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영농철, 농기계 이용시 안전사고 주의

- 노후 농기계 점검·정비하고, 안전수칙 준수해야 -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은 본격적인 영농철을 맞이하여 각종 농기계 안전사고 발생이 우려됨에 따라 소비자안전주의보를 발령했다.

농기계 사고, 이앙·파종기(5월)와 수확기(10월)에 많이 발생

최근 3년간(2014년~2016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농기계 관련 안전사고 총 847건을 분석한 결과, 농작물 이앙 및 파종이 시작되는 봄철부터 안전사고가 늘기 시작해 특히 ‘5월(100건)’, ‘8월(120건)’, ‘10월(151건)‘에 전체 사고의 절반 가까이(발생시기가 확인되는 824건의 45.0%)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2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80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 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CISS,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SS, 통합DB)에 집계된 도로에서 발생한 농기계 교통사고 또한 2015년까지 3년간 발생한 총 1,436건 중 ‘5월’에 206건(14.3%)이 발생하여 가장 많았고, 이어서 ‘10월’ 169건(11.8%), ‘6월’ 166건(11.6%) 등의 순이었다.

                             최근 3년간(2014년~2016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농기계 관련 안전사고 총 847건을 분석한 결과, 농작물 이앙 및 파종이 시작되는 봄철부터 안전사고가 늘기 시작해 특히 ‘5월(100건)’, ‘8월(120건)’, ‘10월(151건)‘에 전체 사고의 절반 가까이(발생시기가 확인되는 824건의 45.0%) 집중된 것으로 나타남 

경운기·트랙터·탈곡기 순으로 많고, ‘눌림·끼임’, ‘추락’ 사고 주의해야

안전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 농기계는 ‘경운기’로 절반이 넘는 448건(52.9%)을 차지했고, 이어 ‘트랙터’ 62건(7.3%), ‘탈곡기’ 47건(5.5%), ‘건조기’ 46건(5.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사고유형은 농기계에 ‘눌리거나 끼이는 사고’가 318건(37.5%)으로 가장 많았고, ‘추락’ 194건(22.9%) 등으로 사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부주의 등이 주요 사고원인으로 분석됐다.

증상은 ‘열상(찢어짐)’이 238건(31.5%)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골절’ 136건(18.0%), ‘신체 내부 손상 및 통증’ 112건(14.8%), ‘절단’ 81건(10.7%) 등으로 중대한 손상도 빈번하게 발생했다.(위해증상이 확인되는 755건을 기준으로 분석)

연령별로는 ‘70대’가 252건(30.5%)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60대’ 221건(26.7%), ‘50대’ 154건(18.6%) 등의 순으로 ‘60대 이상’이 대부분(64.7%)으로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된 농촌 현실이 반영됐다.(연령이 확인되는 827건을 기준으로 분석)

                                              안전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 농기계는 ‘경운기’로 절반이 넘는 448건(52.9%)을 차지했고, 이어 ‘트랙터’ 62건(7.3%), ‘탈곡기’ 47건(5.5%), ‘건조기’ 46건(5.4%) 등의 순으로 나타남 

10년 이상 노후화된 농기계 많고, 야간반사판 등 안전장치 부착도 미흡

농촌마을 3곳(충북 소재)의 주행형 농기계 총 50대*의 안전관리 실태를 조사한 결과, 사용기간 확인이 가능한 농기계(46대)의 84.8%(39대)가 10년 이상 장기 사용으로 노후화되어 정기적인 점검·정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경운기 38대, 트랙터 11대, 콤바인 1대

또한, 조사대상 농기계의 절반(25대)은 도로에서 야간 운행 시 후행 차량에게 전방 농기계의 존재를 알려주는 야간반사판이나 경광등이 부착되어 있지 않아 해질녘 이후 교통사고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후미등, 방향지시등은 각각 54.0%(27대)가 부착되어 있지 않았고, 전체 경운기(38대) 중 57.9%(22대)는 구동벨트가 보호커버 없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손 끼임 사고도 우려되었다.

한국소비자원은 금번 조사결과를 토대로 농업인들에게 ▲영농철 시작 전 반드시 농기계 상태를 점검하고 ▲작업에 따라 적절한 보호장비를 착용하며 ▲주행형 농기계의 경우 전도·추락 및 교통사고에 유의할 것 등을 당부했다. 아울러 관련부처에는 야간반사판 등 등화장치 부착 지원과 농기계 사용법 및 도로교통법규 등 안전교육 강화를 요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피해발생 문의처

[ 한국소비자원 2017-05-0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793 "글로벌 물류인재 양성" 기회의 문 두드리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04 215
13792 "금년 상반기 농지연금 가입 크게 늘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8 183
13791 "불법증차 피해 위·수탁 화물차주" 구제된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1 180
13790 "워킹홀리데이, 이제 칠레로 떠나요!" - 한-칠레 워킹홀리데이 협정 서명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27 267
13789 "자동차 대체부품 시장 활성화방안" 수립·시행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2 180
13788 "택배 서비스평가 공정성 확보" 위한 지침 마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14 172
13787 "토지" 도 실거래가격 공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23 206
13786 "흡연은 질병, 치료는 금연입니다!" ´발레로 표현한 흡연의 고통´ 금연캠페인 본격 시동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17 172
13785 "2018∼2028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7 99
13784 "3차 긴급 고용안정지원금" 및 "방문돌봄종사자등 한시지원금" 사업 시행 공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14 103
13783 "6월은 여행가는 달!" 항공권 할인받고 비행기여행 떠나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16 5
13782 "고용노동부 e-현장행정실" 서비스 본격 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26 120
13781 "고용보험법 시행령", "고용보험 및 산업재해보상보험의 보험료징수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시행령" 등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01 104
13780 "고용보험법" 및 "고용산재보험료징수법" 하위법령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 (3.16.~4.25.)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16 140
13779 "고용산재보험료징수법" , "산재보험법" 국무회의 심의.의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19 10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