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2017년 1분기 건축 인허가 면적은 전년 동기 보다 4.1% 감소한 38,755천㎡, 동수는 2.4% 증가한 59,605동이라고 밝혔다.

    지역별 허가면적은 수도권 17,135천㎡(△1,117천㎡, 6.1%↓), 지방 21,620천㎡(△537천㎡, 2.4%↓)이다.

    착공 면적은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한 28,793천㎡, 동수는 1.1% 감소한 47,167동이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13,247천㎡(542천㎡, 4.3%), 지방 15,546천㎡(△182천㎡, 1.2%↓)이다.

    준공 면적은 전년 동기 대비 21.1% 증가한 32,510천㎡, 동수는 3.2% 증가한 45,800동이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14,092천㎡(1,990천㎡, 16.4%), 지방 18,418천㎡(3,677천㎡ , 24.9%)이다.

    전년 대비 건축물 용도별 허가, 착공 및 준공면적은 건축 허가면적은 주거용 16,015천㎡, 상업용 10,592천㎡, 공업용은 3,555천㎡로서 각각 12.1%, 3.5%, 7.5% 감소하였고, 문교사회용 2,046천㎡로서 1.2% 증가하였다.

    착공면적은 주거용 11,295천㎡, 공업용 3,805천㎡, 문교사회용은 1,943천㎡로서, 각각 0.7%, 17.5%, 39.2% 증가하였고, 상업용 7,988천㎡로서 10.7% 감소하였다.

    준공면적은 주거용 13,100천㎡, 상업용 8,836천㎡, 공업용은 4,536천㎡로서, 각각 27.3%, 14.8%, 26.8% 증가하였고, 문교사회용 1,901천㎡로서 8.4% 감소하였다.
     

    [용도별 건축물 분류(통계용)]
    - 주거용 : 단독주택, 다가구주택, 다중주택, 연립, 다세대, 아파트 등
    - 상업용 : 근린생활시설, 판매시설, 업무시설, 숙박시설, 운수시설 등
    - 공업용 : 공장
    - 문교사회용 : 의료시설, 문화시설(극장, 전시장 등)
    - 기타 : 농수산용(축사, 온실), 공공용(공공청사, 방송국) 등


    2017년 1분기 주요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전년 동기 대비 주거용 건축물의 허가(△12.1%) 면적은 감소하였으나 착공(0.7%), 준공(27.3%) 면적은 증가하였다.

    허가 면적의 감소는 전년 동기 대비 실적으로서, 작년에 허가면적이 많았던데 기인하는 것이며, ’15년에 비해서는 증가한 것이다.

    허가 면적의 경우 수도권(△22.2%) 및 지방(△4.3%) 모두 감소하였으나, 착공 면적은 수도권(11.6%) 증가, 지방(△6.6%) 감소하였다.

    둘째, 전년 동기 대비 상업용 건축물의 허가(△3.5%), 착공(△10.7%) 면적은 감소하였으나 준공(14.8%) 면적은 증가하였다.

    세부 용도별로 살펴보면 건축허가는 기타(위험물저장 및 처리시설)(△51.9%), 착공은 기타(운수시설)(△65.4%)에서 감소율이 높았으며, 준공은 업무시설(120.3%)에서 증가율이 높았다.
     

    [상업용 건축물 분류(통계용)]
    - 제1종근린생활시설 : 소매점, 휴게음식점, 이용원, 의원 등
    - 제2종근린생활시설 : 공연장, 금융업소, 제조업소, 고시원 등
    - 판매시설 : 도매시장, 소매시장, 상점 등
    - 업무시설 : 일반업무시설(사무소, 오피스텔 등)
    - 기타 : 위락시설, 숙박시설, 운수시설, 위험물저장 및 처리시설, 자동차관련시설 등


    셋째, 전년 동기 대비 아파트 건축물의 허가(△13.2%) 면적은 감소하였으나 착공(6.9%), 준공(45.6%) 면적은 증가하였다.

    지역별 허가면적을 살펴보면 수도권의 경우 서울특별시(149.9%)는 증가하였으나 경기도(△41.8%), 인천광역시(△19.5%)는 감소하였으며, 지방의 경우 광주광역시(186.2%)는 증가하였으나 전라북도(△68.9%),경상남도(△41.7%)의 면적이 감소하였다.
     

    주요 건축물(아파트)의 허가사항을 보면, 수도권은 경기도 부천시 계수동 계수범박구역 주택재개발사업(37동, 352천㎡), 경기도 김포시 향산리 도시개발사업 A1-2BL 공동주택(27동, 204천㎡) 등이며, 지방은 부산광역시 남구 우암2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28동, 294천㎡), 광주광역시 동구 학동4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19동, 251천㎡) 등이다.

    규모별 변동현황 및 멸실 현황을 보면 규모별 건축허가는 연면적 100㎡ 미만 건축물이 전체의 44.2%인 26,318동, 100~200㎡ 건축물이 11,917동(20.0%), 300~500㎡ 건축물이 7,772동(13.0%) 순이고 착공은 100㎡ 미만 건축물이 20,102동으로 전체의 42.6%, 100~200㎡ 건축물이 8,942동(19.0%), 300~500㎡ 건축물이 7,026동(14.9%) 순이며, 준공은 100㎡ 미만 건축물이 17,337동으로 전체의 37.9%, 100~200㎡ 건축물이 8,547동(18.7%), 300~500㎡ 건축물이 7,219동(15.8%) 순이다.

    소유 주체별 건축 허가면적은 법인이 전체의 45.7%인 17,703천㎡, 개인이 11,805천㎡(30.5%), 공공이 2,358천㎡(6.1%)이고, 착공면적은 법인이 전체의 46.3%인 13,326천㎡, 개인이 9,592천㎡(33.3%), 공공이 2,692천㎡(9.4%)이며, 준공면적은 법인이 전체의 35.2%인 11,455천㎡, 개인이 9,780천㎡(30.1%), 공공이 886천㎡(2.7%)이다.

    용도별 건축물 멸실은 주거용, 상업용, 공업용, 문교사회용이 각각 2,156천㎡(14,149동), 1,096천㎡(3,491동), 410천㎡(800동), 137천㎡(214동) 멸실되었다.

    주거용은 단독주택이 전체의 52.6%인 1,133천㎡(11,691동), 아파트 404천㎡(206동), 다가구주택 367천㎡(1,681동)이며, 상업용은 제2종근린생활시설이 전체의 40.4%인 443천㎡(1,620동), 제1종근린생활시설이 402천㎡(1,480동), 업무시설이 73천㎡(44동) 멸실되었다.

    ※ 세부자료는 건축행정시스템(세움터 (http://www.eais.go.kr) 및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http://www.molit.go.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국토교통부 2017-05-0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673 지리산 반달가슴곰 기지개…정해진 탐방로 이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25 4
13672 더워지는 날씨, 가볍게 한 잔도 위험 음주운전 절대 안돼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25 4
13671 기아·포드·현대 등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26 4
13670 자동차 배출가스 누리집에서 내 차 환경분석 정보 쉽게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07 4
13669 2023년 10월 강원특별자치도 고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15 4
13668 내 직업훈련 이력, 디지털 배지로 발급 받아 전자지갑으로 관리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15 4
13667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기간 동안 매연 뿜는 자동차 집중단속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4 4
13666 이제 전국 시내버스에서 4배 빠른 와이파이 이용할 수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5 4
13665 정확한 임금계산 고민? 「임금명세서 작성 프로그램」으로 간편하게 해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27 4
13664 테슬라·현대·포드 등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04 4
13663 행정심판 청구, 하나의 창구에서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22 4
13662 귀성길과 전통시장 공중화장실, 안심하고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29 4
13661 나는 어디로 가고, 어떻게 대피해야 할까요 비상시, 이것만은 꼭 기억해 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12 4
13660 주요 민원사례로 보는 소비자 유의사항 - 은행 대출 이용시 유의사항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08 4
13659 식약처, 국가필수의약품 8종 신규 지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30 4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