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리튬전지로 작동하는 휴대용 선풍기, 인증정보 확인 후 구입해야
- KC마크·전자파적합등록정보·안전인증번호 모두 표시된 제품 선택 필요 -

  충전이 가능한 리튬2차전지(이하 ‘리튬전지’)로 작동되는 휴대용 선풍기 중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은 제품이 시중에 유통되고 있어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은 리튬전지로 작동되는 휴대용 선풍기 7개 제품을 구입하여 확인한 결과, 5개 제품의 리튬전지는 안전인증번호 표시*가 없는 단전지**였다. 특히, 보호회로가 없는 미인증 리튬전지는 과충전, 과방전, 단락으로 인한 과열, 폭발 등의 안전사고 우려가 높다.

* 2016년까지는 에너지밀도가 400Wh/L 이상인 경우에만 안전확인신고 대상이었으나, 2017년 이후 출고되거나 통관되는 제품은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에 따라 에너지밀도에 관계 없이 안전확인신고가 의무사항임.
** ‘단전지’란 전지를 구성하는 부분품으로 보호회로(PCM, Protect Circuit Module)가 부착된 리튬전지와 달리 보호회로가 없음.
  

리튬 전지 확인 방법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들에게 ▲리튬전지가 포함된 휴대용 선풍기 구입 시 KC마크, 전자파적합등록번호, 리튬전지의 안전인증번호를 확인하고 ▲제품을 충전할 때는 전압이 높은 고속충전기를 사용하지 않도록 하며 ▲손전등, 보조배터리 등의 휴대용 제품에 포함된 리튬전지도 안전인증번호를 표시해야 하는 점을 고려하여 불법·불량인 것으로 의심되는 제품 확인 시,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www.ciss.go.kr, ☎ 080-900-3500)으로 신고하도록 당부하였다.


  아울러 한국소비자원은 ‘통신판매중개사업자 정례협의체*’를 통해 온라인 유통 중인 불법·불량 제품에 대해 판매중단, 회수 등의 조치를 연중 수행하고 있으며, 특히 대형유통매장, 초등학교 주변 문구점 등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되는 휴대용 선풍기에 대해서도 전반적인 실태조사 중에 있다고 밝혔다.

* 온라인 유통 제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한국소비자원과 네이버(쇼핑), SK플래닛(11번가), 이베이코리아(옥션, 지마켓), 인터파크(쇼핑), 포워드벤처스(쿠팡) 등 5개사가 참여하는 정례 협의체임.



[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2017-05-1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747 발화 위험이 있는 가정용 선풍기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78 2017.04.27
4746 부품이탈로 위해우려 있는 송풍기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19 2017.04.27
4745 낙상위험 있는 유아용 안전문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29 2017.04.27
4744 ㈜Wonderchef社의 압력솥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56 2017.04.27
4743 발화위험 있는 유아용 잠옷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75 2017.04.27
4742 화상위험 있는 커피메이커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630 2017.04.27
4741 핸들바 파손위험 있는 킥보드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34 2017.04.27
4740 2017년 3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62 2017.05.02
4739 2017년 1/4분기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6 2017.05.16
» 리튬전지로 작동하는 휴대용 선풍기, 인증정보 확인 후 구입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2 2017.05.19
4737 어린이 장난감 안전사고 대부분 가정에서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3 2017.05.19
4736 2017년 4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9 2017.05.22
4735 여름철 물놀이 안전관리 사전대비 철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6 2017.05.22
4734 자전거 사고로 인한 응급 환자 발생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73 2017.05.22
4733 이른 더위에도 식중독 없이 안전하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7 2017.05.23
4732 수족구병 환자 발생 증가, 올바른 손씻기 생활화 등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6 2017.05.25
4731 연안 안전사고 주의, 6~8월 가장 많이 발생(39%)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8 2017.05.26
4730 50대 이상, 연령 높을수록 폐렴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9 2017.05.29
4729 어린이 기호식품 등의 알레르기 유발 식품 표시 제도 본격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7 2017.05.29
4728 사고 잦던 졸음쉼터 진·출입로 길이 늘려 안전해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0 2017.05.31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258 Next
/ 25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