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패스트푸드점에서 알레르기 유발 식품 확인하세요! -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손문기)는 햄버거, 피자 등 어린이 기호식품을 조리·판매하는 식품접객업소 중 점포수가 100개 이상인 프랜차이즈업체에 대해 알레르기 유발 식품 표시를 의무화하는 ‘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제‘가 오는 5월 30일부터 본격 시행된다고 밝혔다.
○ 이번 시행으로 소비자들은 어린이 기호식품인 제과‧제빵류, 아이스크림류, 햄버거, 피자를 조리·판매하는 패스트푸드점 등 프랜차이즈 매장에서도 알레르기 정보를 정확하게 확인하여 메뉴를 선택‧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 표시대상 영업장 : 34개 업체, 16,343개 매장(’17.4월 현재)
○ 표시 방법은 해당 영업장에서 제공하는 식품 중 알레르기 유발 원재료를 사용하거나 함유하게 되면 그 양과 상관없이 알레르기 유발 식품 원재료명을 소비자가 쉽게 알아 볼 수 있도록 바탕색과 구분되는 색상으로 눈에 띄게 표시해야 한다.
* 알레르기 유발식품 21종 : 난류(가금류에 한함), 우유, 메밀, 땅콩, 대두, 밀, 고등어, 게, 새우, 돼지고기, 복숭아, 토마토, 아황산류(이를 첨가하여 최종제품에 SO2로 10mg/kg 이상 함유), 호두, 닭고기, 쇠고기, 오징어, 조개류(굴, 전복, 홍합포함)
- 매장에서 주문을 받아 판매하는 경우 메뉴게시판, 메뉴북, 네임텍 등에 표시하거나 영업장내 책자나 포스터에 일괄 표시할 수 있다.
- 홈페이지 등 온라인을 통해 주문을 받아 배달하는 경우 해당 홈페이지에 해당 원재료명을 표시하여야 하며, 전화를 통해 주문을 받아 배달하는 경우 해당 원재료명이 표시된 리플릿, 스티커 등을 함께 제공해야 한다.

□ 식약처는 어린이 기호식품 등의 알레르기 유발 식품 표시제 시행으로 어린이들이 식품 알레르기에 대한 걱정 없이 안전한 식품을 선택하고 섭취 할 수 있는 식생활 환경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www.mfds.go.kr> 법령‧자료> 법령정보> 고시전문)에서 확인 할 수 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17-05-2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153 Toothette Oral Care 구강 스프레이(Advance Oral Moisturizer Spray) 일부 생산분 오염 가능성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4 2017.12.26
3152 Le Toy Van 완구(Petilou Tunnel Puzzle-Momma Bear), 질식 위험으로 교환·환불 및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4 2017.12.06
3151 식약처, 비가열 햄.소시지 등 수거.검사 결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4 2017.09.05
3150 카페인이 과다 함유되어 있는 Bang 에너지 음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23.04.10
3149 박테리아 오염 가능성이 있는 Fabuloso 다목적 세정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23.03.16
3148 LG베스트몰 주의게시글 타이틀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22.03.17
3147 뒷바퀴 탈락 위험 있는 Inglesina Quid 유모차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21.07.12
3146 쉽게 결정하는 백내장 수술, 부작용 발생에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20.05.14
3145 탄소 혼입에 따른 누전 위험 있는 옴(OHM) 고무 전기 플러그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20.04.14
3144 일부 어린이 과학교구에서 유해물질 검출돼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20.02.12
3143 설 명절, 감염병 예방수칙은 꼭 지켜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20.01.23
3142 인플루엔자 지속 증가, 감염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19.04.12
3141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감염증 발생 증가에 따른 예방·관리 강화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18.11.05
3140 2017-2018절기 인플루엔자“유행주의보 해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18.05.25
3139 ‘무늬만 가상통화 관련주’ 투자 유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18.02.22
3138 냉동만두 관련 비교정보 생산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18.02.07
3137 RSV 감염증 발생 지속에 따른 영유아 감염 예방·관리 철저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17.12.06
3136 Intenze 문신용 염료(Dark Tone 1 oz(29.6ml)), 발암물질 초과 검출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17.10.31
3135 2017년 8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17.09.18
3134 에틸렌옥사이드 성분 함유된 Bonneterre Soja du chef 조리용 음료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2 2021.10.14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