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17년 3월 생필품 가격동향 분석

- 전월 대비 대파·양파 등 상승 -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이 가격정보 종합포털 ‘참가격(www.price.go.kr)’을 통해 3월 주요 생필품 판매가격을 분석한 결과, 전월 대비 대파?양파 등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월 대비 대파·양파는 상승, 호박·당근은 하락

전월 대비 가격이 많이 상승한 상위 10개 품목 중 5개는 일반공산품이었으며, 신선식품 3개, 가공식품 2개였다. 일반공산품은 키친타월(17.6%)·베이비로션(8.6%)·구강청정제(7.7%)·핸드로션(7.0%) 등이 상승했고, 신선식품은 대파(10.4%)·양파(8.7%)·오징어(5.5%), 가공식품은 즉석우동(8.7%)·혼합조미료(5.7%) 등이 상승했다.

대파·오징어 등은 백화점이 상대적으로 비쌌고, 양파·치약·즉석우동 등은 SSM(Super SuperMarket, 기업형 슈퍼마켓)이 상대적으로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전월 대비 가격이 많이 하락한 상위 10개 품목 중 5개는 신선식품이었으며, 가공식품 4개, 일반공산품 1개였다. 신선식품은 시금치(-17.9%)·호박(-14.8%)·당근(-12.7%)·오이(-11.1%) 등이 하락했고, 가공식품은 이온음료(-7.9%)·국수(-6.6%), 일반공산품은 손세정제(-8.5%) 등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호박·당근·오이는 1월부터 지속적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호박?당근?오이는 1월부터 지속적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음

호박·당근·오이 등은 전통시장이 상대적으로 저렴했으며, 이온음료·캔디 등은 대형마트가, 시금치, 국수 등은 SSM이, 손세정제는 백화점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호박?당근?오이 등은 전통시장이 상대적으로 저렴했으며, 이온음료?캔디 등은 대형마트가, 시금치, 국수 등은 SSM이, 손세정제는 백화점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것으로 나타남

전년 동월 대비 무·계란·벌꿀·돼지고기 등 상승

한편, 전년 동월(’16년 3월)과 비교했을 때에는 (34.3%)·계란(31.0%)·벌꿀(21.4%)·돼지고기(16.9%) 등이 상승했고, 일반린스(-21.3%)·샴푸(-17.4%)·물휴지(-13.9%)·바디워시(-12.6%) 등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계란은 전년 동월 대비 31.0% 상승했으며, 올 들어서도 1월부터 상승 추세를 보였다. 돼지고기(삼겹살)는 전년 동월 대비 16.9% 상승했으며, 1월부터 2월까지 상승세를 보이다 3월 들어 하락세를 나타냈다. 반면, 닭고기는 1월부터 2월까지 하락세를 보이다 3월 들어 다시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전년 동월 대비로는 4.4%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계란은 전년 동월 대비 31.0% 상승했으며, 올 들어서도 1월부터 상승 추세를 보였다. 돼지고기(삼겹살)는 전년 동월 대비 16.9% 상승했으며, 1월부터 2월까지 상승세를 보이다 3월 들어 하락세를 나타냈다. 반면, 닭고기는 1월부터 2월까지 하락세를 보이다 3월 들어 다시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들에게 맞춤형 생필품 가격정보를 주간단위로 제공하고 있으며, 동일한 제품이라도 판매점에 따라 가격 차이가 큰 만큼 생필품을 구입하기에 앞서 ‘참가격(www.price.go.kr)’ 사이트에서 판매가격, 할인정보(1+1 행사) 등을 확인할 것을 소비자들에게 당부했다.



붙임 1. 2017년 3월 생필품 가격동향 분석 결과

2. ‘참가격’ 가격정보 제공 현황

※ 통계청의 소비자물가동향과는 지표의 포괄범위, 표본 등이 달라 양 기관 자료 간 증감 크기나 방향 등이 상이할 수 있음.

※ ‘참가격’은 국민소비생활에 꼭 필요한 생필품 135개 품목(402개 상품, 전국 373개 판매점) 가격과 주요 기관에서 조사한 공공요금, 의약품비 등의 서비스가격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합리적인 선택에 기여하고 있음.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피해발생 문의처

 

[한국소비자원 2017-04-1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998 한부모가족지원제도 2023년에 이렇게 달라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06 19
9997 2023년 기초연금 월 최대 32만 3,180원으로 인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09 19
9996 창업 요건·인허가 기준 해석 ‘내고장알리미’에서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09 19
9995 2022년도 복권 인식도 조사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11 19
9994 “온 가족이 함께 설맞이 가족프로그램을 즐겨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12 19
9993 코로나19 예방접종 시 후유증 덜 겪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19 19
9992 부모급여 신청하시고, 행복한 설날 보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20 19
9991 2023년 표준지 및 표준주택 가격 결정·공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25 19
9990 보험영업 및 보험금지급 공시를 강화하기 위해「보험업감독업무 시행세칙」이 개정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14 19
9989 농지연금 가입연령 낮추고 상품 유형도 늘린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1 19
9988 '23년부터 근로·자녀장려금 신청이 더 편리해 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3 19
9987 2023년 기본형 공익직불금 신청 유의사항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3 19
9986 23년 1월 주택 통계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8 19
9985 온라인 다크패턴으로부터 소비자 보호를 위한 정책방향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1 19
9984 부적절한 체중조절은 심한 생리통의 위험도를 높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4 19
Board Pagination Prev 1 ...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