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족구병 환자 발생 증가, 올바른 손씻기 생활화 등 준수 당부!

수족구병 최근 3주째 지속적인 증가 추세

외출 후, 배변 후, 식사 전·후, 기저귀 교체 전·후 손씻기의 생활화

수족구병이 의심되면 즉시 의료기관에서 진료받기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기석)는 수족구병*의 신고건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수족구병이 많이 발생하는 연령인 5세 이하의 어린이가 집단생활 하는 어린이집 및 유치원 등에서 전파에 의한 집단 발생 가능성이 있으므로, 손씻기 생활화 등 예방수칙 준수를 각별히 당부하였다.

* 수족구병이란 콕사키바이러스나 엔테로바이러스에 감염에 의해 발열 및 입안의 물집과 궤양, 손과 발의 수포성 발진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특히 영유아에서 많이 발생하며, 감염된 사람의 호흡기 분비물(침, 가래, 코) 또는 대변 등을 통해서 다른 사람에게 전파됨

전국 98개 의료기관이 참여한 수족구병 표본감시 결과, 수족구병 의사환자는 외래환자 1,000명당 17주 0.7명, 18주 1.4명, 19주 1.4명, 20주 2.4명(잠정치)으로 증가하며, 6월부터 본격적인 유행 시기에 돌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발열 및 손, 발, 입안에 수포가 생기는 등 수족구병이 의심될 경우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염기간(발병 후 1주일)에는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피하고 자가격리를 권고하였다.

수족구병은 대부분의 경우 증상 발생 후 7~10일 이후 자연적으로 회복하는 질병이나, 드물게는 뇌수막염, 뇌염, 마비증상 등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으니,

수족구병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히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질병관리본부는 환자발생이 지속되는 8월말까지 어린이집 및 유치원 등을 중심으로 집단생활을 하는 영‧유아에서 수족구병 예방관리를 더욱 철저히 할 것을 강조하였다.

◀ 수족구병 예방수칙 ▶

  • 올바른 손 씻기의 생활화
    •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 외출 후, 배변 후, 식사 전·후, 기저귀 교체 전·후
    • 특히 산모, 소아과나 신생아실 및 산후 조리원, 유치원, 어린이집 종사자
  • 올바른 기침예절
    • 옷소매 위쪽이나 휴지로 입과 코를 가리고 기침하기
  • 철저한 환경관리
    • 아이들의 장난감, 놀이기구, 집기 등을 청결(소독)히 하기
    • 환자의 배설물이 묻은 옷 등을 철저히 세탁하기
  • 수족구병이 의심되면 바로 병의원에서 진료를 받고 자가 격리하기(발병후 1주일)

또한, 2017년도 엔테로바이러스 감염증·수족구병 관리지침이 개정·발간되어 전국 보건소에 배포되며, 일반인들도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에서 전자문서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http://cdc.go.kr)→알림→지침→2017년도 엔테로바이러스 감염증·수족구병 관리지침



[ 보건복지부 2017-05-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973 Slow rising panda 스퀴시 완구, 안구 자극 위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4 2019.09.23
2972 Aldi 초콜릿(Whoppers), 알레르기 유발 위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9 2019.09.23
2971 VIVO스피커 벽 거치대(Mount-Play5 Speaker Wall Mounts), 선반과 스피커 떨어질 위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0 2019.09.23
2970 블루보틀(Blue bottle) 커피원두, 캔 뚜껑 개봉 시 다칠 우려가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8 2019.09.23
2969 피셔프라이스(Fisher-Price) 아기 요람, 질식사고 발생 우려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0 2019.09.23
2968 Super Jumper 트램펄린, 낙상 위험이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8 2019.09.23
2967 생활 주변 사기범죄, 이런 사례는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8 2019.09.25
2966 타투 · 페이스 페인팅 · 바디 페인트 제품 사용 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5 2019.09.26
2965 볼거리와 먹거리가 풍성한 10월, 안전에 유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0 2019.09.27
2964 가을 나들이 철 위험신고는 안전신문고로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0 2019.09.30
2963 일부 비눗방울 장난감에서 유해 보존제 및 기준 초과 미생물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1 2019.10.01
2962 안전사고 예방으로 즐거운 가을 축제 즐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19.10.10
2961 해외 유입 홍역환자 지속 발생에 따른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2 2019.10.11
2960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19.10.16
2959 일부 프로야구장 응원용 막대풍선, 어린이에게 유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7 2019.10.18
2958 가을 산행은 무리하지 말고 안전을 먼저 챙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2 2019.10.18
2957 가을철 발열성 진드기·설치류 매개감염병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2 2019.10.18
2956 태국 유입 홍역발생 지속, 여행자 대상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2 2019.10.21
2955 [소비자안전주의보] 제품 리콜에 따른 소비자 · 사업자의 적극적인 대응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19.10.21
2954 가을 나들이철,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19.10.23
Board Pagination Prev 1 ...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