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시스템으로 집계한 ’08년부터 ’17년 4월까지 주민등록 인구의 연령 분포 변화를 보면, 0세에서 14세 비율은 17.2%에서 13.3%로 3.9%p 감소한 반면, 15세에서 64세 비율은 72.6%에서 72.9%로 0.3%p 증가했고, 65세 이상 비율은 10.2%에서 13.8%로 3.6%p 증가하였다.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올해 4월말 현재 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는 51,722,903명으로 지난 3월말에 비해 7,968명(0.02%) 늘었다.

주민등록 인구 중에서 거주자는 51,215,125명(99.02%), 거주불명자는 457,763명(0.89%), 재외국민은 50,015명(0.10%)이다. 주민등록 세대수는 21,402,062세대로, ’17년 3월 21,381,346세대보다 20,716세대가 증가했다. 세대당 인구는 2.42명이다.

지난달과 비교할 때 경기(9,978명), 세종(2,934명), 충남(2,136명), 제주(1,216명), 충북(795명) 포함 8개 시도의 인구는 늘어난 반면, 서울(△4,223명), 부산(△1,759명), 대전(△793명), 전북(△782명), 광주(△764명), 경북(△734명) 등 9개 시도의 인구는 감소하였다.

’17년 4월말 주민등록 인구 중 0세에서 14세는 6,860,060명으로 전체 인구의 13.3%이고, 15세에서 64세는 37,730,417명으로 72.9%이며, 65세 이상은 7,132,426명으로 13.8%이다.

0세에서 14세 비율이 전국 비율(13.3%)보다 높은 시도는 세종(20.6%), 제주(15.2%), 광주(14.8%) 등 10개 지역이고, 전국 비율보다 낮은 시·도는 부산(11.4%), 서울(11.5%), 강원(12.1%), 경북(12.2%), 전남(12.5%) 등 7개 지역이다.

15세에서 64세 비율이 전국 비율(72.9%)보다 높은 시도는 울산(75.9%), 서울(75.2%), 인천(75.1%) 등 7개 지역이고, 전국 비율보다 낮은 시도는 전남(66.3%), 전북(68.5%), 충남(69.1%), 경북(69.2%), 세종(69.6%) 등 10개 지역이다.

65세 이상 비율이 전국 비율(13.8%)보다 높은 시도는 전남(21.2%), 경북(18.6%), 전북(18.5%) 등 9개 지역이고, 전국 비율보다 낮은 시도는 울산(9.6%), 세종(9.8%), 경기(11.0%), 인천(11.3%), 대전(11.6%) 등 8개 지역이다.

’08년부터 ’17년 4월까지 연령 분포의 변화를 보면, 0세에서 14세는 17.2%에서 13.3%로 3.9%p 감소, 15세에서 64세는 72.6%에서 72.9%로 0.3%p 증가, 65세 이상은 10.2%에서 13.8%로 3.6%p 증가하였다.

시도에서 동일 기간 동안 0세에서 14세 비율이 늘어난 곳은 세종(5.0%p)이 유일하고, 비율이 줄어든 곳은 광주(5.2%p), 대전(4.6%p), 울산(4.6%p), 경기(4.5%p) 등 16개 지역이다.

15세에서 64세 비율이 늘어난 곳은 제주(1.8%p), 세종(1.8%p), 경기(1.7%p), 광주(1.5%p) 등 15개 지역이고, 비율이 줄어든 곳은 부산(2.4%p)과 서울(0.9%p)이다.

65세 이상 비율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부산(5.5%p)으로, 서울(4.6%p), 대구(4.3%p), 전북(3.8%p) 등 16개 지역 비율은 증가한 반면, 세종(6.8%p)은 유일하게 비율이 줄었다.

시·군·구에서 동일 기간 0세에서 14세 비율이 늘어난 지역은 부산 강서(8.7%p), 기장(2.5%p), 전남 무안(0.1%p) 3곳뿐이고, 줄어든 곳은 경기 안산(7.3%p), 경기 시흥(6.9%p), 인천 계양(6.8%p) 등 223개 지역(시·군·구의 98.7%)이다.

15세에서 64세 비율이 늘어난 곳은 광주 광산(4.7%p), 경기 안산(4.7%p), 시흥(4.7%p)등 91개 지역(시·군·구의 40.3%)이고, 15세에서 64세 비율이 줄어든 곳은 부산 영도(5.0%p), 강서(4.6%p), 경북 의성(4.4%p) 등 135개 지역(59.7%)이다.

65세 이상 비율이 늘어난 곳은 부산 영도(8.9%p), 동구(7.9%p), 경남 합천(7.8%p) 등 223개 지역(시·군·구의 98.7%)이고, 65세 이상 비율이 줄어든 곳은 부산 강서(4.1%p), 전남 무안(0.3%p), 나주(0.2%p) 3개 지역이다.



[ 행정자치부 2017-05-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299 전 국가·지역 해외여행에 대한 특별여행주의보 재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18 35
6298 하도급법 과징금고시 개정안 행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15 35
6297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8월 4일 국회 본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04 35
6296 시중에 유통 중인 새싹보리 분말 제품 모두 조사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03 35
6295 쌍용, 현대, 벤츠, 포르쉐, 혼다, 한불 결함시정(리콜) 실시[총 6개사 109,212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02 35
6294 의료급여법 시행규칙 일부 개정령안 시행 (7.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29 35
6293 질병관리본부, 안전 수칙 준수로 안전한 예방접종 지속 실시 요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22 35
6292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하한액 32만 원·상한액 503만 원 2020년 7월부터 상향 적용 예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8 35
6291 대구 지역의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봉사할 의료인을 모집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5 35
6290 2020년 1학기 장애대학생 교육활동 지원 사업을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5 35
6289 불법영업 펜션 등 영리목적 위반건축물 이행강제금 강화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10 35
6288 무신고 수입산 고무장갑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08 35
6287 기초연금 선정기준액 148만 원(단독가구 기준)으로 오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02 35
6286 임신부 자녀도 어린이집 우선 입소대상에 포함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02 35
6285 「2020년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 책자 발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30 35
Board Pagination Prev 1 ...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08 509 510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