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신용카드와 도서시장 소비자지향성 최고, 휴대폰 단말기와 자동차수리서비스 최저

- 휴대폰 단말기 시장 2년 연속 최저 -

이 자료는 7월 13일(월) 조간부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방송·인터넷 매체는 7월 12일 12시)

 

올해 ‘도서’와 ‘신용카드’ 시장은 소비자지향성 최고 평가를 받은 반면, ‘휴대폰 단말기’와 ‘자동차수리 서비스’ 시장은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휴대폰 단말기’ 시장은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소비자지향성이 최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www.kca.go.kr)은 2014년 35개 시장 평가에 이어 50개 상품 및 서비스 시장에 대해 2차년도「2015 한국의 소비자시장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산출한 소비자시장성과지수*(Consumer Markets Performance Index : CMPI) 우리나라의 상품 및 서비스별 시장이 얼마나 소비자 지향적으로 작동하는지를 평가하는 소비자 관점의 시장지표이다.

1 

□ 전년 대비 1.4점 상승, 안전성은 하락

2014년에 비해 2015년 전체 시장의 소비자시장성과지수는 72.4점에서 73.8점으로 1.4점 상승하였으며, 안전성과 선택가능성을 제외한 전 평가항목의 점수가 전년 대비 상승하였다.

2  

□ ‘휴대폰 단말기’, ‘자동차수리서비스’ 시장 소비자지향성 최저 수준

(상품 시장) ‘휴대폰 단말기’는 69.8점으로 상품시장 중 소비자지향성이 가장 낮 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평가항목별로 보면 ‘소비자문제 및 불만’과 ‘선택가능성’의 점수가 가장 낮았다. 이는 소비자들이 소비자문제를 경험하거나 불만을 제기한 비율이 높고, 시장에서 사업자를 선택할 수 있는 폭이 상당히 제한 받고 있음을 의미한다. ‘휴대폰 단말기’는 2014년에 이어 2년 연속 전 평가항목에 걸쳐 적신호를 보이는 시장으로 소비자지향성이 전혀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종합적인 시장구조 분석과 개선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서비스 시장) ‘자동차수리서비스’는 71.1점으로 서비스 시장 가운데 가장 낮은 수준의 소비자지향성을 보였는데, 평가항목별로는 ‘소비자문제 및 불만’에서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다.

□ 도서·신용카드 시장에 대한 소비자평가 가장 좋아

(상품 시장) ‘도서’는 상품시장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의 소비자지향성을 보인 시장으로 2015년 처음 평가된 시장이다.

(서비스 시장) ‘신용카드’는 서비스 시장 가운데 소비자지향성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는데, 특히 전체 시장에서 6개 전 평가항목(비교용이성, 신뢰성, 소비자문제 및 불만, 만족도, 선택가능성, 가격) 모두 청신호를 보이는 유일한 시장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지향성 적신호 전체 시장의 18.0% 차지, 하위권 시장 작년과 유사

‘소비자지향성 신호등' 방식에 따라 50개의 개별 시장의 소비자지향성 수준을 점검한 결과, 소비자지향성 적신호의 경고 시장은 9개로 전체 시장의 18.0%를 차지하였다. 2014년 적신호 시장이 51.4%였던 것과 비교하면 다소 개선되긴 했지만 소비자지향성 수준이 낮은 시장은 거의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상품시장 가운데 ‘휴대폰 단말기’(69.8점), ‘중고차’ (70.7점),교복’(71.3점) 등 총 3개 시장은 소비자지향성이 매우 낮은 경고시장으로, 2014년에 이어 2년 연속 소비자향성 수준 최하위를 기록했다.

4 

서비스 시장 중에‘자동차수리’(71.1점), ‘병원장례식장’(71.3점), ‘이동전화서비스’ (71.6점), ‘어린이집’(72.0점), ‘상조서비스’(72.1점), ‘주택수리 및 인테리어’(72.3점) 등 총 6개 시장이 소비자지향성이 매우 낮은 경고시장으로 나타났다.

 

한편, 금번 조사에서 소비자들이 제품 및 서비스를 구매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평가항목은 ‘가격’과 ‘안전성’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중고차‘는 ’가격‘에서 2014년 대비 가장 많이 떨어진 시장으로 나타났으며, ’어린이집‘은 2014년 대비 안전성 수준이 가장 많이 떨어진 시장으로 나타나 소비자 지향적 시장으로 개선하기 위해 이 분야를 가장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국가 간 FTA 체결 확대 등 국내 경제의 글로벌화가 지속되고 SNS 등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로 시장에 대한 소비자의 영향력이 강화되면서 경제주체로서 소비자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기업과 시장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보다 소비자 지향적으로 변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소비자원은 금번「2015 한국의 소비자시장평가」결과를 토대로 오는 7월 14일 충북 본원에서 소비자정책연구 세미나를 개최하여 시장이 소비자 친화적·중심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요인을 분석·공유할 예정이다.

 

[한국소비자원 2015-07-1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49 8.18.부터 50인 미만 사업장도 휴게시설을 설치해야 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16 12
1948 8.17일 임시공휴일 지정에 따른 금융소비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10 14
1947 8.14일 임시공휴일 지정에 따른 금융소비자 유의사항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10 85
1946 7일부터 고속도로 통행료 감면대상자 위한 ‘임시감면증’ 나온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07 12
1945 7월은 '주민세 재산분' 신고·납부의 달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07 10
1944 7월부터는 특수형태근로종사자도 고용.산재보험에 가입하여 혜택을 누리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10 42
1943 7월부터는 더 가벼운 발걸음으로 여행 가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6.26 3
1942 7월부터 흡연카페(75m2 이상)에서 담배 못 피운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19 35
1941 7월부터 허가 신청되는 전문의약품, 환자용 설명서 등 위해성 완화를 위한 안전정보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7 21
1940 7월부터 초고속인터넷 등 유선서비스 해지 쉬워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30 45
1939 7월부터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내려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7 35
1938 7월부터 저소득층 589만 세대 건강보험료 21% 내려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0 28
1937 7월부터 장애인 스포츠강좌이용권 월 8만 원 시범 지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16 42
1936 7월부터 의료급여 진료비용 알림서비스 개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5 71
1935 7월부터 의료급여 수급자 대상 틀니 및 임플란트 지원을 65세 이상으로 확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12 166
Board Pagination Prev 1 ... 791 792 793 794 795 796 797 798 799 800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