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성홍열 발생 증가에 따른 예방·관리 당부


◇ 전년 동기간대비 성홍열 신고건 78.5% 증가
◇ 영유아 집단시설에서 손씻기, 기침예절, 환경소독 준수 당부
◇ 성홍열 진단 시에는 항생제 치료 시작 24시간 이후 등원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기석)는 성홍열 신고건수가 증가*함에 따라영유아 집단시설에서 성홍열 유행의 우려가 있어, 손씻기 및 기침예절 등 성홍열 예방 수칙을 준수할 것을 당부하였다.
* 2017년도 성홍열 신고건수 4,904건, 전년 동기간(2,747건) 대비 78.5% 증가(2017.4.4.기준 잠정통계)

○성홍열은 A군 사슬알균(Group A Streptococcus, Streptococcus pyogenes)에 의한 급성 발열성 질환으로, 갑작스러운 발열, 두통, 구토, 복통, 인후통 등으로 시작되어, 12-48시간 후에 전형적인 발진을 보이는 특징이 있고, 3~6세 어린이에서 주로 발생*하고 있어, 집단발생 가능성이 있는 영유아 집단시설에서 예방 및 관리가 필요하다.
* 2017년 성홍열로 신고된 환자 중 3~6세가 75%(2017.4.4.기준 잠정통계)

○또한, 성홍열은 항생제로 치료가 가능하고, 간혹 류마티스열이나 급성사구체신염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성홍열이 의심될 때에는 의료기관 진료를 통해 빠른 시일 내에 항생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 질병관리본부는 지자체에 성홍열 발생 증가에 따른 주의 및 예방·관리를 요청하였고, 성홍열 발생 현황 및 역학적 특성을 지속적으로 감시·분석할 계획이며,
○ 영유아 집단시설에서 성홍열 예방을 위해서는 영유아들에게 손씻기, 기침예절 지키기 등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하게 하고, 빈번하게 접촉하는 환경 표면을 철저히 소독하고,
○ 성홍열 의심증상*이 있는 경우는 빠른 시일 내에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고, 성홍열로 진단되는 경우는 항생제 치료 시작 후 최소 24시간까지 유치원 등 집단시설에 등원 하지 않도록 당부하였다.
*갑작스러운 발열, 두통, 구토, 복통, 인후통, 12-48시간 후 발진 등

◀ 성홍열 예방·관리수칙 ▶

□ 일반 예방수칙
○ 올바른 손씻기 준수
- 비누나 세정제 등을 사용하여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손씻기
- 외출 후, 식사 전, 배변 후 손씻기
○ 기침 예절(옷소매로 가리고 기침, 마스크 사용 등) 준수
□ 영유아 집단시설 예방·관리수칙
○ 평상시 예방 수칙
- (손씻기) 외출후, 식사전, 배변후 비누나 세정제를 사용하여 30초 이상 손씻기
- (기침예절)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휴지나 옷소매로 입과 코를 가리기
- (환경소독) 가구 표면, 장난감, 손잡이, 수도꼭지 등 환경표면을 자주 청소·소독
○ 성홍열 의심 환자 발생 시 관리 수칙
- 발열, 인후통 등 성홍열 의심 증상이 있으면 빠른 시일 내 의료기관 진료
- 성홍열 진단 시, 항생제 치료 시작 후 최소 24시간까지 등원 중지

 

[보건복지부 2017-04-0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083 국민체감 대중교통 서비스…국민이 직접 평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27 34
6082 소상공인 · 자영업자 지원대책」中 세금 부담 완화 방안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22 34
6081 2018년 7월 소비자상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10 34
6080 저소득 가구 부양가족 있어도 10월부터 주거급여 받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07 34
6079 “해외에서 원화로 결제하면 수수료 물어요!”- 금감원 인천지원, 해외여행객 대상 「유용한 금융상식」 제공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24 34
6078 다소비 가공식품 2018년 6월 가격동향 분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19 34
6077 저소득층에 온기를 나누는 포용적 복지 ‘저소득층 일자리·소득지원 대책’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18 34
6076 지자체 자연휴양림, 장애인 이용요금 낮추고 편의시설 의무적으로 확충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16 34
6075 금융분쟁조정위원회, 「직장 신경내분비종양」에 대해 CI보험의 보험금 지급 결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7 34
6074 무신고 수입 말레이시아산 ‘다용도 고무장갑’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14 34
6073 2018년 5월 소비자물가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01 34
6072 총 아플라톡신 기준 초과 ‘땅콩 또는 견과류가공품’ 회수 조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1 34
6071 2020년부터 종이 대신 모바일로 전자증명서 발급·제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15 34
6070 대부업체 이용자가 알아두면 유용한 10계명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15 34
6069 계곡물 마시던 산간지자체, 협력으로 깨끗한 상수도 마신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30 34
Board Pagination Prev 1 ... 515 516 517 518 519 520 521 522 523 524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