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27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국민안전처(장관 박인용)는 매년 무더위가 빨라지면서 물놀이 사고 우려가 높아짐에 따라 「여름철 물놀이 안전대책」을 조기에 마련하고, 물놀이 안전관리에 총력을 다하기로 하였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폭염주의보 발령이 빨라지고 있으며, 지난 해에도 본격적인 물놀이 시기에 앞선 5월말에 강, 계곡에서 수난사고가 발생한바 있다.

지난 5년(‘12~’16)간 하천·계곡, 해수욕장 등에서 물놀이 사망사고는 157건이 발생하였으며, 특히 7월 하순부터 8월 초순 여름 휴가철에 물놀이 사망사고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 원인별로 살펴보면 안전부주의(50명), 수영미숙(51명), 음주수영(22명) 등 대부분 안전수칙을 준수하지 않아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물놀이 안전관리 대상은 총 5,490개소로서, 기존 계곡, 해수욕장 외에 유원시설, 수영장, 레저 시설 등이 운영됨에 따라 다양한 시설에서 안전사고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하천·계곡 등 1,565개소, 해수욕장 257개소, 수영장 1,224개소 등이며, 최근 연안해역 체험활동 및 수상레저 인구의 증가 등으로 물놀이 안전관리 대상시설은 점점 확대되고 있다.

이번 대책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기상 여건 및 지자체 특성에 따라 물놀이 안전관리대책기간(6.1~8.31)을 탄력적(5월 말 또는 9월 초)으로 운영하고 물놀이지역을 조사하여 위험구역 지정, 안전시설 정비, 표지판 부착, 현장순찰 등 취약요소 안전관리를 강화한다.

수상오토바이 등 수상레저기구의 무면허 운전, 음주 운전 등에 대하여 집중 단속기간(7월~8월)을 운영하고, 특히 워터파크 등 물놀이형 유원시설 및 어린이 놀이시설, 소규모 수영장 등에는 안전요원을 배치하고 수시로 교육을 통해 신종 물놀이시설에 대한 안전관리 강화한다.

물놀이 시설별로 6월까지 자체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범정부 차원의 합동점검은 성수기 전인 7월 초까지 시설물 유지관리 상태, 안전관리 요원 훈련 및 교육 여부 등을 집중 점검할 예정이다.

물놀이 현장에는 예방활동 및 구조·구급 등을 위해 민·관으로 구성된 안전관리요원을 하천, 해수욕장 등에 총 13,751명을 배치할 예정이다.

특히, 취약시간(14시∼20시) 음주자 및 이안류 또는 독성해파리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입수통제 등 경보체계를 운영할 예정이다.

한편 초·중·고교생을 대상으로 방학 전에 물놀이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물놀이 현장에서는 심폐소생술 등 체험학습장을 운영할 예정이다.

또한 물놀이 안전의식을 높일 수 있도록 TV·라디오 등 방송 매체와 대형전광판, 지하철 등을 통해 6월∼8월에 집중적인 홍보를 실시할 계획이다.

국민안전처 정종제 안전정책실장은 “때 이른 무더위로 5월부터 물놀이 활동이 시작되는 만큼 관계부처와 협력하여 올 한해 물놀이 안전사고가 최소화 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 문의 : 안전점검과 류송 기술서기관(044-205-424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633 주식회사 재인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4 2020.11.26
3632 주식투자정보서비스, 소비자 피해 4배 이상 급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8 2019.04.03
3631 주식투자정보서비스, 소비자 피해 4배 이상 급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9 2019.04.16
3630 주식투자정보서비스, 과다한 위약금 주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734 2016.09.09
3629 주식투자정보서비스, 계약해지 시 위약금 과다청구 등 피해 급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9 2018.05.30
3628 주식투자정보서비스, ‘고수익 보장’에 충동계약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0 2020.04.22
3627 주식투자정보서비스 ‘몬스터투자클럽’ 소비자피해 주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38 2017.03.14
3626 주식신용거래에 따른 투자위험에 대한 소비자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21.09.28
3625 주식시장 변동성 확대에 따른 개인투자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20.04.07
3624 주식보상 제도를 통해 취득한 해외(본사) 상장 주식매매시 소비자 유의사항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0 2023.06.20
3623 주식,선물 거래를 가장한 도박형 사기 사이트 주의! - 소비자경보“주의”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2 2018.07.27
3622 주식 리딩방 근절을 위한 투자자 Check Point 3가지 - 소비자경보 주의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0 2021.04.05
3621 주방세제, 처음부터 끝까지 올바르고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 2022.07.05
3620 주말 낮 기온 30℃ 이상 더위, 건강수칙 준수 당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3.06.16
3619 주간제품안전동향(2016.09.26~2016.10.02)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15 2017.03.22
3618 주간제품안전동향(2016.09.19~2016.09.25)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66 2017.03.22
3617 주간제품안전동향(2016.09.12~2016.09.18)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58 2017.03.22
3616 주간제품안전동향(2016.09.05~2016.09.11)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25 2017.03.22
3615 주간제품안전동향(2016.08.29~ 2016.09.04)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85 2017.03.02
3614 주간제품안전동향(2016.08.22~ 2016.08.28)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61 2017.03.02
Board Pagination Prev 1 ...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