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스마트폰을 활용해 낡은 가구 폐기물을 손쉽게 처리하고 소외계층의 경우 카쉐어링업체 앱 등을 활용해 휴일에 관용차량을 무료로 이용하는 방안이 시범 추진된다.

행정자치부(장관 홍윤식)와 한국정보화진흥원(원장 서병조)은 국민생활 속 불편함을 해소하고 보다 선진화된 행정서비스를 도입하기 위한 ‘17년도 ‘첨단 정보기술 활용 공공서비스 지원사업’ 4개를 선정해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올해 추진하는 시범사업은 ▲영상인식기술 활용 대형폐기물처리서비스(은평구) ▲자연어 인식 기반의 지능형상담(챗봇)서비스(대구시) ▲소외계층에 대한 관용차량 카쉐어링 서비스(경기도) ▲드론 활용 현장행정 구축(부산,충남,제주) 등 총 4개 과제다.

영상인식기술 활용 대형폐기물처리서비스는 스마트폰에 찍힌 폐기물 사진을 인공지능이 스스로 식별하여 종류, 크기에 따른 수수료를 부과하고 폐기물처리업자에게 배출위치까지 전송하는 서비스다.

지금까지는 단독주택 거주자의 경우 대형 폐기물 처리시 주민센터를 방문해 스티커를 구입한 뒤 부착해 버려야 하는 불편함이 따랐다.

행자부는 이번 서비스를 위해 컴퓨터가 객체를 식별할 수 있도록 120여 가지의 품목당 약 1만장의 사진을 딥러닝(기계학습)해 학습데이터로 구축할 계획이다.

자연어 인식 기반의 지능형상담(챗봇)서비스는 콜센터 상담 데이터베이스를 컴퓨터가 이해하는 지식 유형으로 구축하고 인공지능이 민원인의 질문내용과 의도를 파악한 뒤 분석을 거쳐 정확한 답변을 도출한다.

현재 일부 기관이 도입한 챗봇은 단순 시나리오 기반의 키워드 검색 방식으로 오답률이 높지만, 이번 사업에서는 컴퓨터가 단어의 의미를 알 수 있게 연관관계를 정의한 ‘온톨로지’ 기반의 학습화를 통해 정확한 질문과 답변을 유도한다.

소외계층에 대한 관용차량 카쉐어링 서비스는 휴일에 운행하지 않는 관용차량을 기초수급대상자 등 소외계층이 편하고 쉽게 무상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 기존 3일 걸리던 행정 처리를 단 1시간으로 단축하고, 차량에 사물인터넷(IoT) 단말기를 부착하여 사고 발생시 신속한 처리를 지원한다.

드론 활용 현장행정 구축 사업은 공유지의 불법점유물 단속에 드론을 활용한 ‘15년 사업을 확산하는 것으로 올해에는 부산, 충북, 제주 지역을 대상으로 노후 교량 점검, 비탈면 관리 등 지자체 현장행정업무 전반에 드론을 활용할 계획이다.

행자부는 올해 사업을 민관 협업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사용자 앱을 만들지 않고 민간 플랫폼을 그대로 사용해 추진할 예정이다. 아울러 구축된 인공지능 학습데이터는 공공과 민간에 개방ㆍ공유할 뿐 아니라 연구개발 등에도 활용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이들 사업 중 ‘국민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한 사업의 경우에는 전국적으로 확산돼 본격 추진될 전망이다.

정윤기 행정자치부 전자정부국장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AI 등을 공공분야에 적극 도입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하면서, “기술과 서비스 효과를 검증하고 그 성과를 민간과 공유해 공공의 정책과 민간의 역량이 융합되는 서비스로 발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담당 : 지역정보지원과 김석준 (02-2100-3928)

 

[행정자치부 2017-04-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39 다이어트, 부기제거에 좋다며 고의·상습적으로 부당 광고한 영향력자(인플루언서) 4명 등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28 17
3238 정신질환 입원환자 ‘통신·면회’ 규정 마련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22 17
3237 국제이사화물 표준약관 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20 17
3236 7월 부가가치세 신고는 세무서 방문 없이 홈택스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09 17
3235 해외 직구 레이저제모기, 의료기기로 검증된 제품 없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09 17
3234 나 홀로 1인 세대 877만 명, 전체 주민등록 세대의 38.5%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08 17
3233 2020년 업종별 대리점 거래 실태조사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07 17
3232 보험소비자 권익보호를 위한 불합리한 보험약관 개선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29 17
3231 중요한 표시광고사항 고시 및 통합공고 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17 17
3230 지난 3월 신청한 2019년 하반기분 근로장려금 지급 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10 17
3229 군미필(軍未畢) 남성이 받는 손해배상 불이익 없앤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02 17
3228 2020년 4월 소비자물가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07 17
3227 영세사업장에 일자리안정자금 근로자 1인당 최대 월 18만원 지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06 17
3226 채소 샐러드, 표시사항 확인하고 건강하게 드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31 17
3225 2019년 섬유제품·세탁서비스 소비자분쟁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20 17
Board Pagination Prev 1 ... 705 706 707 708 709 710 711 712 713 714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