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소비자 드론 시장 활성화, 안전관리 강화 필요해

- 소비자상담 70.3% 증가, 4명 중 1명 문제 경험, 1순위 현안은 안전 -

지난해 글로벌 드론 시장의 84%를 취미·레저용이 차지*할 정도로 드론은 국내외 소비자 일상에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드론 시장이 급속히 확대됨에 따라 관련 소비자상담도 증가하고 있어 대책 논의가 필요한 실정이다.

* 국토교통부(2016), '드론 활성화 정책방향', 드론 활용 비즈니스 모델 및 시범사업 확대 심포지엄 자료집(2016.8.11, p.30)

※ 드론(Drone)은 무인비행체라고도 하며, 인공지능이 탑재된 원격조종 또는 사전에 프로그램된 경로에 따라 자동·반자동 형식으로 자율비행하거나 날리기, 레이싱, 촬영 등의 용도로 이용하는 무인기를 말함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은 드론 이용에 관한 소비자인식 현황을 조사하여 소비자문제 경험 및 위해사고 불안수준 등을 분석, 소비자지향적 드론 시장을 위한 정책 현안을 제시했다.

드론 관련 소비자상담 전년대비 70.3% 증가

최근 2년간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드론’ 관련 소비자상담은 총 100건으로 지난해에는 63건이 접수되어 전년대비 70.3% 증가했다.

* 1372소비자상담센터는 공정거래위원회가 운영하는 전국 단위 소비자상담 통합 콜센터(국번없이 1372)로 소비자단체·한국소비자원·광역지자체가 참여하여 상담을 수행

유형별로는 ‘품질’ 관련이 50건(50.0%)으로 가장 많았고, ‘A/S불만’ 18건(18.0%), ‘청약철회’ 6건(6.0%)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품질’ 관련 상담은 2016년 기준 32건이 접수되어 전년(18건)대비 77.8% 증가했다.

4명 중 1명이 드론 소비자문제 경험해

전국 성인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드론에 대한 소비자인식 현황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30.5%는 기기 오작동으로 인한 피해를 우려했다.

특히, 드론 이용경험이 있는 소비자(463명)의 경우 4명 중 1명(115명, 24.8%)이 소비자문제를 경험했는데, 구체적으로는 기기 오작동(59.1%)과 제품 불량(46.1%)을 지적했다(중복응답).

또한, 경험자 5명 중 1명(95명, 20.5%)은 위해사고를 경험했고, 공원 등에서 야외활동 중 사고를 경험(38.9%)한 경우가 많았다.

청소년 공군항공우주캠프 드론 사진전국 성인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드론에 대한 소비자인식 현황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30.5%는 기기 오작동으로 인한 피해를 우려함.  특히, 드론 이용경험이 있는 소비자(463명)의 경우 4명 중 1명(115명, 24.8%)이 소비자문제를 경험했는데, 구체적으로는 기기 오작동(59.1%)과 제품 불량(46.1%)을 지적

드론 이용시 사고발생 불안감 느껴

드론 제품 이용과 관련하여 전체응답자의 39.7%는 사고발생에 대한 불안을 표시했다. 드론 구성요소별로는 ‘날개 및 프로펠러’로 인한 불안이 67.0%로 나타났으며, ‘모터·엔진’(49.8%), ‘배터리·충전기’(46.2%) 관련 불안도 존재했다.

한편, 드론 서비스 시설에서의 사고 발생에 대한 불안은 ‘드론 경기·레이싱장’이 40.5%로 가장 많았고, ‘야외체험·교육장’(31.9%), ‘실내체험·교육장’(28.2%)에 대한 불안감도 느끼는 것으로 확인됐다.

드론 시장 활성화, 안전관리 강화 및 모니터링이 중요

소비자용 드론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드론 제품 안전 등급 마련과 모니터링’이 1순위 현안(32.5%)으로 뽑혔다. 또한, ‘드론 국가공인 표준인증 강화 및 모니터링’ (24.9%), 파손·분실·위해·안전사고 등에 대비한 ‘드론 전문보험 출시’(17.7%), 제품 비교·선택을 위한 ‘소비자정보제공 강화’(16.1%)도 필요한 것으로 답했다.

한국소비자원은 금번 조사결과를 토대로 드론 제품 품질관리를 강화하고 관련 시설 안전 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하는 한편, 국내외 드론 표준개발을 위한 협의체(COSD) 활동을 통해 품질 안전 관련 표준화 과정에 이를 반영하고, 신기술 시장 정책 마련에 소비자권익을 강화하도록 관련 부처에 건의할 예정이다.

※ 표준개발협력기관(COSD, Co-operation Organization for Standards Development):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으로부터 항공·우주분야 전문기관인 (사)한국드론산업진흥협회가 표준규격 개발·관리 업무를 위임받아 드론을 포함한 무인항공기 표준화를 추진, 한국소비자원을 포함한 표준화 위원회는 국제표준화(ISO/TC20/SC16) 및 KS표준 정비(수요조사, 개정, 폐지, 확인 등)작업 등을 수행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피해발생 문의처

[한국소비자원 2017-04-2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505 여행 플랫폼, 해외 테마파크 입장권 가격 표시 다크패턴 개선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12 41
4504 여행금지국가·지역 지정기간 6개월 연장 및 이라크내 신규사업 예외적 여권 사용 허용 지역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05 39
4503 여행사의 국제선 항공권 구매대행 불공정약관 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12 6
4502 여행용 캐리어, 시험대상 전 제품 내충격성 등 내구성 우수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8.25 20
4501 여행작가와 함께하는 해외감염병 예방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05 14
4500 여행할 때, 항공사 안전정보 미리 확인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23 74
4499 역주행·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 취약지점에 시설개선 이뤄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15 20
4498 연 100만 건의 렌터카 공문, '문서24'로 한 번에 끝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02 98
4497 연 20%로 낮아지는 최고금리, 대출을 이용중이신 분도, 이용하시려는 분도 이것만은 기억하세요! - 법정 최고금리 인하(연 24%→연 20%) 7.7일 시행 및이용자 유의사항 안내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07 14
4496 연 2만 원으로 화재 등 피해 보장하는 '재난희망보험' 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8.31 10
4495 연간 불법 주·정차 연계형 교통사고 85,854건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16 61
4494 연간 횡단보도 보행자 사망 373명! 횡단보도 앞 일단 멈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10 8
4493 연구사·지도사 공채시험 한국사 과목, 한국사능력검정시험으로 대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21 37
4492 연금보험료 체납시, 관급공사 기성금 수령 불가, 사업양수인 등이 대신 납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27 196
4491 연금복권 신상품(연금복권 720+) 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21 13
Board Pagination Prev 1 ... 621 622 623 624 625 626 627 628 629 630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