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안마의자 렌탈계약 시 꼼꼼히 따져봐야

- 계약 해지 시 위약금 외에도 등록비, 제품 수거비 등 추가 비용 발생 -

소유에서 공유로 소비 트렌드가 변화하면서 렌탈시장은 해마다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정수기 및 비데가 주요 품목이던 렌탈시장은 최근 30~40대 및 노년층을 대상으로 안마의자 렌탈서비스가 인기를 끌면서 관련 소비자 불만도 늘고 있어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에 따르면, 2016년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안마의자 렌탈서비스 계약 해지 등 소비자 불만상담 건수는 63건으로 2015년 43건에 비해 46.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1372소비자상담센터는 공정거래위원회가 운영하는 전국 단위 소비자상담 통합 센터(국번없이 1372)로 소비자단체·한국소비자원·광역지자체가 참여하여 상담을 수행

계약해지, 품질 관련 불만이 대부분

2016년 소비자상담 접수된 안마의자 렌탈관련 63건을 분석한 결과, 불만 유형으로는 계약해지 관련이 61.9%(39건)로 가장 많았고, 품질 관련이 17.5%(11건)를 차지했다.

[ 2016년 소비자 불만상담 현황 ] 
불만 유형건수(건)비율(%)
계약해지 관련3961.9%
품질 관련1117.5%
배상 관련(배송 중 파손 등)57.9%
기타(단순문의, 사은품 등)812.7%
63100.0%

‘계약해지’ 관련은 ▲과도한 위약금 ▲등록비 등 추가 비용 발생 ▲과도한 제품 수거비 요구 등으로 나타났고,

‘품질’ 관련은 ▲A/S 지연으로 미이용한 기간동안의 렌탈비 청구 ▲렌탈비 미납을 이유로 A/S 거부 ▲초기불량에도 제품교환 거부하고 수리만 진행 등으로 조사되었다.

* 「소비자분쟁해결기준」(공정거래위원회 고시 제2016-15호)은 가전제품, TV, 스마트폰 등의 경우 구입 후 1개월 이내에 정상적인 사용 상태에서 발생한 성능·기능상의 하자로 중요한 수리를 요할 때 제품 교환도 가능하도록 규정하고 있음.

위약금이 분쟁해결기준보다 높은 경우가 있어 주의 필요

「소비자분쟁해결기준」에 따르면 의무사용기간이 1년 초과일 경우 계약해지 시 위약금은 의무사용기간 잔여월 임대료의 10%로 규정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업체별로 잔여월 임대료의 10~30%를 요구하고 있으며, 위약금 외에도 등록비 및 물류비로 29~39만원을 추가로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해지 시 위약금 및 등록·물류비 비교 ]
업체명위약금등록비물류비 (제품 수거비)
㈜바디프랜드10~20%*20~30만원 (제품별 상이)9만원
쿠쿠전자㈜10%30만원
㈜휴테크산업10%30만원
LG전자㈜30%10만원26만원

* 설치일로부터 18개월 미만인 경우 20%, 18개월 이후인 경우 10%

한국소비자원은 정부 3.0의 일환으로 금번 분석결과를 토대로 사업자 간담회를 갖고 소비자 불만 및 피해 대책을 논의한 결과, 사업자들은 해지에 따른 위약금 및 기타 부대비용을 합리적인 수준으로 낮추고, 계약 시 중요 사항은 소비자에게 반드시 사전 고지하는 등 적극적으로 소비자 불만 해소 및 피해 예방에 앞장서기로 했다.

아울러 소비자들에게는 제품 렌탈서비스 계약 시 ▲매장에서 제품을 체험해 본 후 계약여부를 결정하고 ▲계약조건, 해지시 발생비용 등을 사전에 확인하며 ▲유?무상 A/S기간과 범위 및 서비스 등을 꼼꼼히 확인할 것을 당부하였다.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피해발생 문의처

[ 한국소비자원 2017-05-0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958 아파트 옵션 계약 시 내용 구체화하고 이행 여부 꼼꼼히 확인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16 19
4957 아파트 옵션 계약 해지 쉬워진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21 130
4956 아파트 완공 직후 층간소음 측정 의무화! 층간소음 사후확인제가 최초로 시행됩니다 「주택법」, 8월 4일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8.02 6
4955 아파트 이상 고·저가 직거래 전국단위 기획조사 착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1.17 48
4954 아파트 인테리어 잘하는 곳, 이제는 앱으로 찾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8 82
4953 아파트 임차인 보호를 위한 화재보험 약관 개선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04 20
4952 아파트 입주자모집공고, 23.0%는 공동주택성능등급 인증서 누락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0.26 39
4951 아파트 지하주차장 높이 2.7m 이상으로 상향…택배대란 막는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19 25
4950 아파트 차단기 있어도 소방차, 경찰차는 무사통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7 65
4949 아파트 층간소음, 시공 후 성능확인으로 줄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10 6
4948 아파트 하자 인정 확대로 입주민 권익이 강화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21 9
4947 아파트 환기설비에 대한 소비자 인식 낮아 개선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07 32
4946 아파트·지하주차장에 감시용 ‘네트워크 카메라’ 설치 가능해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09 54
4945 아파트표준공급계약서 및 자동차운전학원 표준약관 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13 8
4944 아프리카 DR콩고 에볼라 발생…여행자 감염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15 46
Board Pagination Prev 1 ... 585 586 587 588 589 590 591 592 593 594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