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국민안전처(장관 박인용)와 한국소방안전협회(회장 김명현)는 5월 27일부터 28일까지 150가족(약 600명)이 참여하는 ‘119안전체험 가족캠핑’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최근 주5일 근무제와 유연근무제 확대 등으로 가족 단위 캠핑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가족과 함께 야영장에서 안전체험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한 것이다.

이번 행사는 가족과 함께 안전체험과 캠핑을 동시에 누릴 수 있어 어린 자녀를 둔 가족들에게 인기 있는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올해에도 예약이 조기에 마감되었다.

‘119안전체험 가족캠핑’은 충남 천안 안전체험관을 방문해 화재·생활·교통안전과 태풍·지진 등 각종 재난 발생 시 대응요령을 체험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안전체험 교육 후에는 천안 독립기념관 야영장으로 이동하여 심폐소생술과 소화기 사용법을 배우고 직접 소방관이 되어 소방차  방수체험도 할 수 있다.

저녁에는 안전퀴즈대회 등 다양한 레크리에이션을 진행하여 가족과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특히, 안전한 캠핑을 즐기기 위해 다음과 같은 야영장 화재예방 교육도 실시된다.

첫째, 텐트는 불에 타기 쉬운 재질로 만들어 져 불을 사용 할 때에는 일정거리를 유지하고 주변에 소화기를 비치해 두어야 한다.

둘째, 휴대용 가스레인지 사용 시 가스레인지보다 큰 불판이나 냄비는 열을 반사시켜 부탄가스를 과열·폭발 시킬 수 있으니 적당한 크기의 조리 용기를 사용해야 한다.

셋째, 전기제품을 사용할 때에는 전기 릴선이나 케이블은 누전차단기가 설치된 제품을 사용하고 우천 시에는 즉시 전원을 차단해야 한다.

한편 국민안전처는 이틀간의 행사기간 동안 캠핑장 내에 소방차와 안전요원을 상시 배치하여 어린이들과 가족들의 안전을 지킬 예정이다.

국민안전처 최민철 119생활안전과장은 “이번 가족캠핑이 안전한 캠핑문화 조성에 도움이 될 수 있길 바란다.”며 “안전한 캠핑을 위해 캠핑장 안전수칙을 지키는데 동참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문의 : 119생활안전과 소방경 오상목(044-205-7355)



[ 국민안전처 2017-05-2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130 요즘 잘 나가는 농산물 직거래, 국민호응도 높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5 105
4129 욕실 바닥 미끄럽지 않게, “실내건축기준” 마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28 83
4128 욕실세정제, 세정력 및 용기강도 제품별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25 43
4127 욕실용 필터샤워기 일부 제품, 잔류염소 제거성능 미흡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30 20
4126 욕실화 2종 자발적 리콜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30 18
4125 용도지역별 도로 확보율 기준 현실화된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4 228
4124 용산기지 버스투어, 2020년에도 계속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6 10
4123 용산어린이정원 안전성 검증 세 차례 모두 '합격'... "일반 어린이공원만큼 깨끗"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08 12
4122 용인~서울 민자고속도로 통행료 “10% 내린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23 102
4121 용접작업 시 소방서에 사전 신고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13 94
4120 우리 가게의 적정한 임대료를 알아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19 18
4119 우리 국민 2.1명당 자동차 1대 보유 상반기 자동차 등록대수 2,400만 대(2,402만 대) 돌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24 13
4118 우리 국민 당류 섭취량은 WHO 권고기준 미만…6~18세 어린이·청소년 3명 중 1명은 기준 초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9 24
4117 우리 국민, 20년간 흡연은 줄고 비만은 늘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9 10
4116 우리 국민의 가공육.적색육 섭취 수준 우려할 정도 아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2 79
Board Pagination Prev 1 ... 646 647 648 649 650 651 652 653 654 655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