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시스템으로 집계한 ’08년부터 ’17년 4월까지 주민등록 인구의 연령 분포 변화를 보면, 0세에서 14세 비율은 17.2%에서 13.3%로 3.9%p 감소한 반면, 15세에서 64세 비율은 72.6%에서 72.9%로 0.3%p 증가했고, 65세 이상 비율은 10.2%에서 13.8%로 3.6%p 증가하였다.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올해 4월말 현재 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는 51,722,903명으로 지난 3월말에 비해 7,968명(0.02%) 늘었다.

주민등록 인구 중에서 거주자는 51,215,125명(99.02%), 거주불명자는 457,763명(0.89%), 재외국민은 50,015명(0.10%)이다. 주민등록 세대수는 21,402,062세대로, ’17년 3월 21,381,346세대보다 20,716세대가 증가했다. 세대당 인구는 2.42명이다.

지난달과 비교할 때 경기(9,978명), 세종(2,934명), 충남(2,136명), 제주(1,216명), 충북(795명) 포함 8개 시도의 인구는 늘어난 반면, 서울(△4,223명), 부산(△1,759명), 대전(△793명), 전북(△782명), 광주(△764명), 경북(△734명) 등 9개 시도의 인구는 감소하였다.

’17년 4월말 주민등록 인구 중 0세에서 14세는 6,860,060명으로 전체 인구의 13.3%이고, 15세에서 64세는 37,730,417명으로 72.9%이며, 65세 이상은 7,132,426명으로 13.8%이다.

0세에서 14세 비율이 전국 비율(13.3%)보다 높은 시도는 세종(20.6%), 제주(15.2%), 광주(14.8%) 등 10개 지역이고, 전국 비율보다 낮은 시·도는 부산(11.4%), 서울(11.5%), 강원(12.1%), 경북(12.2%), 전남(12.5%) 등 7개 지역이다.

15세에서 64세 비율이 전국 비율(72.9%)보다 높은 시도는 울산(75.9%), 서울(75.2%), 인천(75.1%) 등 7개 지역이고, 전국 비율보다 낮은 시도는 전남(66.3%), 전북(68.5%), 충남(69.1%), 경북(69.2%), 세종(69.6%) 등 10개 지역이다.

65세 이상 비율이 전국 비율(13.8%)보다 높은 시도는 전남(21.2%), 경북(18.6%), 전북(18.5%) 등 9개 지역이고, 전국 비율보다 낮은 시도는 울산(9.6%), 세종(9.8%), 경기(11.0%), 인천(11.3%), 대전(11.6%) 등 8개 지역이다.

’08년부터 ’17년 4월까지 연령 분포의 변화를 보면, 0세에서 14세는 17.2%에서 13.3%로 3.9%p 감소, 15세에서 64세는 72.6%에서 72.9%로 0.3%p 증가, 65세 이상은 10.2%에서 13.8%로 3.6%p 증가하였다.

시도에서 동일 기간 동안 0세에서 14세 비율이 늘어난 곳은 세종(5.0%p)이 유일하고, 비율이 줄어든 곳은 광주(5.2%p), 대전(4.6%p), 울산(4.6%p), 경기(4.5%p) 등 16개 지역이다.

15세에서 64세 비율이 늘어난 곳은 제주(1.8%p), 세종(1.8%p), 경기(1.7%p), 광주(1.5%p) 등 15개 지역이고, 비율이 줄어든 곳은 부산(2.4%p)과 서울(0.9%p)이다.

65세 이상 비율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부산(5.5%p)으로, 서울(4.6%p), 대구(4.3%p), 전북(3.8%p) 등 16개 지역 비율은 증가한 반면, 세종(6.8%p)은 유일하게 비율이 줄었다.

시·군·구에서 동일 기간 0세에서 14세 비율이 늘어난 지역은 부산 강서(8.7%p), 기장(2.5%p), 전남 무안(0.1%p) 3곳뿐이고, 줄어든 곳은 경기 안산(7.3%p), 경기 시흥(6.9%p), 인천 계양(6.8%p) 등 223개 지역(시·군·구의 98.7%)이다.

15세에서 64세 비율이 늘어난 곳은 광주 광산(4.7%p), 경기 안산(4.7%p), 시흥(4.7%p)등 91개 지역(시·군·구의 40.3%)이고, 15세에서 64세 비율이 줄어든 곳은 부산 영도(5.0%p), 강서(4.6%p), 경북 의성(4.4%p) 등 135개 지역(59.7%)이다.

65세 이상 비율이 늘어난 곳은 부산 영도(8.9%p), 동구(7.9%p), 경남 합천(7.8%p) 등 223개 지역(시·군·구의 98.7%)이고, 65세 이상 비율이 줄어든 곳은 부산 강서(4.1%p), 전남 무안(0.3%p), 나주(0.2%p) 3개 지역이다.



[ 행정자치부 2017-05-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344 식약처, 국가필수의약품 8종 신규 지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30 35
6343 화상 우려 엠에스알(MSR) 캠핑용 냄비, 자발적 리콜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19 35
6342 「2023년 가족실태조사」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17 35
6341 화물, 제대로 안 묶으면 단속 걸린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16 35
6340 국민연금 가입률 73.9%, 노인 수급률 50% 돌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28 35
6339 일본에서 연쇄상구균 독성쇼크증후군(STSS) 환자 증가, 고위험군 증상발생 시 신속한 치료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25 35
6338 앞으로 호텔에서 일회용 칫솔, 일회용 세면도구 무료로 제공할 수 없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29 35
6337 육아휴직 업무 공백이요? 인재채움뱅크와 대체인력일자리 전용관으로 해결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29 35
6336 휴대전화 가족결합 할인도 공공 마이데이터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19 35
6335 국제거래, 물품구매보다 서비스거래에서 피해경험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31 35
6334 이 세상 가장 뿌듯한 나눔 “장기기증, 뿌듯함을 예약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30 35
6333 풍요로운 한가위, 선물·제수용품 원산지 확인은 필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30 35
6332 후원방문판매업자의 정보공개에 관한 고시 개정·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03 35
6331 휠체어그네 안전기준 마련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05 35
6330 국민권익위, “반지하 주택 관련 민원분석 결과 열악한 주거환경 개선 목소리 가장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8 35
Board Pagination Prev 1 ... 498 499 500 501 502 503 504 505 506 507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