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신용카드와 도서시장 소비자지향성 최고, 휴대폰 단말기와 자동차수리서비스 최저

- 휴대폰 단말기 시장 2년 연속 최저 -

이 자료는 7월 13일(월) 조간부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방송·인터넷 매체는 7월 12일 12시)

 

올해 ‘도서’와 ‘신용카드’ 시장은 소비자지향성 최고 평가를 받은 반면, ‘휴대폰 단말기’와 ‘자동차수리 서비스’ 시장은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휴대폰 단말기’ 시장은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소비자지향성이 최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www.kca.go.kr)은 2014년 35개 시장 평가에 이어 50개 상품 및 서비스 시장에 대해 2차년도「2015 한국의 소비자시장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산출한 소비자시장성과지수*(Consumer Markets Performance Index : CMPI) 우리나라의 상품 및 서비스별 시장이 얼마나 소비자 지향적으로 작동하는지를 평가하는 소비자 관점의 시장지표이다.

1 

□ 전년 대비 1.4점 상승, 안전성은 하락

2014년에 비해 2015년 전체 시장의 소비자시장성과지수는 72.4점에서 73.8점으로 1.4점 상승하였으며, 안전성과 선택가능성을 제외한 전 평가항목의 점수가 전년 대비 상승하였다.

2  

□ ‘휴대폰 단말기’, ‘자동차수리서비스’ 시장 소비자지향성 최저 수준

(상품 시장) ‘휴대폰 단말기’는 69.8점으로 상품시장 중 소비자지향성이 가장 낮 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평가항목별로 보면 ‘소비자문제 및 불만’과 ‘선택가능성’의 점수가 가장 낮았다. 이는 소비자들이 소비자문제를 경험하거나 불만을 제기한 비율이 높고, 시장에서 사업자를 선택할 수 있는 폭이 상당히 제한 받고 있음을 의미한다. ‘휴대폰 단말기’는 2014년에 이어 2년 연속 전 평가항목에 걸쳐 적신호를 보이는 시장으로 소비자지향성이 전혀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종합적인 시장구조 분석과 개선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서비스 시장) ‘자동차수리서비스’는 71.1점으로 서비스 시장 가운데 가장 낮은 수준의 소비자지향성을 보였는데, 평가항목별로는 ‘소비자문제 및 불만’에서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다.

□ 도서·신용카드 시장에 대한 소비자평가 가장 좋아

(상품 시장) ‘도서’는 상품시장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의 소비자지향성을 보인 시장으로 2015년 처음 평가된 시장이다.

(서비스 시장) ‘신용카드’는 서비스 시장 가운데 소비자지향성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는데, 특히 전체 시장에서 6개 전 평가항목(비교용이성, 신뢰성, 소비자문제 및 불만, 만족도, 선택가능성, 가격) 모두 청신호를 보이는 유일한 시장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지향성 적신호 전체 시장의 18.0% 차지, 하위권 시장 작년과 유사

‘소비자지향성 신호등' 방식에 따라 50개의 개별 시장의 소비자지향성 수준을 점검한 결과, 소비자지향성 적신호의 경고 시장은 9개로 전체 시장의 18.0%를 차지하였다. 2014년 적신호 시장이 51.4%였던 것과 비교하면 다소 개선되긴 했지만 소비자지향성 수준이 낮은 시장은 거의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상품시장 가운데 ‘휴대폰 단말기’(69.8점), ‘중고차’ (70.7점),교복’(71.3점) 등 총 3개 시장은 소비자지향성이 매우 낮은 경고시장으로, 2014년에 이어 2년 연속 소비자향성 수준 최하위를 기록했다.

4 

서비스 시장 중에‘자동차수리’(71.1점), ‘병원장례식장’(71.3점), ‘이동전화서비스’ (71.6점), ‘어린이집’(72.0점), ‘상조서비스’(72.1점), ‘주택수리 및 인테리어’(72.3점) 등 총 6개 시장이 소비자지향성이 매우 낮은 경고시장으로 나타났다.

 

한편, 금번 조사에서 소비자들이 제품 및 서비스를 구매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평가항목은 ‘가격’과 ‘안전성’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중고차‘는 ’가격‘에서 2014년 대비 가장 많이 떨어진 시장으로 나타났으며, ’어린이집‘은 2014년 대비 안전성 수준이 가장 많이 떨어진 시장으로 나타나 소비자 지향적 시장으로 개선하기 위해 이 분야를 가장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국가 간 FTA 체결 확대 등 국내 경제의 글로벌화가 지속되고 SNS 등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로 시장에 대한 소비자의 영향력이 강화되면서 경제주체로서 소비자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기업과 시장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보다 소비자 지향적으로 변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소비자원은 금번「2015 한국의 소비자시장평가」결과를 토대로 오는 7월 14일 충북 본원에서 소비자정책연구 세미나를 개최하여 시장이 소비자 친화적·중심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요인을 분석·공유할 예정이다.

 

[한국소비자원 2015-07-1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19 신용관리 체험사례 공모전을 통해 살펴본 신용관리 10대 요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22 33
5218 신용관리체험단을 통해 신용에 관한 지식도 쌓고 신용등급 상승도 직접 경험해 보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30 181
5217 신용대출, 예금 등 전자증명서로 방문 없이 한 번에 해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02 13
5216 신용대출·요금할인 등도 전자증명서로 비대면 서비스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24 11
5215 신용카드 결제성 리볼빙 서비스 개선방안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8.24 41
5214 신용카드 관련 주요 민원사례 분석 및 소비자 유의사항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31 53
5213 신용카드 리볼빙, 높은 수수료 고려하여 신중히 가입해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18 87
5212 신용카드 본인확인서비스 도입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27 38
5211 신용카드 본인확인서비스 본격 실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02 40
5210 신용카드 부가서비스 소비자만족도, ‘사이트·앱 이용편리성’ 높고, ‘할인율 및 혜택범위’ 는 낮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26 23
5209 신용카드 여러 장 분실하셨어요? 전화 한 통이면 해결됩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05 288
5208 신용카드 이용 관련 알림서비스 강화 추진 현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19 56
5207 신용카드 포인트 사용이 더욱 편리해 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9 23
5206 신용카드 혜택서비스 소비자 만족도, 정보제공 부문 높고, 이용조건·이벤트 행사 부문은 낮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16 70
5205 신용카드‘부가 서비스(상품)’불이행 피해 많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20 122
Board Pagination Prev 1 ... 573 574 575 576 577 578 579 580 581 582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