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소비자가 체감하는 금융서비스 시장의 소비자지향성, 대부분의 평가항목에서‘보통’수준 보여

- 2명중 1명, 개인정보유출 불안감 느끼고 있어 이에 대해 지속적 관리 필요 -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이 정부 소비자정책의 일환으로 금융서비스 시장의 소비자지향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 종합점수 49.4점으로 ‘보통’ 수준에 접근하고는 있으나 지속적인 금융서비스 시장에서의 소비자지향성 강화 및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금융서비스 시장의 소비자지향성이란, 건전한 시장질서 확립을 통한 소비자 신뢰를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금융소비자들의 합리적 선택이 이루어지는 시장의 추구를 말함.

평가항목별로는 ‘투명성’이 56.2점으로 가장 높았고, ‘개인정보관리’가 42.4점으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금융서비스 시장별로는 ‘예·적금’이 50.3점으로 소비자지향성이 가장 높은 수준이었으며, ‘신용카드’는 48.1점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소비자지향성을 보였다.

평가항목별로는 ‘투명성’이 56.2점으로 가장 높았고, ‘개인정보관리’가 42.4점으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금융서비스 시장별로는 ‘예·적금’이 50.3점으로 소비자지향성이 가장 높은 수준이었으며, ‘신용카드’는 48.1점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소비자지향성을 보였음

【평가항목 세부내용】
1. 비교용이성정보제공수준, 정보접근성, 비교용이성, 이해용이성 등을 평가
2. 투명성상품의 위험성, 거래비용 절차, 금리 등 정보제공의 투명성 정도를 평가
3. 소비자문제 및 불만소비자문제경험, 불만처리신속성, 처리 만족도, 사후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평가
4. 선택가능성상품의 다양성, 상품 결정의 소비자참여도, 동등한 선택권리 보장에 대한 평가
5. 전환성합리적 비용을 수반한 전환 용이성을 평가
6. 개인정보관리개인정보관리의 안전성, 사업자 신뢰도, 대응메커니즘에 대한 평가
금융소비자 5명중 1명, 개인정보유출 경험 있어

금융소비자 5명중 1명(20.6%)꼴로 개인정보 유출의 경험이 있는 가운데 금융소비자 2명중 1명(56.1%)이 개인정보유출에 대한 불안감을 보였다. 금융서비스 시장 중 가장 높은 개인정보 유출 경험률을 보인 시장은 신용카드’(37.8%)로, ‘해당시장에서 개인정보 유출 불안감을 느낀다’고 응답한 소비자는 65.0%에 달했다.

그러나 금융기관의 개인정보유출 여부 통보에 대해서는 10명중 1.3명(13.5%)만이 ‘통보받은 것으로 인지한다’고 응답하였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금융소비자들의 이러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개인정보 안전관리에 대한 지속적인 보완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4명중 1명은 금융상품 설명정보 이해하기 어려워

한편, 금융소비자의 약 4명중 1명(25.2%)은 제공되는 설명정보를 이해하기 어렵다고 응답하였으며, 28.4%는 중요정보 접근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특히 ‘신용카드’와 ‘펀드’는 10명중 3명(각 30%, 29.4%)의 소비자가 ‘해당상품의 정보를 이해하기 어렵다’고 응답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소비자원은 금융기관들의 개인정보관리 안전성 확보 및 이해하기 쉬운 금융상품 정보제공 등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금융소비자도 스스로 상품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고 자기결정에 대한 책임을 명확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향후 한국소비자원은 금융서비스 시장에서의 소비자지향성 강화를 위해 관련부처와 지속적으로 협의할 계획이다.

【 조사개요 】

o 평가시장 : 5개 금융서비스 시장(예·적금, 대출, 보험, 신용카드, 펀드)

※ 대출은 개인신용대출 및 주택담보대출로 한정

o 평가방법 : 최근 3년간 각 시장별 금융상품 및 서비스를 구매한 경험이 있는 20세 이상의 소비자 총 2,500명(시장별 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 실시

o 평가항목 : ①비교용이성 ②투명성 ③소비자문제 및 불만 ④선택가능성 ⑤전환성 ⑥개인정보관리 등 총 6개 부문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피해발생 문의처

 

[금융감독원 2017-04-0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129 사회 취약계층, 도시가스 요금 감면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13 23
9128 금융소비자 피해를 예방하고, 분쟁발생시 참고할 수 있는 유익한 민원분쟁정보를 지속 공개하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7 23
9127 2022년 어린이집 이용자 만족도 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8 23
9126 청년내일채움공제, 2023년에는 인력부족업종의 소규모 기업을 집중 지원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2 23
9125 2023년 지자체의 경쟁제한 및 소비자권이익 저해 조례 규칙 개선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2 23
9124 2022년 귀속 하반기분 근로장려금 신청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2 23
9123 5월은 ’22년 귀속분 양도소득세 확정신고의 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04 23
9122 감염병 예방을 위해 동물과의 접촉을 줄이고, 체험시설 이용 시, 예방수칙 준수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04 23
9121 '22년 주요 민원사례로 알아보는 소비자 유의사항(생명보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10 23
9120 안전하고 편리한 도로, 국민과 함께 만든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15 23
9119 찾아가고 싶은 여름섬으로 여름휴가를 떠나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07 23
9118 이륜차 인도 주행, 반드시 근절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07 23
9117 샴푸바, 제품 간 세정성능 다르고 가격도 최대 5.4배 차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18 23
9116 소비자법 위반행위 감시요원 본격 활동 개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10 23
9115 재난복구·구호 시, 공유재산 활용 쉬워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14 23
Board Pagination Prev 1 ...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