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41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자전거 사고로 인한 응급 환자 발생 증가
- 안전모 등 보호장구 착용 필수 -

□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자전거 사고로 인한 응급실 내원 환자가 증가하므로 안전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와 국립중앙의료원(원장 안명옥) 중앙응급의료센터가 지난 5년간(2012년~2016년)의 응급의료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자전거 사고로 인한 응급실 내원 환자가 날씨가 따뜻해지는 4~5월부터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전국 115개 응급의료센터에는 내원한 환자는 연평균 31,940명으로, 4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6월초에 가장 많았으며, 날씨가 더워지는 7~8월에 감소하다가 9월에 다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자전거 사고로 인해 발생한 손상 부위는 머리(38.4%), 무릎・아래다리(12.7%), 팔꿈치・아래팔(9.1%), 어깨・위팔(8.9%)순으로 나타났다.

 ○ 특히 20-59세 성인에 비해 9세 이하의 어린이는 머리 손상(50.0%)이 많이 발생하였고, 10-19세 청소년은 무릎・아래다리(15.8%), 팔꿈치・아래팔(12.2%) 손상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응급실 내원 환자의 보호장구 착용여부를 조사한 결과(표 3)에 따르면, 19세 이하 환자의 착용률이 20-59세 성인에 비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나, 미성년 자전거 운행자의 머리 등의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보호장구 착용 교육 및 지도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
   * 도로교통법에 따라 어린이의 보호자는 어린이가 자전거를 탈 때 안전모를 착용하도록 하여야 함.

 □ 자전거 사고로 응급실에서 진료 받은 환자의 17.8%는 입원을 하였으며, 0.3%는 병원에 도착 전 사망하거나 응급실 내에서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 특히 60세 이상 고령 환자의 경우에는 사망률(1.2%)과 입원률(37.0%)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자는 자전거 낙상으로 인한 사망 가능성이 높고, 사고로 인한 후유증이 발생할 위험이 높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 우리나라의 인구 10만명당 자전거 승차 중 사망자수는 0.5명으로 OECD 평균(0.4명)의 1.25배이고, 특히 65세 이상은 2.51명으로 OECD 국가(평균 0.96명) 중 제일 높은 수준 (도로교통공단, ‘16년)

□ 자전거 사고와 관련하여 국립중앙의료원 박종민 외상외과 전문의는

  ○ “자전거 사고 손상은 대부분 자전거에서 떨어질 때 무의식적으로 팔을 짚거나 무릎으로 지탱해 나타나는 골절 및 피부 찰과상, 타박상, 열상 등이 주로 발생하므로,

  ○ 발목, 손목 등의 골절이 발생하면 해당 부위가 움직이지 않도록 부목 고정을 한 후 가까운 병원으로 이송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하며,

   - 찰과상, 타박상, 열상 등으로 인해 출혈이 나타난 경우, 깨끗한 수건이나 거즈를 이용하여 상처부위를 직접 압박을 한 상태에서 가까운 의료기관으로 이송해야 한다.

  ○ 또한 장시간 자전거를 타는 경우 중간에 휴식시간을 꼭 갖도록 하고, 날씨가 더운 날에는 수분 보충과 화상에도 주의해야한다”고 당부하였다.

 
 ※ 작성 기준
○ 전국 115개 지역응급의료센터급이상의 국가응급진료정보망(NEDIS) 자료
○ 자전거 사고 정의 : 교통수단인 자전거에 의해 손상이 발생한 경우를 말하며, 환자 본인이 이용한 교통수단으로 여러 가지 손상종류가 동시에 발생할 경우 주증상의 주된 원인이 자전거인 경우를 말함. (손상당시 운전자만 포함)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969 My Baby 조명, 아동 삼킴사고 발생 위험으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7 2019.02.07
3968 Nabisco 쿠키, 응고 성분 혼입 가능성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0 2019.06.14
3967 Navien 순간온수기, 일산화탄소 중독 위험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9 2019.04.11
3966 Neca 봉제인형, 삼킴 우려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2 2018.12.04
3965 NEWA 화장품(Lift Activator Gel), 발암 물질 허용기준 초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8 2018.04.12
3964 Next 후드 재킷, 장식으로 인한 부상 우려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19.01.31
3963 Now Foods 비타민 영양제(Vitamin A 25,000 IU from Fish Liver Oil), 간 독성 초래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7 2018.07.19
3962 Nutiva 코코넛 오일, 기준치 초과하는 벤조피렌 성분 검출 되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5 2019.05.16
3961 Nutrex 보조제, 미승인 성분 함유돼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5 2019.02.07
3960 Nutrisport 단백질 보충제, 알러지원 미표기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8 2018.12.04
3959 NVIDIA Shield의 유럽형 전원어댑터, 감전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7 2017.10.23
3958 NVIDIA Shield의 유럽형 전원어댑터, 감전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9 2017.10.31
3957 Oball 유아용 완구, 부품 파손으로 질식 우려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2 2018.09.06
3956 OCTOBERMAY INTL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4 2021.01.28
3955 Officeworks 교구세트, 건전지 삼킴 우려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9 2019.06.14
3954 Oil & Carol 목욕완구, 질식 우려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8 2019.03.12
3953 Oil&Carol 치발기(Dalmatian Teether), 크기가 작아 질식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1 2018.03.21
3952 OK가전쇼핑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7 2021.12.31
3951 Olympic 얼룩세척제, 내용물 노출 위험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18.03.21
3950 Omega Pacific 카라비너, 파손 위험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9 2018.03.21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