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국민안전처는 재난안전사고 통계와 SNS상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매월 그 달의 유의하여야할 재난안전사고를 선정할 예정이다.

최근 10년간 주요 재난안전사고 통계 분석과, 통계상으로 나타나지 않는 국민들의 관심도를 알아보기 위한 트윗 빅데이터 분석을 종합하여 월별로 주의할 재난안전사고 유형을 도출하고 관계기관 및 지자체에 중점관리 재난안전사고 유형을 통보하여 사전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고, 국민들에게도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6월에는 중점관리 재난안전사고 8개 유형을 선정하고, 국민들과 관련 기관에게 각별한 주의를 기울일 것을 당부하였다.

선정기준으로 해당유형의 통계상 발생빈도와 SNS상 국민의 관심도가 반영 되었다.

(자연재난) 최근 10년간 기상특보 현황을 분석하면 6월에는 대부분의 자연재난 발생빈도가 월평균보다 낮다. 그러나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가뭄과 6월말부터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호우, 폭염에 대비가 필요하다.

(가뭄) 5월 말 기준 전국 평균 누적 강수량은 평년의 56% 수준이며 농업용수의 경우 경기 남부지역과 충남 서부지역의 가뭄상황이 심해지고 있다.

정부는 모내기철과 그 이후 영농에 차질이 없도록 급수차 긴급지원,  간이양수장 설치 등 가뭄대책을 추진할 예정이다.

(호우) 금년 6월은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는 날이 많아 평년(158.6mm)보다 강수량은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6월말은 호우가 본격적으로 발생하는 시기이므로 사전에 대비가 필요하다.

각 지자체에서는 저지대 침수에 대비하여 배수펌프 가동준비를 철저히 하고 재난 취약지역(절개지, 산사태위험지역, 하천변 도로·주차장 등)에 대한 사전 점검활동 강화가 필요하다.

(폭염) 금년 여름철 기온은 평년(23.6℃)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6월 중 폭염 발생일수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정부는 폭염대책을 추진(`17.5.20~)하고 맞춤형 폭염예보도 실시하고 있다. 국민들께서는 기상정보를 수시로 확인해서 폭염 발생시에는 작업이나 외출 등을 자제해 주시기 바란다.

(사회재난) 최근 유형별 사고발생건수 및 사망자수와 SNS 국민관심도 등을 고려하였을 때 수난사고, 농기계사고, 감염병 발생, 전기사고, 자전거 사고에 주의하여야 한다.

(수난사고) 6월말부터 일부 해수욕장이 개장하여 월평균보다 안전사고 발생건수, 사망자수 모두 높게 나타나고 있다.

대부분의 수난사고는 안전수칙을 지키지 않아 발생한다. 국민들께서는 국민안전처에서 발표하는 물놀이 안전명소를 참고하여 안전한 장소에서 안전수칙을 준수하며 물놀이를 즐기시길 바란다.

(농기계사고) 6월 초까지 모내기가 이어지며 농기계 사용이 늘어남에 따라 농기계 사고에 유의해야 한다.

특히 농기계는 별다른 안전장치가 없기 때문에 교통사고시 치사율이 일반차량에 비해 8배 이상(농기계 16.8%, 일반차량 2.2%) 높다. 경찰청 및 지자체에서는 음주운전 방지 및 사고 예방활동 강화가 필요하다.

따라서 관련부처, 지자체의 감염병 예방 수칙 등의 적극적 홍보가 필요하며, 신종 감염병 등 감염병 발생시 신속한 대처가 중요하다.

(전기사고) 전기사고는 장마철이 시작되는 6월부터 발생빈도가 늘어난다. 대조기(6.24~27)에 해안가나 집중호우시 공사장, 저지대 등에서 침수로 인한 감전사고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자전거사고) 6월은 1년 중 자전가 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달이다. 특히 올해는 이른바 징검다리 연휴(3~6일)로 국민들의 야외활동 이 크게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어, 자전거 사고 및 레저활동 사고 대비가 필요하다.

국민안전처 최복수 안전총괄기획관은 “재난안전사고 유형 중점관리가 시기별로 빈발하는 재난안전사고 예방 및 사망자수 감소로 이어질 것이라 기대한다“며 “국민들께서는 6월 중점관리 재난안전사고 8가지 유형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사전에 행동요령을 숙지해 주시기를 당부드린다”고 밝혔다.



[ 국민안전처 2017-05-3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609 주민센터 강좌 수강신청, 카톡으로도 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16 21
9608 전국 95%(서울의 80%)인 9억원 미만 공동주택은 재산세 부담이 크게 늘어나지 않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16 21
9607 2020 통계로 보는 장애인의 삶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24 21
9606 전자상거래법 상품정보제공고시 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22 21
9605 관계부처 통합 부동산 정책정보 웹사이트“정책풀이집”구축․운영계획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23 21
9604 억울한 허가취소, 자격박탈 없도록...행정절차법 대폭 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0.13 21
9603 보험소비자 권익보호 등을 위한 자동차보험 표준약관 개정 안내 (전동킥보드, 음주운전 사고부담금 등 관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0.20 21
9602 자동차 수리 시 친환경 부품 사용률 매우 낮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0.21 21
9601 소비자분쟁해결기준 개정(여행·항공·숙박·외식서비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12 21
9600 국가유공자확인서, 장애인증명서 스마트폰으로 들어온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13 21
9599 울릉공항 실착공으로 2025년 울릉도 하늘길 연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17 21
9598 아이들이 일상을 보내는 학교와 어린이집 안전정보 한 눈에 확인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30 21
9597 곰팡이독소 기준 초과 '수수분말'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24 21
9596 더 편리하고 똑똑해진 ‘공유누리’로 대한민국을 공유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04 21
9595 공공빅데이터 청년인턴 경험, 실질적인 취업으로 이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04 21
Board Pagination Prev 1 ...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