 장신구 세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2.08.24
500 주행 중 떨어져나와 부상 위험있는 시마노 자전거 변속기 판매차단 조치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2.08.23
499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JIF 땅콩버터(24)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2.07.27
498 본격적인 무더위 시작, 온열질환 주의 필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2.07.27
497 모아전자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2.07.26
496 살모넬라 오염가능성 있는 초콜릿(5)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2.07.21
495 영유아 수족구병 환자 발생 증가에 따른 예방수칙 준수 및 위생관리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2.07.15
494 벤젠 검출된 자외선차단제(3)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2.07.13
493 피싱 사이트를 이용한 불법 금융투자 사기에 속지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4.05.23
492 프레임 균열로 부상 위험 있는 전기 화물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4.04.16
Board Pagination Prev 1 ...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