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품질이 우수한 대체 부품에 대해 인증마크를 부여하는 ‘대체부품인증제도’가 금년 1월 시행된 이후 인증을 획득한 첫 번째 제품이 7월 13일 출시된다.

첫 인증제품은 대만 TYG사의 BMW5시리즈의 펜더(Fender)로 보험개발원 자동차기술연구소의 엄격한 품질·성능 시험을 거쳐 한국자동차부품협회(KAPA)의 인증을 획득하였다.

동 제품은 미국의 CAPA* 인증을 이미 획득하였던 제품으로 대체부품 인증제도를 통해 가격은 저렴하면서도 품질은 OEM** 부품(일명 순정품)과 비슷한 대체부품이 계속 출시될 것으로 전망된다.
* Certified Automative Parts Association (미국자동차부품인증협회)
**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 : 주문자 상표 부착품. 즉, 주문자가 요구하는 제품과 상표명으로 완제품을 생산하는 것

 

<‘대체부품’이란?>
자동차제조사에서 출고된 자동차에 장착된 부품과 성능·품질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품으로서, 자동차 수리 시에 자동차제조사에서 출고된 자동차에 장착된 부품을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부품

<‘대체부품 인증제도’란?>
정부의 심사를 거쳐 지정된 인증기관에서, 중소기업에서 제작된 대체부품의 성능·품질을 심사·인증함으로써, 인증된 대체부품은 소비자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제도


그동안 국내에서는 자동차 수리 시 OEM 부품을 대부분 사용하여 왔고 특히 수입자동차는 국산대비 높은 부품가격이 문제가 되어왔다.

이에 국토교통부(장관 유일호)에서는 자동차 수리 시 OEM 부품을 대체할 수 있는 저렴하면서도 안전한 대체부품 사용 활성화를 위해 자동차관리법을 개정(‘14.1월)하여 금년 1월부터 품질이 확인된 대체부품에 대한 인증제도를 시행하여 왔다.

인증기관인 한국자동차부품협회(이하 KAPA)을 통해 품질을 인정받은 대체부품에는 저가카피제품과 구분되도록 복제 불가능한 인증씰이 부품에 부착되어 유통되게 되며, 인증 이후에는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제40조의 11에 따라 자동차안전연구원의 성능·품질에 관한 사후관리를 받게 되며 부적합 사항이 있는 경우 인증을 취소하게 된다.

또한, 소비자가 구매한 제품에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제조사가 책임을 지게 되어있으며, 인증심사과정에서도 제조물배상책임보험증서 사본을 반드시 제출하도록 의무화 되어 있다.

한편, KAPA(자동차부품협회)는 안전에 미치는 영향은 낮으면서도 자동차 수리에 많이 쓰이는 40개의 외장·등화 제품에 대해 대체인증을 심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KAPA는 현재 총 10개 제조사에 대해 서류심사, 공장심사를 마치고 제품시험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번에 출시되는 대만 TYG의 BMW5 범퍼를 필두로 다른 차종, 부품에 대한 국내외 제작사의 대체부품이 계속 시장에 출시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대체부품 사용시 보험료가 할인되거나 순정품과의 차액을 환급해 주는 등 인증대체부품이 고려된 보험상품도 곧 개발될 것으로 보여 앞으로 대체부품 시장의 전반적인 활성화가 기대되고 있다.

이렇게 대체부품 인증제도가 활성화 되면 기술력을 가진 자동차부품제조사들이 고유 브랜드를 가지고 국내외 시장으로 진출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소비자들은 저렴하면서도 성능은 우수한 대체부품 사용을 통해 수리 비용을 많이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미국 손해보험협회에 따르면 2013년 미국 자동차 외장부품 시장은 5,600만달러 규모로 이중 520만 달러를 대체부품이 차지하고 있으며 대체부품으로 인한 소비자 편익은 234만 달러에 이름

국토교통부 김용석 자동차기획단장은 “대체부품 인증제도”가 활성화되면 소비자의 선택권이 확대되고 자동차 수리비가 인하될 뿐 아니라 중소기업 활성화에도 일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국토교통부 2015-07-1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826 2024년 1/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3 1
13825 복잡한 재개발・재건축 양도소득세, 실수로 비과세 혜택 놓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3 1
13824 영유아 어린이 안전사고, 보호자의 관심으로 예방할 수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30 1
13823 공동주택 층간소음 기준, 실생활 고려 4dB씩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03 2
13822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 개정 고시, 1.5일부터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04 2
13821 한국산업인력공단, 해외취업 희망 청년 대상 원스톱 지원 서비스 ‘해일로’ 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15 2
13820 인체이식 의료기기 부작용 피해, 책임보험으로 배상받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23 2
13819 여전업권 금융사고 예방을 위한 「여전업권 내부통제 모범규준」이 시행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30 2
13818 심야버스 걱정‧불안, 제도개선으로 안전벨트 ‘딸깍’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16 2
13817 2024학년도 2학기 1차 국가장학금 신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0 2
13816 2024년 재산세 부담 완화방안 및 지방 미분양 주택 취득 지원 등 5월 말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1 2
13815 잠자는 퇴직연금 확인하고 찾아가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8 2
13814 중소기업 퇴직연금 ‘푸른씨앗’ 가입하면 보너스가 쏠쏠! 수익률은 쑥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30 2
13813 ‘23년 항공운송서비스 평가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30 2
13812 일자리·노동시장 정보, 찾지 말고 추천받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6.04 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