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48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17년 4월 4일 현재 국내 전역에서 유통판매되고 있는 패류와 연안 주요 패류양식장 및 주변해역에서 채취한 패류의 마비성패류독소 발생현황을 알려드립니다(식품의약품안전처 및 수산과학원 제공)

※ 패류채취 금지해역 : 부산 다대포 및 감천항 연안

□ 국내 유통판매되고 있는 패류독소 검사현황(식품의약품안전처)
○ 전국 17개 시·도에서 판매되고 있는 바지락, 진주담치(홍합), 굴, 키조개 등 218건을 수거하여 검사한 결과 패류독소가 검출되지 않아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 연안 주요 양식장 및 주변해역 패류독소 발생현황(국립수산과학원)
○ 진해만 및 통영일원 등 12개 조사지점, 거제시, 여수시, 남해군, 부산광역시, 영덕군, 태안군, 보령시, 서천군, 고창군 연안에서 진주담치, 굴, 바지락, 키조개 조사결과
- 부산광역시 다대포 및 감천연안의 진주담치에서 기준치 초과 검출(529~8,012㎍/100g)
- 부산광역시 태종대 연안의 진주담치에서 기준치 이하 검출(49㎍/100g)
- 그 외 조사해역의 진주담치, 굴, 바지락, 키조개 : 불검출

□ 패류독소 검출된 해역이 발생됨에 따라, 패류 채취금지해역에서는 임의로 채취하여 섭취하거나 시중에 출하·유통을 금지하고 있으므로 유의하셔야 됩니다.

□ 안내사항
○ 패류독소 발생현황은 식품의약품안전처 홈페이지(www.mfds.go.kr) 및 모바일(m.mfds.go.kr)과 수산과학원 홈페이지(www.nifs.go.kr) 패류독소 속보와 스마트폰 앱으로도 제공되고 있습니다.
○ 패류독소에 대한 의문사항이 있으신 경우 식품의약품안전처 농축수산물안전과(043-719-3253~3255)와 국립수산과학원(051-720-2641~2번)으로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17-04-0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192 일교차 큰 가을철 나들이, 식중독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7 2022.10.12
3191 일교차 큰 가을철 나들이, 식중독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0.10.19
3190 인플루엔자 지속 증가, 예방접종과 개인위생수칙 준수 철저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6 2018.01.05
3189 인플루엔자 지속 증가, 감염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19.04.12
3188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 발령에 따른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2.09.16
3187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19.11.15
3186 인플루엔자 유행 지속, 예방접종 및 위생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6 2018.12.28
3185 인플루엔자 유행 지속, 감염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20.01.13
3184 인플루엔자 유행 지속 중, 영유아·노인 등 고위험군은 의심증상 시 치료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18.01.12
3183 인플루엔자 신속대응 위한 감시체계 보강 및 개인 예방수칙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2 2017.10.27
3182 인플루엔자 발생 증가, 예방접종과 개인위생수칙 준수 당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0 2019.12.13
3181 인플루엔자 발생 증가, 아동 및 청소년 예방수칙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17.12.15
3180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치료제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9 2017.08.23
3179 인판티노(infantino) 아기띠, 버클 파손으로 낙상사고 우려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1 2020.05.21
3178 인터파크 사칭사이트 주의게시글 타이틀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 2023.08.01
3177 인터넷은행을 사칭하는 에스뱅크에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7 2017.08.16
3176 인터넷교육서비스, 6개월 이상 장기계약 피해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3 2019.04.23
3175 인터넷(IT)전당포 이용, 과도한 대부이자와 담보물 임의처분 주의해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77 2016.07.08
3174 인터넷 판매 식품 허위.대광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4 2017.12.14
3173 인터넷 사기 도박사이트로 유인하는 가짜뉴스 문자메시지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2 2020.06.23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