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가 진행한 ‘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 확대·신설’ 정책에 대한 대국민 여론조사 결과, 국민들의 약 95%가 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 제도를 바람직한 정책이라고 평가하고 있으며,약 84%는 버스전용차로의 확대·신설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여론조사는 국토교통부가 올해 업무계획으로 발표한 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 확대·신설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국민이 원하는 사항을 최대한 반영하기 위해 한국갤럽에 의뢰하여 실시된 것이다.

전국에 거주하는 만 19~69세 성인 남녀 1,000명(표본추출)에 대해 지난 3월 3일부터 9일까지 일주일 동안 온라인 조사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 포인트다.

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제에 대한 대국민 여론조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장거리 이동 시 교통수단) 일반국민들의 장거리 이동 시 주로 이용하는 교통수단은 ‘자가용’(42.6%), ‘시외·고속버스’(36%)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성’, ‘학생’, ‘저소득층’ 등의 집단에서는 자가용 등 타 교통수단보다 시외·고속버스를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장거리 이동 시 교통수단을 선택하는 주요 기준으로 ‘신속성’(38.3%)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20대 이하’, ‘학생’, ‘월 평균 가구 소득이 200만원 미만’인 계층에서는 ‘요금수준’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한다고 응답하였다.

② (버스전용차로제에 대한 평가) 현재 시행 중인 경부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제에 대해서는 응답자 대부분인 94.9%가 ‘바람직하다‘(매우 바람직하다 31.8%+바람직하다 63.1%)고 답했으며, 제도 도입에 따른 주된 효과로 ’통행시간 단축‘(51.3%), ’정해진 시간에 도착‘(29.7%) 순으로 조사되어 전용차로제가 버스차량의 ’신속성‘ 및 ’정시성‘ 개선에 크게 기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버스전용차로제의 장점으로 인해 장거리 이동 시 시외·고속버스를 선택한 경험이 있는 경우는, 응답자의 3분의 2(68.4%)를 넘는 것으로 파악됐다.

③ (버스전용차로제의 신설·확대) ‘영동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신갈JCT~여주JCT 구간) 신설 필요성’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84.7%가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경부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 평일구간 확대(오산IC→천안JCT) 방안’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83.9%가 ’필요하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 5명 중 4명 이상(82.5%)이 전용차로를 신설·확대할 경우 시외·고속버스를 더 많이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답변해 정책 방향에 대한 기대감을 표출하였다.

④ (버스전용차로제의 개선사항) 버스전용차로제의 개선을 위해서는 ‘운영구간 연장’(58.2%), ‘진입차량의 제한’(57.5%)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응답(중복응답 허용)한 사람이 대부분이었으며, 향후 버스전용차로를 확대할 경우, ‘일반차량(버스전용차로 비 대상 차량)의 버스전용차로 이용 단속 강화‘(42.3%)와 일반차량의 불편 최소화’(30.9%)에 특별히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파악됐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이번 여론조사 결과, 고속도로의 효율적 활용 및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한 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의 긍정적인 효과와 제도의 확대·신설 방안에 대해 상당한 수준의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파악된다.”라고 하면서, “현재 추진 중인 영동고속도로 전용차로 신설 및 경부고속도로 평일 운영구간 확대는 관계 기관인 경찰청과 도로공사와 함께 협업하여 관련고시 개정, 전용차로 차선 및 안내표지 설치, 위반차량 단속 등 필요한 사항을 충실히 준비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국토교통부 2017-03-2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66 경유차량에 휘발유를 주유하도록 유도하여 보험금을 편취한 보험사기 혐의자 20명 적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07 53
3865 시중 유통 가공식품 중 감미료 사용 안전한 수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06 62
3864 아플라톡신 기준 초과 검출 ‘땅콩’ 제품 회수 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06 55
3863 국민들이 직접 뽑은 정부혁신 서비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06 50
3862 가구 등 대형폐기물 처리 스마트폰 하나로 끝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06 53
3861 새로운 사회서비스에 대한 당신의 생각을 기다립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06 52
3860 성홍열 발생 증가에 따른 예방·관리 당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06 56
3859 ‘언제·어디서나·누구나·정확한(4A)‘ 위치기반 서비스 만든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06 52
3858 전자상거래 소비자피해, 처음으로 모바일이 PC쇼핑 추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06 58
3857 치과 임플란트 분쟁, 10건 중 4건은 부작용으로 시술 중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06 142
3856 젊은 여성을 표적으로 하는 보이스피싱 급증, 소비자경보 발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06 59
3855 인삼 잔류농약 걱정은 이제 그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05 64
3854 올해 교통사고 사망자 수 3,000명대로 줄인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05 50
3853 722개 공간정보 사업에 3,133억 투자 “일자리 창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05 46
3852 버스 환승·카 셰어링 되는 ‘하늘 위 휴게소’ 10월 개장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05 51
Board Pagination Prev 1 ... 660 661 662 663 664 665 666 667 668 669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