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바이오의약품 임상시험 승인 지속적 증가 -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손문기)는 `16년 임상시험계획 승인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체 승인건수는 628건으로 ‘15년(674건) 대비 6.8% 감소한 가운데서도 바이오의약품 임상시험은 ’15년(202건) 대비 12% 증가한 226건이 승인되었다고 밝혔다.
※ 전체 임상시험 승인 건수 : 653건(‘14년) → 674건(’15년) → 628(’16년)
※ 바이오의약품 임상시험 승인 건수: 170건(`14년)→ 202건(`15년)→ 226건(`16년)
○ 이러한 임상시험 승인건수 감소는 새로운 신약 후보물질 감소, 제네릭의약품시장 확대 및 연구개발 생산성 저하 등으로 임상시험이 줄어들고 있는 세계적 추세가 국내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 전 세계 임상시험 현황: `15년 10,847건에서 `16년 8,090으로 25.4% 감소 (출처: 미국 임상등록 사이트(www.clinicaltrials.gov) 임상시험 현황 기준)

□ 지난해 임상시험 승인 건수는 줄어든 가운데서도 ▲바이오의약품 임상시험 증가세 유지 ▲제약사임상시험 승인건수 감소하고 연구자임상시험 증가 ▲효능군으로는 항암제 승인건수 최다 등의 특징이 있었다.

〈 바이오의약품의 임상시험 증가세 유지 〉
○ 지난해 합성의약품 임상시험승인건수는 387건으로 전년대비 14% 감소하였으나 바이오의약품은 226건으로 ’15년 202건 대비 12% 증가하였다.
- 전체 임상시험에서 세포치료제, 바이오시밀러 등 바이오의약품이 차지하는 비율도 ‘14년 26%에서 ‘15년 30%, ’16년 36%로 증가세를 유지하였다.
※ 합성의약품 승인건수/전체 임상시험 승인건수: ‘14년(465건/653건)→ ‘15년(451건/674건)→ ’16년(387건/628건)
※ 바이오의약품 승인건수/전체 임상시험 승인건수: ‘14년(170건/653건)→‘15년(202건/674건)→ ’16년(226건/628건)
○ 바이오의약품 승인건수는 종류별로 유전자재조합(151건), 백신 등 생물학적 제제(33건), 세포치료제(33건), 유전자치료제(9건)의 순이었다.
- 유전자재조합의약품은 ‘15년(158건)보다 4% 감소하였으나 1상 임상시험은 ‘15년 28건보다 25% 증가한 35건으로 제품화를 위한 개발 초기단계 품목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세포치료제는 ‘15년(25건)에 비해 32% 증가한 33건이 승인되었으며, 자가유래 세포치료제에 비해 대량생산을 통한 상업성이 높은 동종유래 세포치료제에 대해 관심이 높아진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 동종유래 세포치료제 ‘15년(16건) →’16년(24건)
※ 동종 유래 세포치료제 : 건강한 타인의 몸에서 살아있는 세포를 채취하여 체외에서 배양, 증식, 선별 등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방법으로 조작하여 제조하는 의약품으로, 대량생산이 용이함

〈 제약사임상시험 감소하고 연구자임상시험 증가 〉
○ 의약품 개발 등을 목적으로 하는 제약사임상시험은 임상시험을 국내에서만 실시하는 임상시험(국내 임상)과 국내와 다른 국가에서 동시에 실시하는 임상시험(다국가 임상)으로 나뉘며, 지난해 승인된 제약사임상시험 승인건수는 457건으로 ‘15년(540건) 대비 15% 감소하였다.
※ 제약사 임상시험 승인건수: 505건(‘14년) → 540건(’15년) → 457(’16년)
○ 국내 임상의 경우 ‘15년 대비 22% 감소한 190건으로 1-3상에 이르는 모든 단계에서 승인 건수가 감소하였으며, 이중 2상 임상시험은 ’15년 42건에서 16년 25건으로 감소폭(40%)이 두드러졌다.
○ 다국가 임상의 경우 지난해 267건이 승인되어 ‘15년 대비 9% 감소하였으며, 2상 임상시험은 ‘15년 73건에서 ’16년 71건으로, 3상 임상시험은 170건에서 136건으로 줄었으나 1상 임상시험은 ‘15년 50건에서 ’16년 57건으로 14% 증가하였다.
※ 다국가 1상 임상시험 승인: 40건(‘14년) → 50건(’15년)→ 57건(’16년)
- 1상 임상시험은 개발 중인 의약품을 인체에 처음 적용하는 시험인 동시에 의약품 개발 여부를 결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시험으로서 초기단계 다국가 임상시험이 국내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은 높은 규제 수준과 잘 갖추어진 임상시험기관의 인력·시설 등을 국제적으로도 인정받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 연구자가 학술 목적으로 허가받은 의약품 등을 활용하여 새로운 적응증과 용법‧용량 등을 탐색하는 ‘연구자임상시험’은 지난해 171건 승인되어 `15년(37건) 대비 28% 증가하였다.
※ 연구자임상시험 승인건수: 148건(‘14년) → 134건(’15년) → 171(’16년)
- 연구자임상시험 증가는 새로운 제품 개발과 허가를 주요 목적으로 하는 임상시험에서 국내 의료 상황 및 환자 특성에 맞는 용법‧용량 탐색, 의약품간 상호작용 연구 등 국민 보건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임상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되며, 향후 신약 개발 역량을 높이는데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효능군으로는 항암제 승인건수 최다 〉
○ 임상시험을 효능군 별로 살펴보면 항암제(202건), 항생제(55건), 중추신경계(51건), 심혈관계(50건) 등의 순으로 많았으며, 항암제 중 표적항암제나 인체면역기전 활성화를 통해 암세포를 죽이는 면역항암제는 지난해 154건 승인되어 항암제 임상시험의 76%를 차지하였다.
- 항암제 임상시험이 활발한 것은 인구 고령화로 암환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항암제 부작용을 줄이기 위한 면역·표적 항암제 등의 최첨단 치료제가 지속적으로 개발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 항암제 승인건수/전체 임상시험 승인건수: ‘14년(210건/653건)-> ‘15년(254건/674건)-> ’16년(202건/628건)
※ 표적·면역항암제: `14년(152건) -> `15년(191건) -> `16년(154건)

〈 제약사, 연구개발 수탁전문기업(CRO)의 임상시험 승인 현황 〉
○ 제약사별로는 국내 제약사의 경우 (주)대웅제약이 16건으로 가장 많았고, (주)종근당이 14건, 동아에스티(8건) 등이 뒤를 이었다.
- 다국적 제약사의 경우 한국릴리(15건), (주)한국얀센(13건), 한국엠에스디(13건)등의 순이었다.
○ 연구개발 수탁전문기업(CRO)은 퀸타일즈트랜스내셔널코리아(42건), 피피디디벨럽먼트피티이엘티디(17건) 한국파렉셀주식회사(11건) 순으로 많았다.

□ 식약처는 임상시험발전협의체 운영 등을 통해 현장의 의견을 정책에 적극 반영하여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임상시험을 실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임상시험 참여자의 안전을 강화하고 환자의 알권리 확보를 위하여 임상시험 정보 공개 범위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임상시험 승인 현황 및 임상시험에 대한 개요, 진행현황 등은 ‘온라인의약도서관(drug.mfds.go.kr)’을 통해서 누구나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17-03-3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93 금융꿀팁 200선-(44) 주식투자시 수수료 등 절감 노하우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3 52
3892 공공기관 불친절, 통신사 해지 불가, 쇼핑몰 환불 불가…‘우월지위 이용 권한남용’ 여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3 74
3891 식약처, 의약품 불법 유통.판매업자 20명 적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2 58
3890 3D 프린팅으로 질병극복의 새 패러다임을 연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2 57
3889 다가구 임대주택 등록 쉬워져, 임차인 주거안정 강화 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2 60
3888 생활화학제품 사용 중 안전사고 지속적으로 발생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2 52
3887 건강한 사람을 위한 보험료 할인특약 가입 활성화 방안(제3차 국민체감 20大 금융관행 개혁 과제 (5)추진계획)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2 55
3886 19개 아파트임대 사업자의 주택임대차계약서상 불공정 약관에 대한 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2 91
3885 식약처, 정부차원의 궐련담배 및 전자담배 유해성분 함유량 발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1 59
3884 3월 세계 식량가격지수, 안정세 유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1 54
3883 모든 부동산 거래는 전자계약으로 우대금리 받으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1 55
3882 2017년 3월 생필품 가격동향 분석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1 155
3881 청탁금지법 시행 6개월, 관행적 청탁·금품수수에 제동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1 53
3880 '16년중 채권추심관련 민원 현황 및 대응방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0 87
3879 저비용항공사, ‘최초 운항증명 수준’ 으로 안전관리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0 51
Board Pagination Prev 1 ... 656 657 658 659 660 661 662 663 664 665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