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33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손문기)는 일찍 찾아온 더위로 인해 병원성대장균 등 세균성 식중독균에 의한 식중독이 발생위험이 높아짐에 따라 음식물의 보관·관리·섭취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은 고온·다습한 여름에 주로 발생하며 이른 더위 등 기후 변화에 따라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이다.
※ 최근 5년(‘12~’16년) 평균 병원성대장균 발생건수 및 환자수 : (‘12) 31건 1,844명, (’13) 31건 1,089명, (‘14) 38건 1,784명, (’15) 39건 2,138명, (‘16) 57건 2,754명
○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은 분변에 오염된 물, 오염된 용수로 세척한 채소, 도축과정에서 오염된 육류 등을 통해 이뤄진다.
- 특히 분변, 축산 폐수 등에 오염된 지하수, 하천수를 사용하여 채소를 재배하면 채소가 병원성대장균에 오염될 수 있다.
※ 병원성대장균 식중독 증상 : 묽은 설사, 복통, 구토, 피로, 탈수 등
○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을 일으키는 주요 식품은 채소류 〉육류 〉복합조리식품(김밥 등) 순으로 나타났다.
- 채소류가 주요 식품인 이유는 병원성대장균에 오염된 상추, 부추, 오이 등을 깨끗한 물로 세척하지 않거나 세척했더라도 상온에 장시간 방치 후 섭취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 최근 5년(‘12~’16년) 간 병원성대장균 식중독 원인식품(환자수 기준) :
채소류, 41.8% → 육류, 14.2% → 복합조리식품, 2.6%

□ 병원성대장균 식중독 예방을 위한 식품안전 관리 방법은 다음과 같다.
○ 개인 위생을 위해 조리할 때는 조리 전 비누 등 손세정제를 사용하여 30초 이상 손을 씻어야 한다.
○ 닭 등 가금류, 수산물, 육류 등을 세척할 시에는 주변에 날로 섭취하는 채소, 과일 등에 물이 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칼·도마도 교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조리가 되지 않은 식품과 이미 조리가 된 식품을 구분해서 사용해야 한다.
○ 채소류는 염소 소독액(가정에서는 식초 사용 가능) 등으로 5분이상 담근 후 물로 3회이상 세척하고, 절단 작업은 반드시 세척 후에 해야 한다.
- 세척 소독된 채소 등 식재료를 상온에 2시간 이상 방치하지 말아야 한다.
○ 육류, 가금류, 계란 및 수산물은 내부까지 완전히 익도록 충분히 가열 조리하여야 한다.
- 조리된 음식은 상온에 방치하지 말고 가능한 빨리 2시간 이내에섭취해야 한다.

□ 식약처는 기온이 높아지는 시기에는 ‘손씻기, 익혀먹기, 끓여먹기’식중독 예방 3대 요령을 항상 준수해야 한다며, 냉장고 소독, 음식물의 조리·보관 등 위생적 취급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한다고 밝혔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17-05-2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832 여름철 감전 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19.06.20
2831 여름의 초입 6월, 호우·폭염·물놀이·자전거 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4 2020.05.28
2830 여름의 끝 8월에는 어떤 재난에 주의해야 할까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18.07.27
2829 여름엔 특히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을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 2023.06.15
2828 여름에는 병원성대장균 식중독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2.08.08
2827 여름방학 때 사람유두종바이러스(HPV) 감염증 예방접종 꼭 챙겨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 2023.07.31
2826 여름 휴가철, 바닷가 장염비브리오 식중독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7 2020.08.04
2825 여름 휴가철, 렌터카 이용 시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3.06.30
2824 여름 휴가철 위험요인은 안전신문고로 신고해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 2023.07.24
2823 여름 휴가철 위험 신고 『안전신문고』로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18.07.02
2822 여름 휴가철 물놀이 '음주가 가장 위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5 2019.07.08
2821 여름 휴가철 물놀이 "음주가 가장 위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18.07.16
2820 여름 휴가철 물놀이 "음주가 가장 위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7 2017.07.17
2819 여름 휴가철 렌터카 이용시 소비자피해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4 2020.07.20
2818 여름 휴가철 국립공원 내 물놀이 '해루질이 가장 위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2 2021.07.15
2817 여름 집중호우 시기, 식중독 발생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 2023.07.20
2816 여름 산행 한낮 더위는 피해서 쉬엄쉬엄 가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1 2018.06.07
2815 여름 불청객, 벌 쏘임 사고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19.08.19
2814 여름 같은 봄 날씨, 식중독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22.05.11
2813 여드름약 '이소트레티노인' 사용 전 임신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4 2019.04.16
Board Pagination Prev 1 ...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