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액체가 들어 있는 스마트폰케이스, 누액에 의한 화상 주의

반짝이는 장식이 액체 속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는 스마트폰케이스가 젊은이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그러나, 액체가 외부로 흘러나와 피부에 닿을 경우 화상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소비자의 주의가 요구된다.

반짝이는 장식이 액체 속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는 스마트폰케이스가 젊은이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그러나, 액체가 외부로 흘러나와 피부에 닿을 경우 화상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소비자의 주의가 요구됨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은 스마트폰케이스에서 흘러 나온 액체에 화상을 입었다는 위해정보가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되어 시중에 판매 중인 일부(9개 제품)에 대해 조사하였다.

안전성 및 표시실태 조사결과, 전 제품에서 인체에 유해한 성분의 액체를 포함하고 있었으며, 6개 제품(67%)은 낙하·충격시험에서 파손되어 액체가 외부로 흘러 나와 화상 사고 위험이 있었으나, 화상사고와 관련한 주의·경고 문구를 표기한 제품은 없었다.

한국소비자원은 해당 제품을 판매한 사업자에게 자발적인 시정조치를 권고하였고, 8개 사업자는 판매중단, 1개 사업자는 표시사항을 개선하였다. 한편, 유사 제품들이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다수 유통되고 있으나 안전기준이 없는 점을 고려하여 ‘통신판매중개사업자 정례협의체’*(이하 협의체)를 통해 소비자 안전 확보 방안을 협의하였다.

* ‘온라인 유통 제품의 안전성 확보’를 목적으로 한국소비자원과 네이버(쇼핑), SK플래닛(11번가), 이베이코리아(옥션, 지마켓), 인터파크(쇼핑), 포워드벤처스(쿠팡) 등 5개사가 참여하는 정례협의체

이에, 협의체는 액체가 들어 있는 스마트폰케이스의 위험성을 온라인에서 스마트폰 케이스를 판매하는 사업자(약 10,000개)에게 공지하고, 액체가 들어있는 스마트폰케이스를 판매할 경우에는 제품 판매 정보에 액체의 성분과 화상사고 예방을 위한 소비자 주의사항을 반드시 표기토록 권고하였다.

한국소비자원은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은 액체가 들어 있는 스마트폰 케이스와 관련하여, ▲해당 제품을 판매하는 사업자에게 액체의 성분, 화상 위험성 등에 대해 판매정보란에 명확히 기재할 것을 권고하고, ▲소비자에게는 스마트폰 케이스 액체가 외부로 누출될 경우, 스마트폰에서 분리하여 사용을 중단해야 하며, 액체가 피부에 닿은 경우 즉시 물로 씻어내고 이상 증상이 있을 경우 의사와 상담할 것을 당부했다.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피해발생 문의처

 

[한국소비자원 2017-04-0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304 국민권익위 경찰옴부즈만, “고소장 반려 시 고소인의 동의 여부 명확히 확인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16 20
10303 국민권익위, “공익사업을 위해 수용하고 남은 토지가 원래 목적대로 사용이 어렵다면 지자체가 매수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16 30
10302 전 국가·지역 해외여행에 대한 특별여행주의보 재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15 26
10301 “고용.산재보험 과오납금 찾아가세요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15 21
10300 2021년 당신에게 꼭 맞는 섬을 추천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14 23
10299 열린어린이집 정보 이제 쉽게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14 22
10298 7월 1일부터 해외 예방접종 완료자는 국내 입국 시 격리면제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14 18
10297 코로나19 피해 취약 개인채무자는 2021년 12월말까지 가계대출 원금 상환유예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14 19
10296 14일부터 항공기내 반입 금지물질 운영기준이 완화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14 21
10295 온라인으로 아세트아미노펜 해열제 구매? 안 돼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11 22
10294 돈가스, 햄버거패티 등 제조업체 안전점검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11 21
10293 현재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유지(수도권 2, 비수도권 1.5단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11 34
10292 비대면 간편 자격확인, 지자체에서 확대 운영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10 21
10291 ‘토스’, ‘위하고’ 앱에서도 전자증명서 이용 가능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10 37
10290 가공식품, 당류 및 나트륨 저감화 노력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10 17
Board Pagination Prev 1 ...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