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지난 겨울 어려운 이웃 34만명에게 긴급생계비 등 복지 지원

동절기 복지사각지대 집중 발굴기간(3개월) 운영해 적극적으로 발굴

읍면동 복지허브화·빅데이터 시스템 활용, 발굴·지원 전년 대비 10% 이상 증가

  • 복지부, 지난 3개월(’16.11.21.~’17.2.28.) 간 전국 지자체・지역 복지단체와 함께 어려운 이웃 34.3만명 지원 완료
    • 16.5만명은 소득․재산 조사 등 지원절차 진행 중
  • 읍면동 복지허브화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시스템을 통해 복지소외계층 발굴·지원 성과 전년 대비 10% 이상 증가(31.1→34.3만명)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16.11.21일부터 ’17.2.28일까지 지방자치단체와 합동으로 「동절기 복지사각지대 집중 발굴기간」을 운영하여, 도움이 필요한 취약계층 34만명에 대해 지원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최근 맞춤형 복지급여 개편 등 복지재정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독거가구 및 위기가구 등 복지 사각지대에서 적절한 도움을 받지 못하는 사례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생활비 부담이 높고 일자리가 부족한 동절기에는 위기가구의 위험이 더 높아져 특별한 관심과 적극적인 보호가 필요한 시기이기도 하다.

이번 집중 발굴기간을 통해 3만 8천명이 기초생활보장, 긴급복지지원, 에너지바우처 등 공공 복지급여를 신규로 지원받게 되었고,

31만 8천명에게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등에서 지원되는 후원금, 푸드뱅크 등의 기부식품, 그 밖에 민간 후원물품 등이 연계․제공되었다.

* 공공 복지급여 및 민간 복지자원 중복 지원 가능

올해 지원실적은 전년도(31.1만명) 대비 10% 증가된 것이었는데, 이는 읍면동 복지허브화(전국 1,094개, ’16.12월 기준)와 빅데이터를 통한 고위험가구 예측시스템*에 힘입은 바 크다.

* 사회보험료 체납, 단전․단수 등 13개 공공기관 보유 23종 정보를 수집․분석

시군구 및 읍면동의 사회복지공무원은 지역 주민과 유관단체* 등과 협력하여 적극적으로 취약계층을 찾아냈으며,

* 읍면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복지 통․이장, 민간단체, 좋은이웃들 등

[사례1] 발굴방법의 다양화 사례

찾아낸 복지 대상자들에게는 사례관리를 통해 공적급여는 물론 연계 가능한 지역의 민간 복지자원을 최대한 연결하여 지원하였다.

[사례2] 통합사례관리*를 통한 지원․연계 사례

* 통합사례관리란 ①소득, 질병, 가정문제 등 복합적인 욕구가 있으나 ②스스로 해결방법을 찾기 어려운 대상(개인 혹은 가구)에게 ③지속적인 상담과 공공․민간 복지자원 지원을 통해 ④문제해결과 사회적응을 지원하는 복지서비스
(지자체 통합사례관리사 국고보조인원 928명)

정진엽 보건복지부장관은 “2018년까지 전국 모든 읍면동(3,502개소)을 복지허브화하고,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의 빅데이터 분석 및 예측 정확도를 높여 복지 사각지대 발굴을 상시화해 나갈 것”이라 하면서,

“국민들께서도 주변에 도움이 필요하거나, 어려운 이웃이 있으면 언제든 복지로(www.bokjiro.go.kr), 129콜센터 또는 가까운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연락해 달라”고 당부했다.

[사례1] 발굴방법의 다양화 사례

  • (서울 영등포구) 복지사각지대 발굴을 위한 ‘빨간우체통’ 운영
    • 복지 통장, 복지시설의 사회복지사, 동 주민센터 복지플래너(사회복지담당공무원) 등이 노후주택 밀집지역, 1인 단독가구, 지하방, 고시원 등 주거취약가구에 수취인(지자체)부담 우편봉투를 77,000부 배포, 회신내용을 근거로 지원이 필요한 가구방문 지원
  • (울산 북구) 파지 수거 어르신 일제 조사 및 서비스 연계
    • 동 주민센터, 파지집하장 업주, 통·반장 등 간의 지속적인 협력체계를 통해파지 수거 어르신 현황 파악, 어르신 개별 상담 및 조사를 통해 서비스 연계 등 극한기 생계곤란 어르신 지원
  • (경남 함안군) 민-관협력 특화사업 ‘희망나눔센터‘ 운영
    • 민간 후원금과 군비로 법적 지원이 불가능한 가정에 대해 생계비, 의료비, 주택개보수 등을 지원하는 ‘저소득 및 위기가정 희망나눔센터’ 운영
    • ‘희망생활민원봉사단’ 운영으로 간단한 생활불편사항 해소, 이동이 불편한 취약노인․저소득층가구 대상 병원 이동편의 지원서비스 제공

[사례2] 통합사례관리를 통한 지원․연계 사례

  • (전북 무주군) 건강악화와 우울감이 있는 독거노인
    • (생활실태) 자녀와 연락이 단절된 독거노인으로 농사철에 과수원 일용직으로 일했으나 동절기에 수입이 끊기고, 요통이 심해지고 끼니도 거르는 상황
    • (발굴경로) 마을 이장 및 읍면협의체 위원의 발굴
    • (민간자원 및 서비스 연계) 경제적 어려움, 신체건강 악화 및 우울감, 주거열악 등 다양한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식료품 및 후원금 등 민간자원 연계, 자살예방상담 연계, 노후주택개보수 지원
  • (경북 의성군) 주택수리가 시급한 거동 불편 노인
    • (생활실태) 가족과 단절된 거동이 심각하게 불편한 독거노인으로 천장이 무너지고 있는 슬레이트 주택에 거주, 주택 붕괴가 임박하여 거주지 이전이 시급한 상황
    • (발굴경로) 읍면동 ‘맞춤형 복지팀’이 경로당 순회 방문 중 발굴
    • (공적지원 및 민간서비스 통합지원) 국민기초생활수급자 선정, 민간연계를 통해 주택 신축(드림하우스), 인공관절 수술 지원
  • (전북 군산시) 혈액투석 등으로 일반근로가 어려운 생활곤궁자
    • (생활실태) 혈액 투석 및 노인성 질환으로 건강관리에 어려움, 관리비를 4개월 체납할 정도로 어려우나 자녀소득으로 기초생활수급 미책정
    • (발굴경로) 의료위기 및 주거위기 가구로 조회되어 방문상담
    • (지원내용) 주민센터 맞춤형 복지팀에서 약물 및 투석관리 모니터링, 긴급생계비 지원, 민간 기부금 연계, 노인일자리 참여 지원

 

[보건복지부 2017-03-2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78 공공 마이데이터로 내 정보는 내가 스스로 관리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07 11
3877 공공 누리집에서 이용가능한 민간인증서 11종으로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28 27
3876 공공 누리집에서 네이버, 신한은행 간편인증 이용 가능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25 30
3875 공공 건축에 부는 젊은 건축사의 창의 바람~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20 86
3874 공간정보 활용 쉬워진다…종류·개방물량 표준분류체계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29 17
3873 공간정보 엔젤투자 유치 멘토링에 참여하여 창업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27 83
3872 곰팡이독소 초과 검출된 수입 ‘커피원두’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2 8
3871 곰팡이독소 기준 초과 '수수분말'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24 21
3870 곰팡이독소 기준 초과 '된장'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16 77
3869 곰팡이 제거용 욕실세정제, 항곰팡이 성능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1.03 9
3868 골프카트 및 골프장 내 카트 도로 안전관리 강화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22 55
3867 골프장·야구단도 개인정보 보호실태 점검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13 57
3866 골프장 이용료 및 위약금 규정 등 이용조건 개선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25 51
3865 골프용품 해외직구 시 국내 가격과 꼼꼼히 비교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1.04 34
3864 골프·테니스 질환으로 불리는 ‘상과염’, 3명 중 2명은 40~50대 주부, 직장인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25 108
Board Pagination Prev 1 ... 657 658 659 660 661 662 663 664 665 666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