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고속도로 졸음쉼터가 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바뀐다. 일정하지 않았던 졸음쉼터 간 간격을 조정하고, 화장실·방범용 시시티브이(CCTV)·조명시설 등 편의시설을 설치하며, 길이가 짧아서 위험했던 진·출입로를 확대하는 등 관련 기준을 크게 강화한다.

    사고 없는 안전한 고속도로를 만들기 위해 졸음쉼터를 확충하겠다는 대선 공약을 이행하는 정책으로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졸음운전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고 국민들이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게 졸음쉼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고속도로 졸음쉼터 설치 및 관리지침」을 제정·시행한다.

    이에 따라, 2020년까지 70여 곳(민자도로 포함)의 졸음쉼터가 새로 설치되고, 운영 중인 232개 졸음쉼터의 안전·편의시설도 전면 개선된다.

    이렇게 되면 고속도로에는 최소한 25km마다 졸음쉼터(또는 휴게소)가 설치되고 화장실 부재, 협소한 주차공간, 어두운 환경에 따른 국민 불편도 해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 고속도로 졸음쉼터 설치·운영 현황 : 총 232개소(도로공사 212, 민자고속도로 20)


    고속도로 졸음운전으로 인해 대형 교통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으로 작년에만 380여 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했다.

    * 졸음운전으로 인한 사망률은 다른 사고보다 1.7배 높은 것으로 분석


    졸음쉼터가 설치된 곳의 졸음운전 사고를 분석한 결과, 사고건수7%, 사망자수는 30%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는 등 졸음쉼터 설치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개선되는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설치장소) 고속도로에서 휴게시설(휴게소, 졸음쉼터) 간 간격이25㎞를 넘지 않도록 졸음쉼터(또는 휴게소)를 추가 설치하여 15분 이내에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급경사·급커브 등 위험한 구간에설치된 졸음쉼터는 안전진단을 거쳐 폐쇄할 계획이다.

    ② (진출입로) 안전하게 졸음쉼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진·출입로 길이를 휴게소 수준으로 확대한다.

    * 감속차로 190m → 215m, 가속차로 220 → 370m


    이는 진·출입로 길이가 짧아 발생하던 졸음쉼터 내 사고를 예방하고, 운전 불편도 개선하기 위한 조치다.

    ③ (규모) 졸음쉼터 이용량을 고려하여 규모를 확대하고, 화물차, 버스 졸음사고 예방을 위해 대형차 주차면도 추가 설치한다.

    ④ (편의시설) 모든 졸음쉼터에 화장실을 설치하고 여성 운전자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여성화장실 비상벨, 방범용 시시티브이(CCTV) 및 조명시설을 설치한다.
     

    “졸음쉼터는 여성들이 이용하기 무서워요. 야간에 너무 어둡잖아요. 낮에는 화장실 때문에 이용하더라도 밤에는 무서워서 들어갈 엄두를 못내겠어요”(‘16.6, 국민생각함)

    “남자들은 화장실이 없어도 급한대로 용무를 보지만, 여자들은 어찌할 바를 몰라요. 더군다나 고령자는 더 참기 어려워요”(‘16.6, 국민생각함) (출처: 국민권익위원회)


    ⑤ (안전시설) 안전하고 쾌적한 졸음쉼터로 개선하기 위해 충격 흡수시설, 과속방지턱, 불법 주·정차 방지시설, 차로유도선(컬러레인), 보행자 안전 공간 등을 추가로 설치한다.

    ⑥ (유지관리) 화장실, 휴식공간 등이 청결하게 관리되도록 졸음쉼터 내 화장실 등에 대한 유지관리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시설물 유지관리 실태를 월 1회 이상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미비점을 보완한다.

    국토교통부 김정렬 도로국장은 “대선공약 이행 차원에서 관련 기준을 크게 강화했다.”며, “앞으로 고속도로의 공공성을 강화하고, 기능을 첨단화하는데 초점을 둘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한국도로공사 관계자는 “제정된 지침에 맞추어 졸음쉼터를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운영 중인 졸음쉼터도 순차적으로 개선하여 졸음 교통사고 예방 등 국민들이 고속도로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라고 전했다.


[ 국토교통부 2017-05-3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751 미세한 조각으로 인해 부상 위험이 있는 아이섀도우(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4.05.20
2750 미세한 조각으로 인해 부상 위험이 있는 아이섀도우(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5.20
2749 미승인 성분 포함으로 리콜된 Sante 안약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1 2023.07.12
2748 미승인 성분이 함유된 Psychotic 운동 보조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 2023.12.13
2747 미신고 가상자산사업자에 대한 이용 및 거래에 각별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2.08.18
2746 미신고(불법) 거래소를 통한 투자권유, 투자금만 받고 출금은 거부하는 사기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4.01.22
2745 미역·다시마 등 해조류는 방사능 체내 배출 효과와 관련 없습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3.08.30
2744 미인증 블루투스 스피커용 피젯스피너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2 2018.03.09
2743 미키하우스 유아용 샌들, 파손으로 인한 부상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18.09.06
2742 미표기된 대두, 계란 등 성분 함유하여 알레르기 우려 있는 과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07.14
2741 미표기된 우유 단백질 성분 함유하여 알레르기 우려 있는 라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2.07.14
2740 미허가 식물 성분 존재해 리콜된 Gluta LIPO 주스 분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4 2023.01.13
2739 미허용 감미료 검출된 Super Bubur 인스턴트 죽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 2024.02.29
2738 미허용 성분(CMIT/MIT) 함유 수입 세척제 수거.폐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8 2019.03.19
2737 미확인 성분 포함 가능성 있는 고바야시 제약 건강기능식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 2024.05.07
2736 미흡한 접지연결로 감전 위험 있는 Vevor 드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4 2022.06.07
2735 민어 구매할 때 영상가이석태 등에 속지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7 2021.09.01
2734 민원24 민원안내 도용 스팸문자(스미싱)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1 2018.07.23
2733 밀 성분에 대한 알레르기 주의사항 표시 미흡한 MY.San 크래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21.05.25
2732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긴팔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21.05.03
Board Pagination Prev 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