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다리 위를 지나는 철도운행을 안전하게 하기 위해 드론을 이용해 교량 밑 부분까지 꼼꼼히 살피는 등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과 같은 스마트한 기술을 이용해 우리나라 철도 환경을 더욱 안전하게 만들 기본계획을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가 올해 11월까지 마련할 계획이다.

    우리나라의 철도안전 지표는 관계기관의 지속적인 노력에 힘입어 선진국 수준에 도달*하였으나, 작년 열차 탈선사고, 승강장 안전문 사고 등이 빈발함에 따라 국민의 불안감은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 열차운행 1억km 당 주요 철도사고 발생 건수(’15년 기준): 영국 1.6건, 스위스 4.7건, 한국 7.2건, 독일 10.9건, 스웨덴 11.5건, 네덜란드 14.8건, 프랑스 17.6건
     

    또한, 최근 집중호우, 폭염 등 기상이변, 지진발생 등 자연재난*의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있어 선제적인 안전관리도 중요해지고 있다. 이번에 마련할 ‘스마트 철도안전 기본계획’은 국내 철도안전 수준을 한 단계 더 도약시키고 철도안전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영동선 무궁화호 탈선 사고(’16. 7., 집중호우로 낙석), 경주지진(’16. 9.)으로 운행 장애
     

    이에 국토교통부는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 ‘제4차 산업혁명’의 첨단기술을 활용하여 기존 통계를 분석하여 향후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사고에 적극 대비하고, 집중 관리를 할 것이다. 또한, 문제 상황 발생 시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사물인터넷을 활용해 안전 관리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스마트 철도안전 기본계획의 대상 분야는 전문가와 관계기관의 의견을 수렴하여 인적관리, 차량관리, 운행관리, 시설관리, 보안 관리의 6개 분야를 선정했다.

    국토교통부는 제4차 산업혁명 기술과 철도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스마트 철도안전 기본계획을 체계적으로 수립하고자 ‘스마트 철도안전관리시스템 기본계획 수립 연구’ 용역*에 착수하였으며, 28일에는 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한 바 있다.

    * 「스마트 철도안전관리시스템 기본계획 수립 연구」(철도연, 7,800만원, ’17. 4.∼12.)
     

    이와 더불어 철도안전정책관을 팀장으로 국토교통부, 제4차 산업혁명 전문가, 철도연구기관 연구원, 철도운영자·시설관리자*를 중심으로 임시 조직(T/F)을 구성하여 다양한 의견도 수렴할 계획이다.

    * 철도시설공단, 철도공사, 서울메트로, 서울도시철도, 부산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 등
     

    국토교통부 남영우 철도안전정책과장은 “철도는 하나의 작은 실수가 대규모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첨단 안전 기술이 가장 먼저 적용되어야 하는 분야 중 하나”라며, “이러한 점에서 올해 마련될 스마트 철도안전 기본계획은 향후 우리나라 철도안전 분야의 체질을 개선하는 중요한 계기될 수 있도록 실효성 높은 계획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덧붙였다.


[국토교통부 2017-05-0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134 뇌졸중, 초기 집중재활치료가 중요하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30 45
6133 SNS 내정보 지키는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동!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17 45
6132 퇴직연금, 이것만은 알고가자! (핵심체크 5가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19 45
6131 ‘아동·청소년 대상 성범죄 신고포상금제도’를 아시나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16 45
6130 고속도로 휴게소의 변신, 취약계층 일자리 만들고 공공성 높이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06 45
6129 수입차 관련 소비자피해, 매년 지속적으로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13 45
6128 내년 1월 기초생활보장 부양의무자 기준이 더 완화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03 45
6127 올해 공익신고 ‘건강 분야’ 40.4%로 최다, 안전-소비자이익 순으로 많아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28 45
6126 육교승강기 사고 발생시, 주소로 신속히 위치 찾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11 45
6125 식약처, 수경재배 채소류 중금속 안전수준 점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14 45
6124 보호종료아동 “자립수당” 3월 18일부터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8 45
6123 일반식품도 건강에 미치는 영향 표시가 가능해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9 45
6122 배드민턴장(1,500㎡→ 3,000㎡)·도서관(1,000㎡→ 2,000㎡) 넓어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14 45
6121 장애여성의 건강한 임신 출산 지원을 위한 안내자료 발간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2 45
6120 의료행위와 건강관리서비스 구분 기준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0 45
Board Pagination Prev 1 ...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