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열차의 속도가 점점 빨라지고 한 량에 수십 명이 탑승하는 규모의 특성상 철도사고는 대형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사회적 파급력이 큰 철도사고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인적과실을 줄이고자 ‘철도안전 전문 인력 양성계획’을 마련해 시행한다.

    철도 노선의 확대와 관련 기술의 발전에 따른 환경 변화에 대응해 철도차량 정비사 자격제를 도입하고, 철도 분야 종사자의 업무역량 강화 및 안전수준 향상을 위해 기관사 등 철도종사자가 정기적인 직무교육을 받도록 한다.

    또한, 탈선·화재 등 열차사고의 절반 정도가 기관사, 관제사 등의 인적과실로 발생하고 있는 만큼 이에 대응해 인적오류 예방체계를 강화하고, 국가지원 기능인력 훈련제도를 통한 현장 기능 인력의 양성, 업무 숙련도가 높은 퇴직자의 재취업 지원 등을 통해 청·장년층의 일자리도 확대할 계획이다.

    이번 계획은 철도안전 향상을 위해 지난 2016년 6월부터 학계, 전문가, 철도전문기관, 교육훈련기관, 철도운영자 등과 지속적인 논의를 통해 마련되었으며 2017년부터 2021년까지 5년간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철도안전 전문 인력 양성계획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철도차량 정비인력의 수준 향상을 위한 정비사 자격제 도입

    열차 운행장애*의 절반 이상이 철도차량 고장으로 인해 발생하고 있는 만큼, 철도차량 정비의 품질과 신뢰성을 보장하고 정비인력의 역량을 검증·유지하기 위해 정비사 자격제도를 도입한다.

    * ’15년 발생한 운행장애(255건) 중 차량고장으로 인한 장애가 55.7%(142건)를 차지
     

    이를 위해 철도차량 정비인력의 기술 수준에 따른 등급 분류 기준을 마련하고, 기존 정비인력의 자격 인정범위 등도 구체화해 현재 정비 업무에 종사하는 인력을 자격제도에 편입하는 한편, 신규 자격부여 기준과 자격 수준을 유지하기 위한 관리 방안도 마련했다.

    ② 철도종사자의 역량 강화를 위한 정기적 직무교육 의무화

    기관사, 관제사, 정비사 등 철도종사자의 직무역량을 유지·향상시키기 위해 신규 장비·신기술 등 직무관련 교육을 5년의 범위 내에서 주기적으로 실시하도록 의무화 한다.

    * 기관사, 관제사, 유지관리 분야 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신규 장비·신기술교육 등 직무역량 유지·향상 교육을 정기적으로 실시하도록 법제화 추진(‘17년~)
     

    이와 함께, 신기술, 신장비 운용 등을 위한 교육교재를 개발·보완하고, 시뮬레이터장비 등 교육인프라도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③ 철도사고 감소를 위한 인적오류 예방역량 강화

    열차사고의 절반 정도가 기관사, 관제사 등의 인적과실로 발생하고 있는 바, 이에 대응하여 인적오류 예방체계를 강화하고 기관사 등 신규 자격 취득자에 대한 자격시험 강화, 비상상황 시 종사자간의 상호 협력체계 강화를 위한 합동훈련* 의무화를 추진한다.

    * 철도비상대응 부분훈련 시 분야별 종사자가 통합하여 실시하는 합동훈련을 모든 철도종사자에 대해 연 1회 이상 의무적으로 실시하도록 개선(’17년 12월)
     

    이를 통해 철도사고를 감소시키고, 열차사고의 주요 원인인 철도 종사인력의 인적오류로 인한 열차사고 건수를 2016년 4건에서 2021년까지 0건으로 줄일 계획이다.

    ④ 신규 인력양성제도를 통한 청·장년층의 일자리 확대

    외주 위탁업체의 경우 별도의 교육훈련 시스템이 없어 인력 양성에 애로가 있는 만큼, 고용노동부가 시행 중인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훈련」프로그램에 철도 분야를 포함시켜 현장에 즉시 투입 가능한 기능인력(5년간 약 800명 수준)을 양성할 예정이다.

    또한, 많은 경험과 업무지식을 지닌 ‘베이비붐 세대’의 대규모 퇴직 시에는 업무 공백 및기술력 단절이 우려되는 상황으로, 이에 대응하여 퇴직자의 업무 경험과 지식을 계속 활용할 수 있도록 전문 분야별로 퇴직자 인력은행(Pool) 관리, 구인구직 전문창구 및 재교육과정 운영 등을 통해 향후 5년간 퇴직인력의 약 10%(약 700명 정도)를 외주 위탁업체 등에 재취업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와 함께 기술·환경변화에 대응하여 Big Data 분석 등 최신 기술분야의 전문가 확보를 통해 최신기술 활용기반도 조성할 계획이다.

    *운영자별 수요에 따라 최신 기술분야 전문가를 확보하여 Big Data 기반 위험 분석·관리, 철도차량·시설 고장분석 고도화 등에 활용
     

    아울러, 이번에 수립한 철도안전 전문 인력 양성계획을 시행함으로써 철도기관사, 철도차량 정비인력 등 분야별 종사인력의 업무 전문성과 열차사고의 주요 원인인 인적오류 예방 역량이 크게 향상됨은 물론, 현장 기능인력 및 업무 경험과 지식을 지닌 퇴직자 등 청·장년층의 일자리 창출 효과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국토교통부 남영우 철도안전정책과장은 “철도안전 전문 인력 양성계획시행을 통해 철도종사자들의 전문성과 업무역량이 강화되고, 철도의 안전수준이 강화돼 한층 더 안전한 철도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 국토교통부 2017-05-0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95 7월 1일부터 어르신, 결핵 환자, 임산부에 대한 의료비 부담이 줄어들어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8 85
1894 7월 1일부터 박물관·미술관 입장료 소득공제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01 8
1893 7월 1일부터 동네병원 2·3인실, 응급실·중환자실 분야, 난임치료시술 등 건강보험 적용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7 14
1892 7월 1일부터 도서·공연비 소득공제 시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04 29
1891 7월 1일부터 1인 사업자 엄마도, 자유 계약자 엄마도 출산 급여 챙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4 49
1890 7월 1일, 틀니 치과임플란트 건강보험 적용 연령 만 70세 이상으로 확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30 161
1889 7월 1일(월)부터 동네병원 2.3인실 건강보험 적용 등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3 41
1888 7월 17일부터 채용의 공정성을 침해하거나 직무와 관계 없는 개인 정보를 요구하지 못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17 19
1887 7월 15일부터 은행에서 금리상승리스크 완화형주담대를 다시 이용할 수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14 17
1886 7월 11일(화)부터 살아있는 닭 유통 제한적 허용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10 42
1885 7만여 건의 정부서비스, 이제 ‘정부24’에서 이용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27 42
1884 7단계 거쳐 산지 → 소비자, 양파값 68%․닭고기값 58%는 ‘상인몫’ (한국경제, 1.21) 보도 관련 해명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22 100
1883 7개 신용카드사 포인트 이용약관상 불공정 약관 조항에 대한 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9 149
1882 7개 수입자동차 판매사업자의 유지보수서비스 이용약관상 불공정약관에 대한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26 52
1881 7개 모바일 게임 판매 사업자의 전자상거래법 위반행위에 대한 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19 87
Board Pagination Prev 1 ... 795 796 797 798 799 800 801 802 803 804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