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손문기)는 우리나라 국민들이 섭취하는 식품을 통한 중금속 노출량을 근거로 중금속 6종에 대한 식품의 기준·규격을 재평가한 결과, 납과 카드뮴 기준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이번 중금속 재평가는 기후 변화‧환경오염 증가‧식생활 다변화 등 사회적 환경 변화를 반영하여 현실에 맞는 중금속 6종(납·카드뮴·비소·수은·메틸수은·주석)에 대한 안전 관리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 재평가는 ▲총 노출량 ▲오염도가 높은 식품 ▲2010년과 대비하여 노출량이 증가한 식품 ▲유아‧수유부 등 민감 계층이 많이 섭취하는 식품 ▲국제기준 등을 비교‧검토하였다.
* ‘12년부터 ‘15년까지 조사된 농‧축‧수‧가공식품(총 33,362개) 대상으로 중금속 오염도와 우리 국민의 식품 섭취량을 토대로 총 노출량 평가

□ 중금속 기준·규격 재평가 결과, 6종 모두 현재 노출수준으로는 안전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연령별 섭취량과 식습관 등을 고려하였을 때 노출량을 줄여나갈 필요가 있는 카드뮴과 납에 대해서는 기준을 강화할 계획이다.
○ 카드뮴은 수산물 소비가 증가하면서 식품을 통한 총 노출량이 ‘10년 0.189㎍/kg‧bw/day에서 ’15년 0.292㎍/kg‧bw/day로 54% 증가하여 노출 기여도가 높은 오징어와 미역의 기준을 우선 강화‧신설할 예정이다.
* 1인당 연간 수산물 소비량(통계청, 어업생산통계조사): ‘01년 42.2kg → '14년 58.9kg
* 오징어의 카드뮴 기준 : 현행 2.0 mg/kg이하 → 강화(안) 1.5 mg/kg이하
* 미역의 카드뮴 기준 신설(안) : 0.1 mg/kg 이하
○ 납의 경우 총 노출량이 ‘10년 0.348㎍/kg‧bw/day에서 ’15년 0.210㎍/kg‧bw/day로 40% 감소하였으나, 연령별로 분석할 경우 유아의 노출수준이 성인에 비해 높고 납 독성이 유아에서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유아가 많이 섭취하는 사과‧귤‧딸기(장과류)에 대해서 기준을 강화할 예정이다.
* 납은 어린이의 신경발달에 영향을 주는 물질로 알려져 있어,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 유럽연합 등에서도 납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준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는 추세
* 유아(1-2세) 평균섭취량(g/kg bw/day) : 사과 1.96, 귤 2.41, 딸기 0.98
* 성인(20세이상) 평균섭취량(g/kg bw/day) : 사과 0.50, 귤 0.38, 딸기 0.09
* 사과, 귤, 딸기(장과류) 납 기준 : 현행 0.2 mg/kg 이하 → 강화(안) 0.1 mg/kg 이하
- 또한 납 오염도가 높아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평가된 들깨, 갑각류, 오징어, 미역에 대해서는 납 기준을 신설 또는 강화할 계획이다.
* 들깨의 납 기준 신설(안) : 0.3 mg/kg 이하
* 미역의 납 기준 신설(안) : 0.5 mg/kg 이하
* 갑각류의 납 기준 : 현행 1.0 mg/kg 이하 → 강화(안) 0.5 mg/kg 이하
* 오징어의 납 기준 : 현행 2.0 mg/kg이하 → 강화(안) 1.0 mg/kg이하
○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 등의 국제기준과 비교 시 기준 강화가 필요한 도라지와 더덕의 경우 납과 카드뮴 기준을 동시에 강화할 예정이다.
* 도라지, 더덕: (납)현행 2.0mg/kg이하 → 강화(안) 0.2mg/kg이하
(카드뮴)현행 0.2mg/kg이하 → 강화(안) 0.1mg/kg이하

□ 식약처는 앞으로도 중금속 등 유해오염물질의 기준·규격을 주기적으로 재평가하여 과학적․합리적인 기준을 마련하는 한편, 중금속 노출을 줄이기 위해 어린이‧임산부‧수유부 등 민감 계층을 위한 섭취가이드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납, 카드뮴 기준 강화·신설 내용은 올 상반기내 행정예고 할 예정이며, 재평가 보고서는 식약처 홈페이지(www.mfds.go.kr> 분야별정보> 식품안전정책> 식품안전정보> 식품정보)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17-04-2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318 벤츠, 애스턴마틴, 볼보, 인디언 리콜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02 40
5317 가맹거래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8 35
5316 대리점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8 37
5315 국민콜 110, 성폭력·운전면허 등도 신고상담 받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8 84
5314 2017년 한방의료이용 및 한약소비 실태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8 35
5313 쇼핑몰 평가결과 발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8 32
5312 착실히 모은 세금포인트, 보다 편리하게 활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8 29
5311 2018년 초.중.고 교육급여 및 교육비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8 34
5310 자일리톨, 글루코사민 등 기능성 원료 16종 재평가 실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7 31
5309 7월부터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내려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7 35
5308 성폭력피해상담소 등 종사자 자격기준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7 51
5307 자동차에 대한 궁금증과 민원, 한 번에 해결…‘자동차365’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7 29
5306 3월 법인세 신고, 납세자 중심의 맞춤형 안내 최대한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6 42
5305 공인인증서 공공기관 누리집(홈페이지)에서 사라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6 46
5304 티볼리, 코란도 C 등 쌍용차 7만 4천대 부품 결함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6 45
Board Pagination Prev 1 ... 566 567 568 569 570 571 572 573 574 575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