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2017년 1분기 건축 인허가 면적은 전년 동기 보다 4.1% 감소한 38,755천㎡, 동수는 2.4% 증가한 59,605동이라고 밝혔다.

    지역별 허가면적은 수도권 17,135천㎡(△1,117천㎡, 6.1%↓), 지방 21,620천㎡(△537천㎡, 2.4%↓)이다.

    착공 면적은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한 28,793천㎡, 동수는 1.1% 감소한 47,167동이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13,247천㎡(542천㎡, 4.3%), 지방 15,546천㎡(△182천㎡, 1.2%↓)이다.

    준공 면적은 전년 동기 대비 21.1% 증가한 32,510천㎡, 동수는 3.2% 증가한 45,800동이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14,092천㎡(1,990천㎡, 16.4%), 지방 18,418천㎡(3,677천㎡ , 24.9%)이다.

    전년 대비 건축물 용도별 허가, 착공 및 준공면적은 건축 허가면적은 주거용 16,015천㎡, 상업용 10,592천㎡, 공업용은 3,555천㎡로서 각각 12.1%, 3.5%, 7.5% 감소하였고, 문교사회용 2,046천㎡로서 1.2% 증가하였다.

    착공면적은 주거용 11,295천㎡, 공업용 3,805천㎡, 문교사회용은 1,943천㎡로서, 각각 0.7%, 17.5%, 39.2% 증가하였고, 상업용 7,988천㎡로서 10.7% 감소하였다.

    준공면적은 주거용 13,100천㎡, 상업용 8,836천㎡, 공업용은 4,536천㎡로서, 각각 27.3%, 14.8%, 26.8% 증가하였고, 문교사회용 1,901천㎡로서 8.4% 감소하였다.
     

    [용도별 건축물 분류(통계용)]
    - 주거용 : 단독주택, 다가구주택, 다중주택, 연립, 다세대, 아파트 등
    - 상업용 : 근린생활시설, 판매시설, 업무시설, 숙박시설, 운수시설 등
    - 공업용 : 공장
    - 문교사회용 : 의료시설, 문화시설(극장, 전시장 등)
    - 기타 : 농수산용(축사, 온실), 공공용(공공청사, 방송국) 등


    2017년 1분기 주요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전년 동기 대비 주거용 건축물의 허가(△12.1%) 면적은 감소하였으나 착공(0.7%), 준공(27.3%) 면적은 증가하였다.

    허가 면적의 감소는 전년 동기 대비 실적으로서, 작년에 허가면적이 많았던데 기인하는 것이며, ’15년에 비해서는 증가한 것이다.

    허가 면적의 경우 수도권(△22.2%) 및 지방(△4.3%) 모두 감소하였으나, 착공 면적은 수도권(11.6%) 증가, 지방(△6.6%) 감소하였다.

    둘째, 전년 동기 대비 상업용 건축물의 허가(△3.5%), 착공(△10.7%) 면적은 감소하였으나 준공(14.8%) 면적은 증가하였다.

    세부 용도별로 살펴보면 건축허가는 기타(위험물저장 및 처리시설)(△51.9%), 착공은 기타(운수시설)(△65.4%)에서 감소율이 높았으며, 준공은 업무시설(120.3%)에서 증가율이 높았다.
     

    [상업용 건축물 분류(통계용)]
    - 제1종근린생활시설 : 소매점, 휴게음식점, 이용원, 의원 등
    - 제2종근린생활시설 : 공연장, 금융업소, 제조업소, 고시원 등
    - 판매시설 : 도매시장, 소매시장, 상점 등
    - 업무시설 : 일반업무시설(사무소, 오피스텔 등)
    - 기타 : 위락시설, 숙박시설, 운수시설, 위험물저장 및 처리시설, 자동차관련시설 등


    셋째, 전년 동기 대비 아파트 건축물의 허가(△13.2%) 면적은 감소하였으나 착공(6.9%), 준공(45.6%) 면적은 증가하였다.

    지역별 허가면적을 살펴보면 수도권의 경우 서울특별시(149.9%)는 증가하였으나 경기도(△41.8%), 인천광역시(△19.5%)는 감소하였으며, 지방의 경우 광주광역시(186.2%)는 증가하였으나 전라북도(△68.9%),경상남도(△41.7%)의 면적이 감소하였다.
     

    주요 건축물(아파트)의 허가사항을 보면, 수도권은 경기도 부천시 계수동 계수범박구역 주택재개발사업(37동, 352천㎡), 경기도 김포시 향산리 도시개발사업 A1-2BL 공동주택(27동, 204천㎡) 등이며, 지방은 부산광역시 남구 우암2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28동, 294천㎡), 광주광역시 동구 학동4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19동, 251천㎡) 등이다.

    규모별 변동현황 및 멸실 현황을 보면 규모별 건축허가는 연면적 100㎡ 미만 건축물이 전체의 44.2%인 26,318동, 100~200㎡ 건축물이 11,917동(20.0%), 300~500㎡ 건축물이 7,772동(13.0%) 순이고 착공은 100㎡ 미만 건축물이 20,102동으로 전체의 42.6%, 100~200㎡ 건축물이 8,942동(19.0%), 300~500㎡ 건축물이 7,026동(14.9%) 순이며, 준공은 100㎡ 미만 건축물이 17,337동으로 전체의 37.9%, 100~200㎡ 건축물이 8,547동(18.7%), 300~500㎡ 건축물이 7,219동(15.8%) 순이다.

    소유 주체별 건축 허가면적은 법인이 전체의 45.7%인 17,703천㎡, 개인이 11,805천㎡(30.5%), 공공이 2,358천㎡(6.1%)이고, 착공면적은 법인이 전체의 46.3%인 13,326천㎡, 개인이 9,592천㎡(33.3%), 공공이 2,692천㎡(9.4%)이며, 준공면적은 법인이 전체의 35.2%인 11,455천㎡, 개인이 9,780천㎡(30.1%), 공공이 886천㎡(2.7%)이다.

    용도별 건축물 멸실은 주거용, 상업용, 공업용, 문교사회용이 각각 2,156천㎡(14,149동), 1,096천㎡(3,491동), 410천㎡(800동), 137천㎡(214동) 멸실되었다.

    주거용은 단독주택이 전체의 52.6%인 1,133천㎡(11,691동), 아파트 404천㎡(206동), 다가구주택 367천㎡(1,681동)이며, 상업용은 제2종근린생활시설이 전체의 40.4%인 443천㎡(1,620동), 제1종근린생활시설이 402천㎡(1,480동), 업무시설이 73천㎡(44동) 멸실되었다.

    ※ 세부자료는 건축행정시스템(세움터 (http://www.eais.go.kr) 및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http://www.molit.go.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국토교통부 2017-05-0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711 민간소비 위축과 연말특수 실종으로 ‘14년도 외식업 체감경기 하락지속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8 217
13710 카드분실, 도난사고 보상제도 개선방안 마련 및 시행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9 224
13709 2014년 12월 소비자상담동향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9 225
13708 국민기초생활수급자 근로능력평가 제도개선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9 223
13707 주세법 시행령 개정으로 소규모 맥주 제조자의 부담 완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9 224
13706 추적조사 의무화 등 인체조직 안전관리제도 대폭 강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9 203
13705 식약처, 식품 수출 적극 지원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9 208
13704 소비자가 알아두면 유익한 신용카드 관련 정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30 198
13703 성장기 어린이, 식이섬유 제품 과량섭취 주의해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30 278
13702 농업손실 보상 시 임차농민 ‘도장값’ 피해 없앤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30 236
13701 각 공사들이 시간적,장소적으로 분리,독립되어 있는지를 고려하여 산재보험급여 징수해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30 242
13700 인터넷교육서비스, 피해자 2명 중 1명은 초·중·고생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30 208
13699 국민 다소비 식품 등 유통식품 방사능검사 확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30 214
13698 "묻지도 따지지도 않는다"는 고연령자 보험가입시 유의사항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2 351
13697 금융이해력 조사결과 분석 및 시사점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2 210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923 Next
/ 923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