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생활화학제품 사용 중 안전사고 지속적으로 발생
-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사용 가이드라인을 따라야 -

가정에서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각종 생활화학제품에 대한 관심과 우려가 높지만, 품목별 빈발하는 위해유형이나 올바른 사용법 등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은 최근 3년간(2014~2016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생활화학제품 관련 위해정보 총 1,529건*을 분석했다.
* 연도별 현황: 2014년 445건 → 2015년 432건(2.9%↓) → 2016년 652건(50.9%↑)

※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2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80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 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

□ 접착제·표백제·세정제 순으로 위해발생 많아위해품목별 현황

위해가 가장 많이 발생한 품목은 ‘접착제’로 전체의 25.5%(390건)를 차지했고, 이어 ‘표백제’ 18.0%(275건), ‘세정제’ 12.9%(198건), ‘살충제’ 8.5% (130건), ‘방향제’ 7.8%(120건) 등의 순이었다.

주요 품목별 위해유형으로는 ‘접착제’의 경우 뚜껑을 열거나 사용 중 내용물이 눈에 튀거나 점안제로 오인하고 넣어 ‘안구 손상’을 입은 경우가 52.8%(206건)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뜨거운 글루건이나 접착제의 화학 성분에 의해 ‘화상’을 입은 경우도 30.0%(117건)를 차지했다.

‘표백제’와 ‘세정제’ 역시 사용 중 부주의로 ‘안구 손상’을 입은 경우가 가장 높은 비중(각 45.8%, 35.4%)을 차지했고, 이어 음료나 의약품으로 오인하여 삼킨 사고(각 37.1%, 28.3%)도 많았다.

□ ‘10세 미만’ 어린이, ‘살충제’ 삼킴 사고가 많아

연령 확인이 가능한 1,327건 분석결과, ‘10세 미만’ 어린이가 30.9%(410건)로 안전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했고, 다음으로 ‘30대’ 15.4%(204건), ‘50대’ 13.6%(180건), ‘40대’ 12.7%(169건) 등의 순이었다.

특히, ‘10세 미만’ 어린이의 경우 전체 ‘살충제’ 사고(130건)의 56.9%(74건)를 차지해 다른 연령대에 비해 ‘살충제’ 관련 안전사고가 많았다. 대부분 가정 내 방치된 바퀴벌레약이나 개미 살충제를 빨아 먹거나 삼켜 발생한 만큼 어린이 손에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하는 등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생활화학제품 위해 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강화 및 사용 가이드라인 마련

일반적으로 생활화학제품은 사용량과 사용법을 준수하는 경우 안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가습기살균제 사건에서 알 수 있듯이 화학물질의 위해성 여부 및 인과관계를 신속하게 규명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생활화학제품에 대한 감시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위해징후 사전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 중으로, 향후 이를 통해 소비자안전 사각지대 조기 발굴 및 선제적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생활화학제품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생활화학제품 사용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제품에 표시된 대로 용도에 맞게 정량을 사용하며 ▲밀폐된 환경에서는 사용을 자제하고 사용 후 충분히 환기할 것을 당부했다. 특히, 부주의로 인한 안전사고가 많은 만큼 보호자들에게는 ▲어린이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할 것 ▲음료로 오인하지 않도록 다른 용기에 옮겨 담지 말 것 ▲음용 시 억지로 토하게 하지 말고 성분확인이 가능하도록 제품을 가지고 병원을 방문할 것 등을 강조했다.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2017-04-1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892 유리파편 혼입되어 부상 위험 있는 Parsons Pickles 홍합절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07.19
2891 알레르기 유발성분(글루텐) 함유한 Besrow 유산균 보충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2.07.19
2890 박테리아 오염돼 감염 위험 있는 Jergens 로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 2022.07.19
2889 뚜껑 튀어 부상 위험 있는 Airbome 멀티비타민제(3)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2.07.19
2888 시안화수소산 방출 위험 있는 Alnatura 그라운드 아몬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07.18
2887 뚜껑 튀어 부상 위험 있는 Airbome 멀티비타민제(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2.07.18
2886 뚜껑 튀어 부상 위험 있는 Airbome 멀티비타민제(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 2022.07.18
2885 시안화수소산 방출 위험 있는 dm bio 아몬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 2022.07.18
2884 알레르기 유발성분(달걀) 함유한 Wish-Bone 셀러드 드레싱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7 2022.07.18
2883 알레르기 유발성분(우유) 함유한 Two bears 음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 2022.07.18
2882 금속 이물질 혼입 가능성 있는 Wakodo 콩가루 쿠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7 2022.07.18
2881 안전기준 미준수 Lulonee 아기 캐리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2.07.18
2880 안전기준 미준수 Tom aibaby 아기 캐리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 2022.07.18
2879 안전기준 미준수 Sonarin 아기 캐리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2.07.18
2878 "올 여름 물놀이장 3년만에 전면 재개장, 안전사고 유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22.07.18
2877 여행수요 늘면서 항공 운항 취소·변경에 따른 피해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2.07.18
2876 낙상 위험 있는 Baby Rescue Rapid Evacuation Device 유아 대피장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 2022.07.15
2875 화재 및 감전 위험 있는 FOCUS 전기히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2.07.15
2874 배터리 문제 있는 Final Touch 주류 디스펜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 2022.07.15
2873 비타민 성분 과다 함유한 SimplySupplements 비타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07.15
Board Pagination Prev 1 ...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