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국민안전처(장관 박인용)는 무더워지는 날씨와 수온 상승으로 인해 해안가, 갯벌, 갯바위 등 연안에서의 물놀이, 어패류 채취(해루질) 등 레저·체험활동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이에 따른 안전사고 우려도 높아지고 있어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지난 3년 간(‘14~’16) 연안사고 통계를 살펴보면, 총 2,584건의 안전사고가 발생하여 388명이 사망(연 평균 129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름철에 집중 발생하여, 6~8월 중 연안사고로 인한 사망자수는 153명으로 전체의 39%를 차지하였다.

6~8월 중 연안에서 발생한 사망사고를 분석해 보면, 발생 장소는 해안가 55명(36%), 방파제·항포구 34명(23%), 해양 32명(21%) 순으로, 특히, 갯바위·방파제·항포구의 경우사망자수는 매년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 유형 별로 살펴보면 익수가 103명(68%)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추락 31명(20%), 고립 5명(3%), 표류 3명(2%)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로 무리한 물놀이(익수)와 위험한 해안 절벽 접근에 따른 실족(추락) 등으로 인한 것으로, 부주의와 안전수칙 미준수가 큰 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올해만 해도 벌써 지난 5월 8일 충남 태안군 소재 해수욕장 인근 갯벌에서 30대 남성이 어패류를 채취(해루질)하다 물에 빠져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였으며, 지난 14일에도 강원도 삼척시 궁촌항 방파제(테트라포드)에서 50대 남성이 낚시를 하던 중 추락하여 큰 부상을 입는 등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이러한 연안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사전에 기상정보 등을 확인하고, 위험구역 등에 비치된 각종 안내표지판의 준수사항을 꼭 지켜야 하며, 출입통제장소에는 절대로 들어가서는 안 된다.

또한, 갯벌에 출입할 때는 사전에 물이 들어오는 들물 시간을 확인하여 휴대폰 알람 등을 설정해 두고, 들물 전에 반드시 갯벌에서 나오도록 하며, 추락사고 위험이 높은 방파제(테트라포드)·갯바위 등에서는 미끄러지지 않는 신발을 착용하고 활동하는 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국민안전처 관계자는 “연안사고는 순간의 부주의가 목숨을 잃는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연안에서 안전한 레저활동을 즐기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본인 스스로 위험요소 등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안전수칙을 꼭 준수해 주시기 바란다.”라고 당부하였다.



[ 국민안전처 2017-05-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533 대학생 청년층, 사기성 작업대출의 피해자가 되지 않도록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4 2022.05.24
1532 단추형 전지 노출 우려 있는 Smiggle 유아용 손목시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4 2022.04.29
1531 미세먼지 차단 기능이 미흡한 Dr. Frei 마스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4 2021.06.24
1530 유리 이물질 혼입된 La Bio Idea 소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4 2021.06.02
1529 코로나19 재난지원금·대출·주식투자 유도 문자 속지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4 2021.02.08
1528 균열이 쉽게 생겨 낙상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Fischer 스키부츠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4 2020.04.13
1527 바퀴 부분 파손으로 낙상 위험 있는 Amazon Basics 사무용 회전의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23.01.12
1526 더키월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22.09.01
1525 물기·습기 많은 장마철, 감전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22.06.23
1524 알레르기 유발 성분(우유) 미표시된 Ruffles 감자칩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21.06.02
1523 “설 명절 택배, 상품권 소비자 피해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21.02.03
1522 올해 온열질환자 작년 발생 초과, 휴가철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18.07.30
1521 새 학기 시작,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18.03.08
1520 "겨울철 전열기 사용 시 화재·화상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2 2022.11.28
1519 조각투자에 대한 소비자경보 발령(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2 2022.04.20
1518 솔기 파손돼 질식 위험있는 손목 딸랑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2 2022.04.04
1517 성분 표시가 정확하지 않은 Jurlique 에센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2 2021.11.30
1516 알레르기 성분(우유) 미표시한 Tesco 샐러드 드레싱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2 2021.11.04
1515 알레르기 성분(땅콩) 미표기된 Natural Way 아몬드 버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2 2021.06.24
1514 OCTOBERMAY INTL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2 2021.01.28
Board Pagination Prev 1 ...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